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子曰: “吾自衛反魯, 然後樂正, 雅頌各得其所.”(오자위반노 연후악정 아송각득기소)
子曰: “내가(吾) 위나라로부터(自衛) 노나라에 돌아오고 나서(反魯, 然後) 음악이 바르게 되었고(樂正), 아와 송이(雅頌) 각자(各) 제자리를 얻었다(得其所).”
魯哀公十一年冬, 孔子自衛反魯. 是時周禮在魯, 然詩樂亦頗殘闕失次. 孔子周流四方, 參互考訂, 以知其說. 晩知道終不行, 故歸而正之.
노나라 애공(魯哀公) 11년 겨울에(十一年冬), 공자가(孔子) 위나라에서 노나라로 돌아왔다(自衛反魯). 이때(是時) 주나라의 예가(周禮) 노나라에 있었지만(在魯), 그러나(然) 시와 악이(詩樂) 또한(亦) 자못(頗) 망가지고 빠진 것이 있었다(殘闕失次). 공자가(孔子) 사방을 돌아다니며(周流四方), 서로 참고하고(參互) 살펴 바로잡아서(考訂, 以) 그 내용을 알게 되었다(知其說). 만년에(晩) 도가 행해지지 않을 것을 알았고(知道終不行), 그러므로(故) 돌아와서(歸而) 그것을 바르게 했다(正之).
반응형
'오서(五書) 읽기 > 논어집주(論語集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집주(論語集注) 자한(子罕) 9-16] 불사주야(不舍晝夜)/ 밤낮으로 그치지 않는구나 (0) | 2024.08.26 |
---|---|
[논어집주(論語集注) 자한(子罕) 9-15] 하유어아(何有於我) / 무엇이 나에게 있겠는가? (0) | 2024.08.26 |
[논어집주(論語集注) 자한(子罕) 9-13] 욕거구이 하루지유(欲居九夷 何陋之有) / 공자가 구이에 살고 싶어하다 (0) | 2024.08.26 |
[논어집주(論語集注) 자한(子罕) 9-12] 대가이고(待價而沽) / 나는 좋은 값을 기다린다 (0) | 2024.08.26 |
[논어집주(論語集注) 자한(子罕) 9-11] 무신이위유신(無臣而爲有臣) / 하늘을 속이려는 것인가? (0) | 2024.08.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