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子曰: “驥不稱其力, 稱其德也.”(기불칭기력 칭기덕야)
子曰: “천리마는(驥) 그 힘을(其力) 칭찬하는 것이 아니라(不稱), 그 덕을 칭찬한다(稱其德也).”
驥, 善馬之名. 德, 謂調良也.
기는(驥), 좋은 말의(善馬之) 이름이다(名). 덕은(德), 길들여지고(調) 순한 것을(良) 말한다(謂也).
○ 尹氏曰: “驥雖有力, 其稱在德. 人有才而無德, 則亦奚足尙哉?”
○ 尹氏曰: “천리마에게(驥) 비록(雖) 힘이 있지만(有力), 그 칭찬은(其稱) 덕에 있다(在德). 사람에게(人) 재주가 있고(有才而) 덕이 없다면(無德, 則) 또한(亦) 어찌(奚) 높이기에 충분하겠는가(足尙哉)?”
반응형
'오서(五書) 읽기 > 논어집주(論語集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집주(論語集注) 헌문(憲問) 14-37] 하학상달(下學上達) / 차근차근 이치를 배워 깨달음에 나아간다 (0) | 2024.09.26 |
---|---|
[논어집주(論語集注) 헌문(憲問) 14-36] 이직보원(以直報怨) / 원한을 바름으로 갚는다 (0) | 2024.09.26 |
[논어집주(論語集注) 헌문(憲問) 14-34] 하위시서서(何爲是栖栖) / (0) | 2024.09.26 |
[논어집주(論語集注) 헌문(憲問) 14-33] 불역불억(不逆不億) / 어진 사람은 늘 먼저 깨닫는다 (0) | 2024.09.25 |
[논어집주(論語集注) 헌문(憲問) 14-32] 환기불능(患其不能) / 자기 능력이 모자란 것을 걱정해라 (0) | 2024.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