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서(五書) 읽기/논어집주(論語集注)

[논어집주(論語集注) 자로(子路) 13-24] 선자호지(善者好之) / 선한 사람이 좋다고 하는 사람

by मोक्ष 2024. 9. 21.
반응형

子貢問曰: “鄕人皆好之, 何如?”(자공문왈 향인개호지 하여) 子曰: “未可也.”(자왈 미가야)

자공이(子貢) 묻기를(問曰): “마을 사람들이(鄕人) 모두(皆) 그를 좋아한다면(好之), 어떤가요(何如)?”라고 했다.

선생님이 말씀하시길(子曰): “옳지 않다(未可也).”라고 했다.

“鄕人皆惡之, 何如?”(향인개오지 하여) 子曰: “未可也.(자왈 미가야)

“마을 사람들이(鄕人) 모두 그를 싫어하면(皆惡之), 어떤가요(何如)?”

子曰: “옳지 않다(未可也).

不如鄕人之善者好之, 其不善者惡之.”(불여향인지선자호지 기불선자오지)

마을 사람 가운데(鄕人之) 좋은 사람이(善者) 그를 좋아하고(好之), 그 선하지 않은 사람이(其不善者) 그를 싫어하는 것만(惡之) 못하다(不如).”


一鄕之人, 宜有公論矣. 然其間亦各以類自爲好惡也. 故善者好之而惡者不惡, 則必其有苟合之行. 惡者惡之而善者不好, 則必其無可好之實.

한 고을의 사람에게(一鄕之人), 마땅히(宜) 공론이 있다(有公論矣). 그러나(然) 그 사이에(其間) 또한(亦) 각자(各) 부류를 따라(以類) 스스로(自) 좋아하고 싫어하게 된다(爲好惡也). 그러므로(故) 선한 사람이(善者) 그를 좋아하고(好之而) 악한 사람이(惡者) 그를 싫어한다면(不惡, 則) 반드시(必) 그에게(其) 진실로 맞는 행실이 있을 것이다(有苟合之行). 악한 사람이(惡者) 그를 싫어하고(惡之而) 좋은 사람이(善者) 좋아하지 않으면(不好, 則) 반드시(必) 그(其) 좋아할만한 실제가(可好之實) 없을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