子曰: “大哉堯之爲君也!(대재요지위군야) 巍巍乎!(외외호) 唯天爲大, 唯堯則之.(유천위대 유요칙지) 蕩蕩乎!(탕탕호) 民無能名焉.(민무능명언)
子曰: “위대하구나(大哉) 요의 임금됨이(堯之爲君也)! 높고 높구나(巍巍乎)! 하늘이(唯天) 위대한 것을(爲大), 요임금이(唯堯) 그것을 본받았다(則之). 넓고 넓구나(蕩蕩乎)! 백성이(民) 그것에 이름을 붙일 수 없었다(無能名焉).
唯, 猶獨也. 則, 猶準也. 蕩蕩, 廣遠之稱也. 言物之高大, 莫有過於天者, 而獨堯之德能與之準. 故其德之廣遠, 亦如天之不可以言語形容也.
유는(唯), 오직과 같다(猶獨也). 칙은(則), 의지함과 같다(猶準也). 탕탕은(蕩蕩), 넓고 먼 것을 말한다(廣遠之稱也). 만물의 높이와 크기는(言物之高大), 무엇도(莫) 하늘을 넘는 것이 있지 않지만(有過於天者, 而) 오직(獨) 요임금의 덕이(堯之德) 그것과(能與) 대등할 수 있었다(之準). 그러므로(故) 그 덕의(其德之) 넓고 먼 것이(廣遠), 또한(亦) 하늘과 같은 것을(如天之) 언어로 형용할 수 없다(不可以言語形容也).
巍巍乎! 其有成功也; 煥乎! 其有文章.”(외외호 기유성공야 환호 기유문장)
높고 높구나(巍巍乎)! 그(其) 성공이 있음이(有成功也); 빛나는구나(煥乎)! 그(其) 문장이 있음이(有文章).”
成功, 事業也. 煥, 光明之貌. 文章, 禮樂法度也. 堯之德不可名, 其可見者此爾.
성공은(成功), 상업이다(事業也). 환은(煥), 빛나고 밝은 모습이다(光明之貌). 문장은(文章), 예악의 법도다(禮樂法度也). 요임금의 덕이(堯之德) 이름 붙일 수 없는 것임을(不可名), 알 수 있는 것이(其可見者) 이것이다(此爾).
○ 尹氏曰: “天道之大, 無爲而成. 唯堯則之以治天下, 故民無得而名焉. 所可名者, 其功業文章巍然煥然而已.”
○ 尹氏曰: “천도의 위대함은(天道之大), 하는 것이 없지만(無爲而) 이룬다(成). 오직(唯) 요임금이 그것을 본받아서(堯則之以) 천하를 다스렸고(治天下), 그러므로(故) 백성이(民) 이름 붙일 수 없었다(無得而名焉). 이름 붙일 수 있는 것은(所可名者), 그(其) 공업과 문장이(功業文章) 높고(巍然) 환한 것일 뿐이다(煥然而已).”
'오서(五書) 읽기 > 논어집주(論語集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집주(論語集注) 태백(泰伯) 8-21] 오문간연(吾無間然) / 내가 흠잡을 것이 없다 (0) | 2024.08.13 |
---|---|
[논어집주(論語集注) 태백(泰伯) 8-20] 난신십인(亂臣十人) / 좋은 신하를 찾아서 곁에 두어야 한다 (0) | 2024.08.13 |
[논어집주(論語集注) 태백(泰伯) 8-18] 순우불여(舜禹不與) / 천하를 가지고도 관여하지 않았다 (0) | 2024.08.13 |
[논어집주(論語集注) 태백(泰伯) 8-17] 학여불급(學如不及) / 배우는 것은 미치지 못할 것처럼 해야 한다 (0) | 2024.08.13 |
[논어집주(論語集注) 태백(泰伯) 8-16] 광이부직(狂而不直) / 천하에 쓸모없는 사람이다 (0) | 2024.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