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서(五書) 읽기/논어집주(論語集注)

[논어집주(論語集注) 학이(學而) 1-8] 잘못하면 서슴없이 고쳐라 / 과즉물탄개(過則勿憚改)

by मोक्ष 2024. 2. 9.
반응형

子曰: “君子不重則不威, 學則不固.(군자부중즉불위 학즉불고)

子曰: “군자가(君子) 정중하고 무게 있지 않으면(不重則) 위엄이 없고(不威), 배워도(學則) 견고하지 않다(不固).

 

重, 厚重. 威, 威嚴. 固, 堅固也. 輕乎外者, 必不能堅乎內, 故不厚重則無威嚴, 而所學亦不堅固也.

중은(重), 중후함이다(厚重). 위는(威), 위엄이다(威嚴). 고는(固), 견고함이다(堅固也). 바깥에 드러나는 것에서 가벼운 사람은(輕乎外者), 반드시(必) 안에서(乎內) 견고할 수 없고(不能堅), 그러므로(故) 중후하지 않으면(不厚重則) 위엄이 없고(無威嚴, 而) 배운 것도(所學) 또한(亦) 견고하지 않다(不堅固也).

 

主忠信.(주충신)

충성스러움과 믿음직스러움을 주로 해라(主忠信).

 

人不忠信, 則事皆無實, 爲惡則易, 爲善則難, 故學者必以是爲主焉.

사람이(人) 충성스럽고 믿음직스럽지 않으면(不忠信, 則) 일에(事) 모두(皆) 진실함이 없고(無實), 악을 행하는 것은(爲惡則) 쉽고(易), 선을 행하는 것은(爲善則) 어렵고(難), 그러므로(故) 학자는(學者) 반드시(必) 이것(충신)을(以是) 주로 삼는다(爲主焉).

 

程子曰: “人道惟在忠信, 不誠則無物, 且出入無時, 莫知其鄕者, 人心也. 若無忠信, 豈復有物乎?”

程子曰: “인도는(人道) 오직(惟) 충과 신에 있고(在忠信), 성실하지 않으면(不誠則) 물도 없고(無物), 또(且) 드나드는 것에(出入) 때가 없어(無時), 그 향하는 곳을(其鄕) 알지 못하는 것이(者), 사람의 마음이다(人心也). 만약(若) 충과 신이 없다면(無忠信), 어찌 다시(豈復) 물이 있겠는가(有物乎)?”라고 했다.

 

無友不如己者.(무우불여기자)

나보다 못한 사람을(不如己者) 사귀지 말아라(無友).

 

無, 毋通, 禁止辭也. 友所以輔仁, 不如己, 則無益而有損.

무는(無), 무와 통하고(毋通), 금지사다(禁止辭也). 벗은(友) 인을 도와주는 방법이 되니(所以輔仁), 나보다 못하면(不如己, 則) 이익은 없고(無益而) 손해만 있다(有損).

 

過則勿憚改.”(과즉물탄개)

잘못하면(過則) 고치기를 꺼리지 마라(勿憚改).”라고 했다.

 

勿, 亦禁止之辭. 憚, 畏難也. 自治不勇, 則惡日長, 故有過則當速改, 不可畏難而苟安也.

물은(勿), 또한(亦) 금지하는 말이다(禁止之辭). 탄은(憚), 두려워하고 어려워한다는 뜻이다(畏難也). 자기를 다스리는 것에(自治) 용감하지 않으면(不勇, 則) 악이(惡) 날로 자라고(日長), 그러므로(故) 잘못이 있으면(有過則) 마땅히 빨리 고쳐야 하고(當速改), 두려워하고 어려워해서(畏難而) 구차하게 안주하면 안 된다(不可苟安也).

 

程子曰: “學問之道無他也, 知其不善, 則速改以從善而已.”

程子曰: “학문의 도는(學問之道) 다른 것이 없고(無他也), 자기의 불선을 알면(知其不善, 則) 빨리 고쳐서(速改以) 선을 따르는 것일 뿐이다(從善而已).”라고 했다.

 

○ 程子曰: “君子自修之道當如是也.”

○ 程子曰: “군자가(君子) 자기를 닦는 도가(自修之道) 마땅히(當) 이와 같아야 한다(如是也).”라고 했다.

 

游氏曰: “君子之道, 以威重爲質, 而學以成之. 學之道, 必以忠信爲主, 而以勝己者輔之. 然或吝於改過, 則終無以入德, 而賢者亦未必樂告以善道, 故以過勿憚改終焉.”

游氏曰: “군자의 도는(君子之道), 위엄과 중후함을(以威重) 바탕으로 삼고(爲質, 而) 배워서(學以) 이룬다(成之). 배움의 도는(學之道), 반드시(必) 충과 신을 주로 삼아서(以忠信爲主, 而) 자기를 이기는(나보다 나은) 사람으로(以勝己者) 보충한다(輔之). 그러나 혹(然或) 허물을 고치는 것에 인색하면(吝於改過, 則) 끝내(終) 덕에 들어갈 수 없고(無以入德, 而) 현자도 또한(賢者亦) 반드시(必) 선한 도리로(以善道) 즐거이 충고하지 않고(樂告), 그러므로(故) 잘못이 있으면 고치기를 꺼리지 말라는 것으로(以過勿憚改) 끝냈다(終焉).”라고 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