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서(五書) 읽기/대학장구(大學章句)

[대학장구(大學章句) 전(傳) 9-1] 군자가 집안을 나가지 않더라도 가르침이 나라에 미친다 / 군자불출가 이성교어국(君子不出家 而成敎於國)

by मोक्ष 2024. 2. 10.
반응형

所謂治國必先齊其家者, 其家不可敎, 而能敎人者, 無之. (소위치국필선제기가자 기가불가교 이능교인자 무지) 故君子不出家, 而成敎於國. (고군자불출가 이성교어국)

이른바(所謂) 나라를 다스리는 것은(治國) 반드시(必) 그 집안을 가지런하게 하는 것을 먼저한다는 것은(先齊其家者), 그 집안을(其家) 교화시킬 수 없으면서(不可敎, 而) 남을 교화시킬 수 있는 사람은(能敎人者), 없다(無之)는 것이다. 그러므로(故) 군자는(君子) 집안을 나서지 않고도(不出家, 而) 나라에 교화를 이룰 수 있다(成敎於國).

 

修身則家可敎矣.

몸을 닦음면(修身則) 집안을 교화할 수 있다(家可敎矣).

 

孝者, 所以事君也; 弟者, 所以事長也; 慈者, 所以使衆也.

효란(孝者), 임금을 섬기는 수단이 되고(所以事君也); 제란(弟者), 어른을 섬기는 수단이 되고(所以事長也); 자란(慈者), 무리를 부리는 수단이 된다(所以使衆也).

 

* 所以는 '~으로써, ~하는 것, ~을 가지고, ~을 하는 것' 등으로 해석하는데 여기서는 구체적으로 도구나 수단을 가리킨다.

 

孝弟慈所以修身而敎於家者也. 然而國之所以事君事長使衆之道, 不外乎此, 此所以家齊於上而敎成於下也.

효와 제, 자는(孝弟慈) 몸을 닦는 수단이고(所以修身而) 집안에서 가르치는 수단이다(敎於家者也). 그러나(然而) 나라에서(國之) 임금을 섬기고 어르을 모시고 백성을 부리는 도가(所以事君事長使衆之道), 이것에서(乎此) 벗어나지 않으니(不外), 이것은(此) 집안이(家) 위에서 가지런해지면(齊於上而) 교화가(敎) 아래서 이루어지는(成於下) 까닭이다(所以也).

 

「康誥」曰: “如保赤子.” (여보적자)

강고에 이르길(康誥曰): “어린아이를 보호하는 것처럼 해라(如保赤子).”라고 했다.

此引書而釋之.

이것은(此) 서를 인용해서(引書而) 해석한 것이다(釋之).

 

心誠求之, 雖不中, 不遠矣.(심성구지 수부중 불원의) 未有學養子而后嫁者也!(미유학양자이후가자)

마음이(心) 진실로 구하면(誠求之), 비록(雖) 적중하지 않더라도(不中), 멀어지지 않는다(不遠矣). 아이 키우는 것을 배우고 나서(學養子而后) 시집가는 사람은(嫁者) 있지 않다(未有也)!

 

又明立敎之本, 不假强爲, 在識其端而推廣之耳.

또(又) 교화를 세우는 근본은(立敎之本), 강제로 하는 것을 빌리지 않고(不假强爲), 그 단서를 알아서(識其端而) 미루어 넓히는 것에(推廣之) 있을 뿐이라는 것을(耳) 밝혔다(明).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