子曰: “南人有言曰:(남인유언왈) ‘人而無恆, 不可以作巫醫.’(인이무항 불가이작무의) 善夫!”(선부)
子曰: “남쪽 사람들 말에(南人有言曰): ‘사람이면서(人而) 한결같음이 없으면(無恆), 무당과 의사가 될 수 없다(不可以作巫醫).’라고 했다. 좋구나(善夫)!”
○ 南人, 南國之人. 恆, 常久也. 巫, 所以交鬼神. 醫, 所以寄死生. 故雖賤役, 而猶不可以無常, 孔子稱其言而善之.
○ 남인은(南人), 남쪽 나라의(南國之) 사람이다(人). 항은(恆), 변하지 않고(常) 오래 감이다(久也). 무는(巫), 귀신과 교접하는 사람이다(所以交鬼神). 의는(醫), 생사를 맡기는 사람이다(所以寄死生). 그러므로(故) 비록(雖) 천한 일이지만(賤役, 而) 오히려(猶) 한결같음이 없을 수 없으니(不可以無常), 공자가(孔子) 그 말을 칭찬하고(稱其言而) 좋게 여겼다(善之).
“不恆其德, 或承之羞.”(불항기덕 혹승지수)
“그 덕을(其德) 변하지 않게 하면(不恆), 혹(或) 부끄러운 것이 다가올 것이다(承之羞).”
此『易』「恆卦九三」爻辭. 承, 進也.
이것은(此) 역(『易』) 항괘 구삼효의(「恆卦九三」爻) 말이다(辭). 승은(承), 다가오는 것이다(進也).
子曰: “不占而已矣.”(부점이이의)
子曰: “점을 치지 않았을 뿐이다/점괘를 읽지 않은 것이다(不占而已矣).”
復加 “子曰”, 以別『易』文也, 其義未詳.
다시(復) 자왈을 더해서(加 “子曰”, 以) 주경의 글과(『易』文) 구분했는데(別也), 그 뜻이(其義) 자세하지 않다(未詳).
楊氏曰: “君子於『易』苟玩其占, 則知無常之取羞矣. 其爲無常也, 蓋亦不占而已矣.” 意亦略通.
楊氏曰: “군자가(君子) 주역에 대해(於『易』) 진실로(苟) 그 점괘를 음미하면(玩其占, 則) 한결같음이 없는 것은(無常之) 수치를 취함을(取羞) 알 수 있다(知矣). 그(其) 한결같음이 없게 되었다면(爲無常也), 대체로(蓋) 또한(亦) 점괘를 읽지 않은 것이다(不占而已矣).” 뜻이(意) 또한(亦) 대략 통한다(略通).
'오서(五書) 읽기 > 논어집주(論語集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집주(論語集注) 자로(子路) 13-24] 선자호지(善者好之) / 선한 사람이 좋다고 하는 사람 (0) | 2024.09.21 |
---|---|
[논어집주(論語集注) 자로(子路) 13-23] 화이부동(和而不同) / 잘 어울리지만 따라가지 않는다 (0) | 2024.09.20 |
[논어집주(論語集注) 자로(子路) 13-21] 광견지인(狂狷之人) / 뜻이 크지만 고집 센 사람은 어떤가? (0) | 2024.09.20 |
[논어집주(論語集注) 자로(子路) 13-20] 두소지인(斗筲之人) / 어떤 사람을 선비라고 할 수 있는가? (0) | 2024.09.20 |
[논어집주(論語集注) 자로(子路) 13-19] 공경충(恭敬忠) / 번지가 인에 대해 물었다 (0) | 2024.09.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