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子曰: “苟有用我者, 朞月而已可也, 三年有成.”(구유용아자 기월이이가야 삼년유성)
子曰: “만약(苟) 나를 쓰는 사람이 있다면(有用我者), 돌아오는 월(1년)이면(朞月而) 이미 볼만할 것이고(已可也), 3년에는(三年) 이루는 것이 있을 것이다(有成.)”
朞月, 謂周一歲之月也. 可者, 僅辭, 言綱紀布也. 有成, 治功成也.
기월은(朞月), 한 해의 달을(一歲之月) 도는 것을 말한다(謂周也). 가란(可者), 그런대로 괜찮다는 말이고(僅辭), 기강이 퍼지는 것을 말한다(言綱紀布也). 유성은(有成), 다스리는 공이(治功) 이루어지는 것이다(成也).
○ 尹氏曰: “孔子歎當時莫能用己也, 故云然.”
○ 尹氏曰: “공자가(孔子) 당시(當時) 아무도 자기를 등용하는 사람이 없는 것을(莫能用己) 한탄했고(歎也), 그러므로(故) 이렇게 말했다(云然).”
愚按: 『史記』, 此蓋爲衛靈公不能用而發.
내가 살피건대(愚按): 사기에(『史記』), 이것은(此) 대체로(蓋) 위령공이(衛靈公) 등용하지 못한 것을(不能用而) 밝혀서 말한 것이다(爲發).
반응형
'오서(五書) 읽기 > 논어집주(論語集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집주(論語集注) 자로(子路) 13-12] 왕자의 정치도 한 세대가 지나야 인이 이루어진다 (0) | 2024.09.20 |
---|---|
[논어집주(論語集注) 자로(子路) 13-11] 승잔거살(勝殘去殺) / 잔인한 사람을 누르고 사형을 없앨 것이다 (0) | 2024.09.20 |
[논어집주(論語集注) 자로(子路) 13-9] 우하가언(又何加焉) / 또 무엇을 더해야 할까요? (0) | 2024.09.20 |
[논어집주(論語集注) 자로(子路) 13-8] 살림살이를 잘 모은 위공자 형 (0) | 2024.09.19 |
[논어집주(論語集注) 자로(子路) 13-7] 노위지정(魯衛之政) / 노나라와 위나라가 모두 혼란스러구나 (0) | 2024.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