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子曰: “德之不脩, 學之不講, 聞義不能徙, 不善不能改, 是吾憂也.”(덕지불수 학지불강 문의불능사 불선불능개 시오우야)
子曰: “덕을 닦지 않는 것(德之不脩), 배운 것을 강습하지 않는 것(學之不講), 의를 듣고도 옮겨가지 못하는 것(聞義不能徙), 불선을 고치지 못하는 것(不善不能改), 이것이(是) 내 걱정이다(吾憂也).”
尹氏曰: “德必脩而後成, 學必講而後明, 見善能徙, 改過不吝, 此四者日新之要也. 苟未能之, 聖人猶憂, 況學者乎?”
尹氏曰: “덕은(德) 반드시(必) 닦이고 나서야 이루어지고(脩而後成), 배움은(學) 반드시(必) 강습하고 나서야 밝아지고(講而後明), 선을 보고 옮겨갈 수 있고(見善能徙), 잘못을 고치는 것이(改過) 인색하지 않은 것(不吝), 이 네 가지가(此四者) 일신의 요체다(日新之要也). 진실로(苟) 이것을 할 수 없는 것은(未能之), 성인도 오히려 걱정했는데(聖人猶憂), 하물며(況) 학자는 어떻겠는가(學者乎)?”
반응형
'오서(五書) 읽기 > 논어집주(論語集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집주(論語集注) 술이(述而) 7-5] 몽견주공(夢見周公) / 꿈에서 주공을 만나지 못하는 구나 (0) | 2024.07.06 |
---|---|
[논어집주(論語集注) 술이(述而) 7-4] 신신요요(申申夭夭) / 한가로울 때의 공자 (0) | 2024.07.05 |
[논어집주(論語集注) 술이(述而) 7-2] 묵이지지 학이불렴 회인불권(黙而識之 學而不厭 誨人不倦) / 공자의 인생 (0) | 2024.07.05 |
[논어집주(論語集注) 술이(述而) 7-1] 술이부작(述而不作) / 나는 새로운 것을 짓지 않았다 (0) | 2024.07.05 |
[논어집주(論語集注) 옹야(雍也) 6-28] 능근취비(能近取譬) / 천지만물과 소통하는 것이 인이다 (0) | 2024.0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