본문 바로가기
공맹의 뒤안길/공자가어(孔子家語)

[공자가어(孔子家語) 상노(相魯) 1-9] 도불습유(道不拾遺) / 백성이 남의 것을 탐내지 않게 되었다

by मोक्ष 2024. 5. 22.
반응형

初, 魯之販羊有沈猶氏者, 常朝飮其羊以詐市人, 有公愼氏者, 妻淫不制, 有愼潰氏, 奢侈踰法, 魯之鬻六畜者, 飾之以儲價及. 孔子之爲政也, 則沈猶氏不敢朝飮其羊, 公愼氏出其妻, 愼潰氏越境而徙. 三月, 則鬻牛馬者不儲價, 賣羊豚者不加飾. 男女行者, 別其塗, 道不拾遺, 男尙忠信, 女尙貞順四方客至於邑, 不求有司, 皆如歸焉.

당초(初), 노나라의(魯之) 양을 파는 사람 중에(販羊) 심유씨란 사람이 있었는데(有沈猶氏者), 늘(常) 아침에(朝) 그 양에게 물을 먹이고(飮其羊以) 시장 사람들을 속였고(詐市人), 공신씨란 사람이 있어(有公愼氏者), 처의 음행을(妻淫) 통제하지 못했고(不制), 신해씨가 있어(有愼潰氏), 사치가(奢侈) 도를 넘었고(踰法), 노나라의(魯之) 여섯 가축을 파는 사람들이(鬻六畜者), 말을 꾸며서(飾之以) 값을 더 받았다(儲價). 공자가 정치를 함에 이르러서는(及孔子之爲政也, 則) 심유씨가(沈猶氏) 감히 아침에 그 양에게 물을 먹이지 못하고(不敢朝飮其羊), 공신씨가(公愼氏) 그 아내를 내쫓았고(出其妻), 신해씨가(愼潰氏) 국경을 넘어(越境而) 도망갔다(徙). 3개월이 지나자(三月, 則) 소와 말을 파는 사람이(鬻牛馬者) 값을 더하지 않았고(不儲價), 양과 돼지를 파는 사람이(賣羊豚者) 말을 꾸미지 않았다(不加飾). 남녀가 갈 때는(男女行者), 길을 다르게 했고(別其塗), 길에서(道) 떨어진 물건을 줍지 않았고(不拾遺), 남자는(男) 충성과 신의를 숭상하고(尙忠信), 여자는(女) 정절과 순종을 숭상하고(尙貞順), 사방의 객이(四方客) 읍에 이르러도(至於邑), 유사를 찾지 않았고(不求有司), 모두(皆) 집에 돌아가는 듯했다(如歸焉).

 

* 六畜(육축): 집에서 기르는 대표적()인 여섯 가지 가축().

* 不求有司(불구유사): 有司가 늘 자신의 직무를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손님이 찾지 않아도 유사가 제자리에 있는 것을 말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