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맹의 뒤안길/효경주소(孝經注疏)

[효경주소(孝經注疏) 사장(士章) (1/2)] 부모를 모시고 형을 따르는 것을 임금과 제후에게 옮길 수 있다

by मोक्ष 2024. 2. 10.
반응형

【疏】正義曰: 次卿大夫者, 即士也. 案《說文》曰: "數始於一, 終於十." 孔子曰: "推一荅十爲士." 《毛詩傳》曰: "士者事也." 《白虎通》曰: "士者事也, 任事之稱也." 故《禮辨名記》曰: "士者任事之稱也. 傳曰: 通古今, 辨然不然, 謂之士." 

【疏】正義曰: 경대부의 다음이 되는 것은(次卿大夫者), 곧 사다(即士也). 설문에서 말한 것을 살펴보면(案《說文》曰): "수는(數) 1에서 시작하고(始於一), 10에서 끝난다(終於十)."라고 했다. 공자가 말하길(孔子曰): "일을 미루어(推一) 열에 응답시키는 사람이(荅十) 사다(爲士)."라고 했다. 모시전에 이르길(《毛詩傳》曰): "사란(士者) 일이다(事也)."라고 했다. 백호통에 이르길(《白虎通》曰): "사란 일이고(士者事也), 일을 맡은 사람의(任事之) 통칭이다(稱也)."라고 했다. 그러므로(故) 예변명기에서 이르길(《禮辨名記》曰): "사란(士者) 일을 맡은 사람의 통칭이다(任事之稱也). 전에 이르길(傳曰): 옛날과 지금에 통하고(通古今), 그러함과 그러하지 않음을(然不然) 분별하는 사람을(辨), 사라고 한다(謂之士)."라고 했다. 

 

資於事父以事母, 而愛同; 資於事父以事君, 而敬同. 《資, 取也. 言愛父與母同, 敬父與君同.》 故母取其愛, 而君取其敬, 兼之者父也. 《言事父兼愛與敬也.》 故以孝事君則忠, 《移事父孝以事於君, 則爲忠矣.》 以敬事長則順. 《移事兄敬以事於長, 則爲順矣.》 忠順不失, 以事其上, 然後能保其祿位, 而守其祭祀. 《能盡忠順以事君長, 則常安祿位, 永守祭祀.》 蓋士之孝也. 

아버지를 모시는 것에서 취하여(資於事父以) 어머니를 모시니(事母, 而) 사랑이 같고(愛同); 아버지를 모시는 것에서 취하여(資於事父以) 임금을 모시니(事君, 而) 공경함이 같다(敬同). 《자는(資), 취함이다(取也). 아버지와 어머니를 사랑하는 것이 같고(愛父與母同), 아버지와 임금을 공경하는 것이 같다는(敬父與君同) 말이다(言).》 그러므로(故) 어머니가(母) 그 사랑을 취하고(取其愛, 而) 임금이(君) 그 공경함을 취하여(取其敬), 둘 모두를 가진 사람은(兼之者) 아버지다(父也). 《아버지를 모시는 것에는(事父) 사랑과 공경을 겸한다는(兼愛與敬) 말이다(也).》 그러므로(故) 효도하는 마음으로(以孝) 임금을 섬기면(事君則) 충성스럽고(忠), 《아버지를 모시는 효를 옮겨서(移事父孝以) 임금을 섬기면(事於君, 則) 충이 된다(爲忠矣).》 공경으로(以敬) 어른을 모시면 공순함이 된다(事長則順). 《형을 모시는 공경함을 옮겨(移事兄敬以) 어른을 섬기면(事於長, 則) 공순함이 된다(爲順矣).》 충성과 공순을 잃지 않고(忠順不失, 以) 그 윗사람을 섬기고 나서(事其上, 然後) 그 녹봉과 지위를 보전할 수 있고(能保其祿位, 而) 그 제사를 지킬 수 있다(守其祭祀). 《충성과 공순함을 다하여(能盡忠順以) 임금과 어른을 섬길 수 있으면(事君長, 則) 늘(常) 녹봉과 지위가 안정되고(安祿位), 제사를 영원히 지킬 수 있다(永守祭祀).》 대체로(蓋) 사의 효다(士之孝也). 

【疏】資於至孝也. 正義曰: 夫子述卿大夫行孝之事終, 次明士之行孝也. 言士始升公朝, 離親入仕, 故此敘事父之愛敬, 宜均事母與事君, 以明割恩從義也. 

【疏】자부터 지효까지(資於至孝也). 正義曰: 부자께서(夫子) 경대부가 행하는 효의 일을 기술하기를(述卿大夫行孝之事) 마치고(終), 다음으로(次) 사가 행하는 효를 밝혔다(明士之行孝也). 사는(言士) 처음(始) 공조에 올라(升公朝), 부모를 떠나(離親) 벼슬길에 들어선 사람이고(入仕), 그러므로(故) 여기서(此) 아버지를 모시는 사랑과 공경이(事父之愛敬), 마땅히(宜) 어머와 임금을 모시는 것에(事母與事君) 균등해야 함을 서술하고(, 以) 은혜를 나누는 것이(割恩) 의리를 따라야 함을(從義) 밝혔다(也).

 

'資'者, 取也. 取於事父之行以事母, 則愛父與愛母同. 取於事父之行以事君, 則敬父與敬君同. 母之於子, 先取其愛; 君之於臣, 先取其敬, 皆不奪其性也. 若兼取愛敬者, 其惟父乎? 旣說愛敬取捨之理, 遂明出身入仕之行. 

자란('資'者), 취함이다(取也). 아버지를 모시는 행동에서 취해서(取於事父之行以) 어머니를 모시면(事母, 則) 아버지와 어머니를 사랑하는 것이(愛父與愛母) 같다(同). 아버지를 모시는 행동에서 취해서(取於事父之行以) 임금을 섬기면(事君, 則) 아버지와 임금을 공경하는 것이(敬父與敬君) 같다(同). 어머니가(母之) 자식에 대해(於子), 그 사랑을 먼저 취하고(先取其愛); 임금이 신하에 대해(君之於臣), 그 공경을 먼저 취하는 것은(先取其敬), 모두(皆) 그 성을 뺏지 않는 것이다(不奪其性也). 만약(若) 사랑과 공경을 함께 취하는 사람이라면(兼取愛敬者), 그것은 오직(其惟) 아버지이지 않겠는가(父乎)? 사랑과 공경을 취하는 도리를(愛敬取捨之理) 설명하고 나서(旣說), 마침내(遂) 출신입사하는 행동을(出身入仕之行) 밝혔다(明).

 

'故'者, 連上之辭也. 謂以事父之孝移事其君, 則爲忠矣; 以事兄之敬移事於長, 則爲順矣. '長'謂公卿大夫, 言其位長於士也. 又言事上之道, 在於忠順, 二者皆能不失, 則可事上矣. '上'謂君與長也, 言以忠順事上, 然後乃能保其祿秩官位, 而長守先祖之祭祀. 蓋士之孝也. 

고란('故'者), 위와 연결시키는 말이다(連上之辭也). 아버지를 모시는 효를(以事父之孝) 그 임금을 섬기는 것으로 옮기면(移事其君, 則) 충이 되고(爲忠矣); 형을 모시는 공경을(以事兄之敬) 어른에게 옮기면(移事於長, 則) 순종이 된다(爲順)는 말이다(矣). 장은('長') 공경대부를 말하고(謂公卿大夫), 그 지위가(其位) 사보다 높은 사람을(長於士) 말한다(也). 또한(又) 윗사람을 섬기는 도는(事上之道), 충과 순에 있으니(在於忠順), 두 가지 모두(二者皆) 잃지 않으면(能不失, 則) 윗사람을 섬길 수 있다는(可事上) 말이다(矣). 상은('上') 임금과 어른을 말하고(謂君與長也), 충과 순으로 윗사람을 섬기고 나서(以忠順事上, 然後) 곧(乃) 그 녹봉과 관직을 보전할 수 있고(能保其祿秩官位, 而) 선조의 제사를(先祖之祭祀) 오래 지킬 수 있다는(長守) 말이다(言). 대체로 사의 효다(蓋士之孝也).

 

《援神契》云: "士行孝曰究." 以明審爲義, 當須能明審資親事君之道, 是能榮親也. 《白虎通》云: "天子之士獨稱元士. 蓋士賤, 不得體君之尊, 故加'元'以別於諸侯之士也." 此直言士, 則諸侯之士; 前言大夫, 是戒天子之大夫, 諸侯之大夫可知也. 此章戒諸侯之士, 則天子之士亦可知也. 

원신계에서 이르길(《援神契》云): "사가 효를 행하는 것을(士行孝) 구라 한다(曰究)."라고 했다. 밝게 살피는 것을(以明審) 뜻으로 삼으니(爲義), 마땅히(當須) 부모를 섬기는 것을 바탕으로(資親) 임금을 섬기는 도를(事君之道) 밝게 살필 수 있으면(能明審), 이것이(是) 부모를 영광스럽게 할 수 있다(能榮親也). 백호통에서 이르길(《白虎通》云): "천자의 사는(天子之士) 특히(獨) 원사라고 칭한다(稱元士). 대체로(蓋) 사는 신분이 낮아(士賤), 임금과 한 몸이 되는 존경을 받지 못하고(不得體君之尊), 그러므로(故) 원자를 더하여(加'元'以) 제후의 사와(於諸侯之士) 구별했다(也)."라고 했다. 여기서(此) 단지 사라고 말했다면(直言士, 則) 제후의 사이고(諸侯之士); 전에(前) 대부라고 말한 것은(言大夫), 곧(是) 천자의 대부를 경계하도록 한 것이니(戒天子之大夫), 제후의 대부가 <어떠해야 할지>(諸侯之大夫) 알만하다(可知也). 이 장은(此章) 제후의 사를 경계하도록 한 것이니(戒諸侯之士, 則) 천자의 사도(天子之士) 또한(亦) 알 수 있다(可知也). 

 

○注資取至君同. ○正義曰: 云'資, 取也', 此依孔傳也. 案鄭注《表記》、《考工記》, 並同訓'資, 取也'. 云'言愛父與母同, 敬父與君同'者, 謂事母之愛, 事君之敬, 並同於父也. 然愛之與敬, 俱出於心. 君以尊高而敬深, 母以鞠育而愛厚. 

○注자취부터 군동까지(資取至君同). ○正義曰: 자는 취하다는 뜻이라고 말한 것은(云'資, 取也'), 이것은(此) 공전을 따른 ㄱ것이다(依孔傳也). 정주 표기와 고공기를 살펴보면(案鄭注《表記》《考工記》), 모두(並) 자는 취란 뜻이라고 같게 해석했다(同訓'資, 取也'). 아버지와 어머니를 사랑하는 것이 같고, 아버지와 군자를 공경하는 것이 같다는 말이다라고 한 것은(云'言愛父與母同, 敬父與君同'者), 어머니를 모시는 사랑과(事母之愛), 임금을 모시는 공경이(事君之敬), 모두(並) 아머지와 같다는(同於父) 말이다(也). 그러나(然) 사랑과 공경이(愛之與敬), 모두(俱) 마음에서 나온다(出於心). 임금은(君) 존귀하고 높기 때문에(以尊高而) 공경이 깊고(敬深), 어머니는(母) 사랑하여 길러주었기 때문에(以鞠育而) 사랑이 두텁다(愛厚).

 

劉炫曰: "夫親至則敬不極, 此情親而恭少. 尊至則愛不極, 此心敬而恩殺也. 故敬極於君, 愛極於母." 梁王云: "《天子章》陳愛敬以辨化也. 此章陳愛敬以辨情也." 

유현이 말하길(劉炫曰): "무릇(夫) 친함이 지극하면(親至則) 공경이 지극하지 못하고(敬不極), 이것은(此) 감정이 친해서(情親而) 공손함이 적어진 것이다(恭少). 존귀함이 지극하면(尊至則) 사랑이 지극하지 못하니(愛不極), 이것은(此) 마음이 공경해서(心敬而) 은혜가 줄어든 것이다(恩殺也). 그러므로(故) 공경은(敬) 임금에게 지극하고(極於君), 사랑은(愛) 어머니에게 지극하다(極於母)."라고 했다. 양왕이 말하길(梁王云): "천자장은(《天子章》) 사랑과 공경을 진술해서(陳愛敬以) 변화를 구별했다(辨化也). 이 장은(此章) 사랑과 공경을 진술해서(陳愛敬以) 감정을 구별했다(辨情也)."라고 했다. 

 

○注言事至敬也. ○正義曰: 此依王注也. 劉炫曰: "母親至而尊不至, 豈則尊之不極也? 君尊至而親不至, 豈則親之不極也? 惟父旣親且尊, 故曰兼也." 劉瓛曰: "父情天屬, 尊無所屈. 故愛敬雙極也." 

○注언사부터 지경까지(言事至敬也). ○正義曰: 이것은(此) 왕숙의 주를 따랐다(依王注也). 유현이 말하길(劉炫曰): "어머니의 친함이 지극하지만(母親至而) 존귀함이 지극하지 않으니(尊不至), 어찌(豈則) 존귀함이 지극하지 않은가(尊之不極也)? 임금의 존귀함이 지극하지만(君尊至而) 친함이 지극하지 않으니(親不至), 어찌(豈則) 친함이 지극하지 않은가(親之不極也)? 오로지(惟) 아버지가 이미(父) 친하고 또 존귀하고(旣親且尊), 그러므로(故) 겸했다고 한다(曰兼也)."라고 했다. 유현이 말하길(劉瓛曰): "아버지의 정은(父情) 천성적이고(天屬), 존귀함에(尊) 시드는 것이 없다(無所屈). 그러므로(故) 사랑과 공경이(愛敬) 모두 지극하다(雙極也)."라고 했다. 

 

○注移事至忠矣. ○正義曰: 此依鄭注也. 《揚名章》云'君子之事親孝, 故忠可移於君'是也. 舊說云: "入仕本欲安親, 非貪榮貴也. 若用安親之心, 則爲忠也. 若用貪榮之心, 則非忠也." 嚴植之曰: "上云君父敬同, 則忠孝不得有異." 言以至孝之心事君, 必忠也. 

○注사사부터 충의까지(移事至忠矣). ○正義曰: 이것은(此) 정현 주를 따랐다(依鄭注也). 양명장에 이르길(《揚名章》云) '군자가(君子之) 부모를 효성으로 모시고(事親孝), 그러므로(故) 충을(忠) 임금에게 옮길 수 있다(可移於君)'란 이것이다(是也). 옛설에 이르길(舊說云): "벼슬길에 들어가는 것은(入仕) 본래(本) 부모를 편안하게 하려는 것이지(欲安親), 영화를 탐내는 것이 아니다(非貪榮貴也). 만약(若) 부모를 편안하게 하려는 마음을 쓰면(用安親之心, 則) 충이다(爲忠也). 만약(若) 영화를 탐내는 마음을 쓰면(用貪榮之心, 則) 충이 아니다(非忠也)."리고 했다. 엄식지가 말하길(嚴植之曰): "앞에서(上) 임금과 아버지의 공경이 같다고 말했다면(云君父敬同, 則) 충과 효에(忠孝) 차이가 있을 수 없다(不得有異)."라고 했다. 지극한 효의 마음으로(以至孝之心) 임금을 모시면(事君), 반드시 충성스럽다는(必忠) 말이다(也). 

 

○注移事至順矣. ○正義曰: 此依鄭注也. 下章云: "事兄悌, 故順可移於長." 注不言悌而言敬者, 順經文也. 《左傳》曰: "兄愛弟敬." 又曰: "弟順而敬." 則知悌之與敬, 其義同焉. 《尚書》云: "邦伯師長." 安國曰: "眾長, 公卿也." 則知大夫已上, 皆是上之長. 

○注이사부터 순의까지(移事至順矣). ○正義曰: 이것은(此) 정현의 주에 따랐다(依鄭注也). 아래 장에서 말하길(下章云): "형을 공손함으로 모시고(事兄悌), 그러므로(故) 순종함을(順) 어른에게 옮길 수 있다(移於長)."라고 했다. 주에서(注) 공손함은 말하지 않고(不言悌而) 공경함을 말한 것은(言敬者), 경문을 따른 것이다(順經文也). 좌전에 이르길(《左傳》曰): "형은 사랑하고 아우는 공경한다(兄愛弟敬)."라고 했다. 또 말하길(又曰): "동생은(弟) 순종하고 공경한다(順而敬)."라고 했다. 그렇다면(則) 공손과 공경은(悌之與敬), 그 뜻이 같음을 알 수 있다(其義同焉). 상서에 이르길(《尚書》云): "나라의 제후와 여러 어른들(邦伯師長)."이라고 했다. 공안국이 말하길(安國曰): "여러 어른은(眾長), 공경이다(公卿也)."라고 했다. 그렇다면(則) 대부 이상은(大夫已上), 모두(皆) 사의 윗사람임을 알 수 있다(是上之長). 

 

○注能盡至祭祀. ○正義曰: 謂能盡忠順以事君長, 則能保其祿位也. 祿謂廩食, 位謂爵位. 《廣雅》曰: "位, 涖也. 涖下爲位." 《王制》云: "上農夫食九人." 謂諸侯之下士, 視上農夫, 中士倍下士, 上士倍中士. 祭者際也, 人神相接, 故曰際也. 祀者似也, 謂祀者似將見先人也. 士亦有廟, 經不言耳. 大夫旣言宗廟, 士可知也; 士言祭祀, 則大夫之祭祀亦可知也: 皆互以相明也. 諸侯言保其社稷, 大夫言守其宗廟, 士則'保''守'並言者, 皇侃云: "稱保者安鎮也, 守者無近也. 社稷祿位是公, 故言保. 宗廟祭祀是私, 故言守也. 士初得祿位, 故兩言之也." 

○注능진부터 제사까지(能盡至祭祀). ○正義曰: 충과 순을 다해서(謂能盡忠順以) 임금과 어른을 모시면(事君長, 則) 그 녹봉과 지위를 보존할 수 있다(能保其祿位也). 녹은(祿) 받는 곡식을 말하고(謂廩食), 위는(位) 작위를 말한다(謂爵位). 광아에서 말하길(《廣雅》曰): "위는(位), 나아가다/다스리다는 뜻이다(涖也). 아랫사람을 다스리는/아래 자리에 나아가는 것이(涖下) 위다(爲位)."라고 했다. 왕제에서 말하길(《王制》云): "좋은 농토를 가진 장정은(上農夫) 9명을 먹인다(食九人)."라고 했다. 제후의 사는(謂諸侯之下士), 좋은 농토에서 한 명이 농사짓는 것과 비교되고(視上農夫), 중사는(中士) 하사의 2배가 되고(倍下士), 상사는(上士) 중사의 2배가 된다(倍中士). 제란(祭者) 닿다는 뜻이고(際也), 사람과 신이(人神) 서로 닿고(相接), 그러므로 제라고 한다(故曰際也). 사란(祀者) 비슷하다는 뜻이고(似也), 사란(祀者) 장차 선조를 만나는 것과 비슷함을 말한다(似將見先人也). 사도 또한(士亦) 묘가 있는데(有廟), 경에서(經) 말하지 않았을 뿐이다(不言耳). 대부에서(大夫) 이미 종묘를 말했으니(旣言宗廟), 사는 알만하고(士可知也); 사에서(士) 제사를 말했다면(言祭祀, 則) 대부의 제사도 또한(大夫之祭祀亦) 알만하니(可知也): 모두(皆) 서로가(互以) 서로를 밝혀준다(相明也). 제후는(諸侯) 그 사직을 보존한다고 말하고(言保其社稷), 대부는(大夫) 그 종묘를 지킨다고 말하고(言守其宗廟), 사는(士則) 보와 수를 함께 말한 것은('保''守'並言者), 황간이 말하길(皇侃云): "보란(保者) 안정시키는 것을(安鎮) 말하고(也), 수란(守者) 가까움이 없는 것이다(無近也). 사직과 녹위는(社稷祿位) 공적인 것이고(是公), 그러므로(故) 보존을 말했다(言保). 종묘와 제사는(宗廟祭祀) 사적인 것이고(是私), 그러므로(故) 지킨다고 말했다(言守也). 사가 처음(士初) 녹위를 얻고(得祿位), 그러므로(故) 둘을 말했다(兩言之也)."라고 했다. 

 

* 廩食(름식): 정부()에서 부조미()를 받음. 또는 그 부조미().

* 安鎮(안진): 평안()하게 진정()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