曾子有疾, 孟敬子問之.(증자유질 맹경자문지)
증자에게(曾子) 병이 있어(有疾), 맹경자가 문병 왔다(孟敬子問之).
孟敬子, 魯大夫仲孫氏, 名捷. 問之者, 問其疾也.
명경자는(孟敬子), 노나라 대부(魯大夫) 중손씨고(仲孫氏), 이름은 첩이다(名捷). 문지란(問之者), 그 병을 물은 것이다(問其疾也).
曾子言曰: “鳥之將死, 其鳴也哀;(조지장사 기명야애) 人之將死, 其言也善.(인지장사 기언야선)
증자가 말하길(曾子言曰): “새가(鳥之) 장차 죽으려 할 때(將死), 그 울음이 슬프고(其鳴也哀); 사람이 장차 죽으려 할 때(人之將死), 그 말이 착하다(其言也善).
言, 自言也. 鳥畏死, 故鳴哀. 人窮反本, 故言善. 此曾子之謙辭, 欲敬子知其所言之善而識之也.
언은(言), 스스로 말함이다(自言也). 새가(鳥) 죽음을 두려워하고(畏死), 그러므로(故) 울음이 슬프다(鳴哀). 사람이 다하면(人窮) 근본으로 돌아가고(反本), 그러므로 말이 착하다(故言善). 이것은(此) 증자의(曾子之) 겸사로(謙辭), 경자가(敬子) 그 말 한 것이 착한 것을 알아서(知其所言之善而) 기억하기를(識之) 바란 것이다(欲也).
君子所貴乎道者三:(군자소귀호도자삼) 動容貌, 斯遠暴慢矣;(동용모 사원폭만의) 正顔色, 斯近信矣;(정안색 사언신의) 出辭氣, 斯遠鄙倍矣.(출사기 사원비패의) 籩豆之事, 則有司存.”(변두지사 즉유사존)
군자가(君子) 도에서 귀하게 여기는 것은(所貴乎道者) 셋이니(三): 용모를 움직이면(動容貌, 斯) 포악하고 태만한 것을 멀리하고(遠暴慢矣); 안색을 바르게 할 때는(正顔色, 斯) 믿음직함에 가깝게 하고(近信矣); 사기를 낼 때는(出辭氣, 斯) 비패한 것을 멀리하라(遠鄙倍矣). 제사에 관한 일은(籩豆之事, 則) 유사가 있다(有司存).”
○ 貴, 猶重也. 容貌, 擧一身而言. 暴, 粗厲也. 慢, 放肆也. 信, 實也. 正顔色而近信, 則非色莊也. 辭, 言語. 氣, 聲氣也. 鄙, 凡陋也. 倍, 與背同, 謂背理也. 籩, 竹豆. 豆, 木豆. 言道雖無所不在, 然君子所重者, 在此三事而已. 是皆脩身之要, 爲政之本, 學者所當操存省察, 而不可有造次顚沛之違者也. 若夫籩豆之事, 器數之末, 道之全體固無不該, 然其分則有司之守, 而非君子之所重矣.
○ 귀는(貴), 중요함과 같다(猶重也). 용모는(容貌), 몸을 들어서(擧一身而) 말한 것이다(言). 폭은(暴), 거칠고 사나운 것이다(粗厲也). 만은(慢), 풀어지고 제멋대로인 것이다(放肆也). 신은(信), 성실함이다(實也). 안색을 바르게 해서(正顔色而) 신의에 가까우면(近信, 則) 얼굴빛만 장엄한 것이 아니다(非色莊也). 사는(辭), 언어이다(言語). 기는(氣), 소리의 기운이다(聲氣也). 비는(鄙), 평범하고 비루한 것이다(凡陋也). 패는(倍), 등짐과 같다(與背同), 이치를 등지는 것을 말한다(謂背理也). 변은(籩), 대나무 그릇이다(竹豆). 두는(豆), 나무 그릇이다(木豆). 도에(道) 비록(雖) 있지 않은 데가 없지만(無所不在), 그러나(然) 군자가(君子) 중요하게 여기는 것은(所重者), 이 세 가지 일에 있을 뿐이라는(在此三事而已) 말이다(言). 이것이(是) 모두(皆) 수신의 요체이고(脩身之要), 위정의 근본이니(爲政之本), 학자가(學者) 마땅히 잡아 보존하고 성찰해야 할 것이고(所當操存省察, 而) 조차지간의 어김도 있을 수 없다(不可有造次顚沛之違者也). 제사의 일과 같은 것은(若夫籩豆之事), 기수의 말단이니(器數之末), 도의 온전한 모습에(道之全體) 본래(固) 해당하지 않는 것이 없지만(無不該), 그러나(然) 그 나뉨은(其分則) 유사가 지킬 것이고(有司之守, 而) 군자가 중요하게 여길 것이 아니다(非君子之所重矣).
○ 程子曰: “動容貌, 擧一身而言也. 周旋中禮, 暴慢斯遠矣. 正顔色則不妄, 斯近信矣. 出辭氣, 正由中出, 斯遠鄙倍. 三者正身而不外求, 故曰籩豆之事則有司存.”
○ 程子曰: “동용모는(動容貌), 일신을 들어서(擧一身而) 말한 것이다(言也). 주선이(周旋) 예에 맞으면(中禮), 포만이 멀어진다(暴慢斯遠矣). 안색을 바르게 하면(正顔色則) 망령되지 않고(不妄), 신실에 가까워진다(斯近信矣). 말을 내는 것이(出辭氣), 바르게(正) 마음을 따라 나오면(由中出, 斯) 비패가 멀어진다(遠鄙倍). 세 가지는(三者) 몸을 바르게 하는 것이고(正身而) 밖에서 구할 것이 아니고(不外求), 그러므로 말하길(故曰) 변두의 일이라면(籩豆之事則) 유사가 있다(有司存).”
尹氏曰: “養於中則見於外, 曾子蓋以脩己爲爲政之本. 若乃器用事物之細, 則有司存焉.”
尹氏曰: “마음에서 기르면(養於中則) 밖에서 보이니(見於外), 증자가(曾子) 대체로(蓋) 자신을 닦는 것을(以脩己) 위정의 근본으로 삼았다(爲爲政之本). 만약(若乃) 사물의 세세한 일이라면(器用事物之細, 則) 유사가 있다(有司存焉).”
'오서(五書) 읽기 > 논어집주(論語集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집주(論語集注) 태백(泰伯) 8-6] 대절불탈(大節不奪) / 증자가 말하는 군자의 지조 (0) | 2024.08.11 |
---|---|
[논어집주(論語集注) 태백(泰伯) 8-5] 범이불교(犯而不校) / 남이 범해도 따지고 다투지 않는다 (0) | 2024.08.11 |
[논어집주(論語集注) 태백(泰伯) 8-3] 전전긍긍(戰戰兢兢) / 두려워하고 조심하라 (0) | 2024.08.11 |
[논어집주(論語集注) 태백(泰伯) 8-2] 공이무례즉로(恭而無禮則勞) / 예가 모든 것의 바탕이 된다 (0) | 2024.08.06 |
[논어집주(論語集注) 태백(泰伯) 8-1] 삼이천하양(三以天下讓) / 태백의 지극한 덕 (0) | 2024.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