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子曰: “君子泰而不驕, 小人驕而不泰.”(군자태이불교 소인교이불태)
子曰: “군자는(君子) 태연하지만(泰而) 교만하지 않고(不驕), 소인은(小人) 교만하지만(驕而) 태연하지 않다(不泰).”
君子循理, 故安舒而不矜肆. 小人逞欲, 故反是.
군자는(君子) 리를 따르고(循理), 그러므로(故) 편안하고 조용하지만(安舒而) 잘난 체하고 제멋대로 하지 않는다(不矜肆). 소인은(小人) 욕망을 따라 제멋대로 하고(逞欲), 그러므로(故) 이와 반대로 한다(反是).
반응형
'오서(五書) 읽기 > 논어집주(論語集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집주(論語集注) 자로(子路) 13-28] 절절시시(切切偲偲) / 선비의 조건 (0) | 2024.09.21 |
---|---|
[논어집주(論語集注) 자로(子路) 13-27] 강의목눌(剛毅木訥) / 인한 사람의 네 가지 자질 (0) | 2024.09.21 |
[논어집주(論語集注) 자로(子路) 13-25] 이사난열(易事難說) / 군자는 모시기 쉽지만 기쁘게 하기는 어렵다 (0) | 2024.09.21 |
[논어집주(論語集注) 자로(子路) 13-24] 선자호지(善者好之) / 선한 사람이 좋다고 하는 사람 (0) | 2024.09.21 |
[논어집주(論語集注) 자로(子路) 13-23] 화이부동(和而不同) / 잘 어울리지만 따라가지 않는다 (0) | 2024.09.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