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子欲居九夷.(자욕거구이)
선생님이(子) 구이에 살고 싶어 했다(欲居九夷).
東方之夷有九種. 欲居之者, 亦乘桴浮海之意.
동방의 오랑캐에(東方之夷) 9종이 있다(有九種). 거기에 살려고 하는 것은(欲居之者), 또한(亦) 승부부해의 뜻이다(乘桴浮海之意).
或曰: “陋, 如之何!”(혹왈 루여지하) 子曰: “君子居之, 何陋之有?”(군자거지 하루지유)
누군가 말하길(或曰): “누추한 것은(陋), 어찌하시려고요(如之何)!”라고 했다.
선생님이 말하길(子曰): “군자가 거기에 사는데(君子居之), 어찌(何) 누추함이 있겠는가(陋之有)?”라고 했다.
君子所居則化, 何陋之有?
군자가(君子) 산다면(所居則) 교활될 것인데(化), 어찌 누추함이 있겠는가(何陋之有)?
반응형
'오서(五書) 읽기 > 논어집주(論語集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집주(論語集注) 자한(子罕) 9-15] 하유어아(何有於我) / 무엇이 나에게 있겠는가? (0) | 2024.08.26 |
---|---|
[논어집주(論語集注) 자한(子罕) 9-14] 각득기소(各得其所) / 음악이 제자리를 찾았다 (0) | 2024.08.26 |
[논어집주(論語集注) 자한(子罕) 9-12] 대가이고(待價而沽) / 나는 좋은 값을 기다린다 (0) | 2024.08.26 |
[논어집주(論語集注) 자한(子罕) 9-11] 무신이위유신(無臣而爲有臣) / 하늘을 속이려는 것인가? (0) | 2024.08.26 |
[논어집주(論語集注) 자한(子罕) 9-10] 앙지미고 욕파불능(仰之彌高 欲罷不能) / 안연이 바라본 공자의 위대함 (0) | 2024.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