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서(五書) 읽기/논어집주(論語集注)

[논어집주(論語集注) 계씨(季氏) 16-9] 생이지지(生而知之) / 세상에 태어나면서부터 아는 것이 상등의 인품이다

by मोक्ष 2024. 10. 5.
반응형

孔子曰: “生而知之者, 上也;(생이지지자 상야) 學而知之者, 次也;(학이지지자 차야) 困而學之, 又其次也;(곤이학지 우기차야)

孔子曰: “태어나면서(生而) 아는 사람은(知之者), 상등이고(上也); 배워서(學而) 아는 사람은(知之者), 다음이고(次也); 곤란을 당해서(困而) 배우는 사람은(學之), 또(又) 그다음이고(其次也);

困, 謂有所不通.

곤은(困), 통하지 않는 것이 있음을 말한다(謂有所不通).

 

困而不學, 民斯爲下矣.”(곤이불학 민사위하의)

곤란을 당했는데도(困而) 배우지 않는 것은(不學), 백성이(民斯) 하등이 된다(爲下矣).”

 

言人之氣質不同, 大約有此四等.

사람의 기질이(人之氣質) 같지 않고(不同), 대략(大約) 이 네 등급이 있음을(有此四等) 말했다(言).

 

○ 楊氏曰: “生知ㆍ學知以至困學, 雖其質不同, 然及其知之一也. 故君子惟學之爲貴. 困而不學, 然後爲下.”

○ 楊氏曰: “생지와 학지부터(生知ㆍ學知) 곤학에 이르는 것으로(以至困學), 비록(雖) 그 기질이(其質) 같지 않지만(不同), 그러나(然) 그 앎에 이르는 것은(及其知之) 같다(一也). 그러므로(故) 군자는(君子) 오직(惟) 배움을(學之) 귀하게 여긴다(爲貴). 곤란을 당해서(困而) 배우고 않고 나서야(不學, 然後) 하등이 된다(爲下).”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