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子路問曰: “何如斯可謂之士矣?”(자로문왈 하여사가위지사의)
자로가 묻기를(子路問曰): “어떠하면(何如斯) 선비라고 말할 수 있을까요(可謂之士矣)?”
子曰: “切切, 偲偲, 怡怡如也, 可謂士矣.(절절시시 이이여야 가위사의) 朋友切切, 偲偲, 兄弟怡怡.”(붕우절절시시 형제이이)
子曰: “간절하고(切切), 자상하게 권하고(偲偲), 어울리고 기뻐하는 것을(怡怡如也), 사라고 할 수 있다(可謂士矣). 벗 사이에는(朋友) 간절하고(切切), 자상하게 권해야 하고(偲偲), 형제 사이에는(兄弟) 어울리고 기뻐해야 한다(怡怡).”
胡氏曰: “切切, 懇到也. 偲偲, 詳勉也. 怡怡, 和悅也. 皆子路所不足, 故告之. 又恐其混於所施, 則兄弟有賊恩之禍, 朋友有善柔之損, 故又別而言之.”
胡氏曰: “절절은(切切), 간절하게 마음 쓰는 것이다(懇到也). 시시는(偲偲), 자상하게 권하는 것이다(詳勉也). 이이는(怡怡), 어울리고 기뻐하는 것이다(和悅也). 모두(皆) 자로가(子路) 부족한 것이고(所不足), 그러므로 일러 주었다(故告之). 또(又) 그(其) 베푸는 것에(於所施) 뒤섞이면(混, 則) 형제에게(兄弟) 은혜를 해치는 화가 있고(有賊恩之禍), 붕우에게(朋友) 선유하는 손해가 있을까(有善柔之損) 걱정하고(恐), 그러므로(故) 또(又) 구분해서(別而) 말했다(言之).”
* 懇到(간도): 간절(懇切)하고 빈틈없이 마음을 씀.
* 善柔(선유): 성실(誠實)한 마음이 없고, 외면(外面)만 유화(柔和)함.
반응형
'오서(五書) 읽기 > 논어집주(論語集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집주(論語集注) 자로(子路) 13-30] 불교민전(不敎民戰) / 백성을 가르치지 않고 전쟁터로 보내다 (0) | 2024.09.21 |
---|---|
[논어집주(論語集注) 자로(子路) 13-29] 선인교민(善人敎民) / 선인이 백성을 7년 동안 가르치면 일어나는 일 (0) | 2024.09.21 |
[논어집주(論語集注) 자로(子路) 13-27] 강의목눌(剛毅木訥) / 인한 사람의 네 가지 자질 (0) | 2024.09.21 |
[논어집주(論語集注) 자로(子路) 13-26] 태이불교(泰而不驕) / 태연하고 교만하지 않다 (0) | 2024.09.21 |
[논어집주(論語集注) 자로(子路) 13-25] 이사난열(易事難說) / 군자는 모시기 쉽지만 기쁘게 하기는 어렵다 (0) | 2024.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