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子路問政. 子曰: “先之, 勞之.”(자로문정 자왈 선지노지)
자로가 정치를 물었다(子路問政).
선생님이 말씀하시길(子曰): “앞장서서 하고(先之), 힘써 행하라(勞之).”
○ 蘇氏曰: “凡民之行, 以身先之, 則不令而行. 凡民之事, 以身勞之, 則雖勤不怨.”
○ 蘇氏曰: “무릇(凡) 백성이 행할 것을(民之行), 몸소(以身) 앞장서서 하면(先之, 則) 영을 내리지 않더라도(不令而) 행해진다(行). 무릇(凡) 백성의 일을(民之事), 몸소(以身) 힘써서 하면(勞之, 則) 비록(雖) 수고롭더라도(勤) 원망하지 않는다(不怨).”
請益. 曰: “無倦.”(청익 왈무권)
더 청했다(請益). 말씀하시길(曰): “게으르지 말아라(無倦).”라고 했다.
無, 古本作毋.
무는(無), 고본에(古本) 무자로 되어 있다(作毋).
○ 吳氏曰: “勇者喜於有爲而不能持久, 故以此告之.”
○ 吳氏曰: “용감한 사람은(勇者) 큰 일 하는 것을 기뻐하지만(喜於有爲而) 오래 하지 못하고(不能持久), 그러므로(故) 이것으로(以此) 일러주었다(告之).”
○ 程子曰: “子路問政, 孔子旣告之矣. 及請益, 則曰 ‘無倦’而已. 未嘗復有所告, 姑使之深思也.”
○ 程子曰: “자로가 정치를 묻고(子路問政), 공자가(孔子) 이미 그에게 일러주었다(旣告之矣). 더 청함에 이르러(及請益, 則) 말하길(曰) 게으르지 말라고 했을 뿐이다(‘無倦’而已). 일찍이 다시 말한 것이 있지 않으니(未嘗復有所告), 우선(姑) 그로 하여금(使之) 깊이 생각하도록 한 것이다(深思也).”
반응형
'오서(五書) 읽기 > 논어집주(論語集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집주(論語集注) 자로(子路) 13-3] 정명(正名) / 이름을 바르게 하는 것이 통치의 기본이다 (0) | 2024.09.19 |
---|---|
[논어집주(論語集注) 자로(子路) 13-2] 거현재(擧賢才) / 정치는 널리 인재를 등용하는 것이다 (0) | 2024.09.19 |
[논어집주(論語集注) 안연(顔淵) 12-24] 이우보인(以友輔仁) / 벗을 사귀는 것은 인을 돕는 길이다 (0) | 2024.09.13 |
[논어집주(論語集注) 안연(顔淵) 12-23] 충고선도(忠告善道) / 공자가 말한 친구 사귀는 방법 (0) | 2024.09.13 |
[논어집주(論語集注) 안연(顔淵) 12-22] 거직조저왕(擧直錯枉) / 곧을 것을 들어 굽은 것은 바르게 하는 것이 인과 지다 (0) | 2024.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