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子貢問友.(자하문우) 子曰: “忠告而善道之, 不可則止, 無自辱焉.”(충고이선도지 불가즉지 무자욕언)
자하가(子貢) 친구 사귀는 법을 물었다(問友).
선생님이 말씀하시길(子曰): “진심으로 일러주고(忠告而) 잘 이끌지만(善道之), 안 된다면(不可則) 그만두어서(止), 잔신을 욕되게 함이(自辱) 없어야 한다(無焉).”
○ 友所以輔仁, 故盡其心以告之, 善其說以道之. 然以義合者也, 故不可則止. 若以數而見疏, 則自辱矣.
○ 벗은(友) 인을 돕는 것이고(所以輔仁), 그러므로(故) 그 마음을 다해서(盡其心以) 일러주고(告之), 그 말을 잘해서(善其說以) 이끈다(道之). 그러나(然) 의로 합한 것이고(以義合者也), 그러므로(故) 안 되면(不可則) 그만둔다(止). 만약(若) 자주 해서(以數而) 소원하게 여겨지면(見疏, 則) 자기를 욕되게 한다(自辱矣).
반응형
'오서(五書) 읽기 > 논어집주(論語集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집주(論語集注) 자로(子路) 13-1] 선지노지(先之勞之) / 솔선수범하고 힘써 노력해라 (0) | 2024.09.19 |
---|---|
[논어집주(論語集注) 안연(顔淵) 12-24] 이우보인(以友輔仁) / 벗을 사귀는 것은 인을 돕는 길이다 (0) | 2024.09.13 |
[논어집주(論語集注) 안연(顔淵) 12-22] 거직조저왕(擧直錯枉) / 곧을 것을 들어 굽은 것은 바르게 하는 것이 인과 지다 (0) | 2024.09.13 |
[논어집주(論語集注) 안연(顔淵) 12-21] 선사후득(先事後得) / 번지가 숭덕과 수특, 변혹을 물었다 (0) | 2024.09.13 |
[논어집주(論語集注) 안연(顔淵) 12-20] 시문비달(是聞非達) / 소문과 통달의 차이 (0) | 2024.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