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子曰: “知之者不如好之者, 好之者不如樂之者.”(지지자불여호지자 호지자불여락지자)
子曰: “아는 것은(知之者) 좋아하는 것만 못하고(不如好之者), 좋아하는 것은(好之者) 즐기는 것만 못하다(不如樂之者).”
○ 尹氏曰: “知之者, 知有此道也. 好之者, 好而未得也. 樂之者, 有所得而樂之也.”
○ 尹氏曰: “아는 것은(知之者), 이 도가 있음을 아는 것이다(知有此道也). 좋아하는 것은(好之者), 좋아하지만(好而) 얻지 못한 것이다(未得也). 즐기는 것은(樂之者), 얻은 것이 있고(有所得而) 즐기는 것이다(樂之也).”
○ 張敬夫曰: “譬之五穀, 知者知其可食者也, 好者食而嗜之者也, 樂者嗜之而飽者也. 知而不能好, 則是知之未至也; 好之而未及於樂, 則是好之未至也. 此古之學者, 所以自强而不息者歟?”
○ 張敬夫曰: “그것을 오곡에 비유하면(譬之五穀), 아는 것은(知者) 그 먹을 수 있음을 아는 것이고(知其可食者也), 좋아하는 것은(好者) 먹고서 맛을 즐기는 것이고(食而嗜之者也), 즐기는 것은(樂者) 맛을 즐기면서(嗜之而) 배부른 것이다(飽者也). 알면서(知而) 좋아하지 않으면(不能好, 則) 이것은(是) 아는 것이 지극하지 못한 것이고(知之未至也); 좋아하면서(好之而) 즐기는 것에 이르지 못하면(未及於樂, 則) 이것은(是) 좋아하는 것이 지극하지 못한 것이다(好之未至也). 이것이(此) 옛날 학자가(古之學者), 스스로 노력하고(自强而) 쉬지 않은 까닭인가(不息者歟)?”
반응형
'오서(五書) 읽기 > 논어집주(論語集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집주(論語集注) 옹야(雍也) 6-20] 경이원지(敬而遠之) 선난후획(先難後獲) / 적당한 거리를 두어라 (0) | 2024.06.04 |
---|---|
[논어집주(論語集注) 옹야(雍也) 6-19] 가이어상(可以語上) / 들을 수 있어야 말해줄 수 있다 (0) | 2024.06.04 |
[논어집주(論語集注) 옹야(雍也) 6-17] 인지생야직(人之生也直) / 사람의 삶은 곧음이다 (0) | 2024.06.03 |
[논어집주(論語集注) 옹야(雍也) 6-16] 문질빈빈(文質彬彬) / 바탕과 형식이 조화를 이뤄야 한다 (0) | 2024.05.30 |
[논어집주(論語集注) 옹야(雍也) 6-15] 하막유사도(何莫由斯道) / 누가 이 길을 따르지 않겠는가? (0) | 2024.05.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