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孟子曰: “無爲其所不爲, 無欲其所不欲, 如此而已矣.”(무위기소불위 무욕기소불욕 여차이이의)
孟子曰: “그(其) 하지 않아야 할 것을(所不爲) 하지 말고(無爲), 그 욕심내지 않아야 할 것을(其所不欲) 욕심내지 말고(無欲), 이와 같을 뿐이다(如此而已矣).”
李氏曰: “有所不爲不欲, 人皆有是心也. 至於私意一萌, 而不能以禮義制之, 則爲所不爲, 欲所不欲者多矣. 能反是心, 則所謂擴充其羞惡之心者, 而義不可勝用矣, 故曰如此而已矣.”
李氏曰: “하지 말아야 하고 욕심내지 말아야 할 것이 있고(有所不爲不欲), 사람은 모두(人皆) 이 마음이 있다(有是心也). 사의가 하나 싹트는 것에 이르러(至於私意一萌, 而) 예의로(以禮義) 그것을 제어할 수 없으면(不能制之, 則) 하지 말아야 할 것을 하고(爲所不爲), 욕심내지 말아야 할 것을 욕심내는 사람이(欲所不欲者) 많다(多矣). 이 마음을(是心) 반대로 할 수 있으면(能反, 則) 이른바(所謂) 그 수오지심을 확충한 사람이고(擴充其羞惡之心者, 而) 의를(義) 이루 다 쓸 수 없고(不可勝用矣), 그러므로(故) 이와 같을 뿐이라고 했다(曰如此而已矣).”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