公山弗擾以費畔, 召, 子欲往.(공산불요이비반 소자욕왕)
공산불요가(公山弗擾) 비읍으로(以費) 배반하고(畔), 부르니(召), 선생님이(子) 가려고 했다(欲往).
弗擾, 季氏宰. 與陽貨共執桓子, 據邑以叛.
불요는(弗擾), 계씨의 가신이다(季氏宰). 양호와 더불어(與陽貨) 함께(共) 계환자를 잡아두고(執桓子), 읍을 점거하고(據邑以) 반란을 일으켰다(叛).
子路不說, 曰: “末之也已, 何必公山氏之之也.”(자로불열왈 미지야이 하필공산씨지지야)
자로가(子路) 기뻐하지 않으며(不說), 말하길(曰): “갈 곳이 없으니(末之也已), 하필(何必) 공산씨에게 갑니까(公山氏之之也).”
○ 末, 無也. 言道旣不行, 無所往矣, 何必公山氏之往乎?
○ 미는(末), 무다(無也). 도가 이미 행해지지 않아서(道旣不行), 갈 곳이 없는데(無所往矣), 하필(何必) 공산씨에게(公山氏之) 가는 것인가요(往乎)라는 말이다(言).
子曰: “夫召我者而豈徒哉?(부소아자이기도재) 如有用我者, 吾其爲東周乎.”(여유용아자 오기위동주호)
子曰: “무릇(夫) 나를 부르는 사람이라면(召我者而) 어찌(豈) 헛되이 하겠는가(徒哉)? 만약(如) 나를 등용하는 사람이 있다면(有用我者), 내가(吾) 아마(其) 동주를 만들 것이다(爲東周乎).”
○ 豈徒哉, 言必用我也. 爲東周, 言興周道於東方.
○ 기도재는(豈徒哉), 반드시(必) 나를 쓸 것이다란(用我) 말이다(言也). 위동주는(爲東周), 주나라의 도가(周道) 동방에서(於東方) 흥한다는(興) 말이다(言).
○ 程子曰: “聖人以天下無不可有爲之人, 亦無不可改過之人, 故欲往. 然而終不往者, 知其必不能改故也.”
○ 程子曰: “성인이(聖人) 천하에(以天下) 큰일 할 사람이 없지 않고(無不可有爲之人), 또한(亦) 잘못을 고치지 않는 살마이 없고(無不可改過之人), 그러므로(故) 가려고 한 것이다(欲往). 그러나(然而) 마침내(終) 가지 않은 것은(不往者), 그가(其) 반드시(必) 고칠 수 없음을(不能改) 알았기 때문이다(知故也).”
'오서(五書) 읽기 > 논어집주(論語集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집주(論語集注) 양화(陽貨) 17-7] 날이불치(涅而不緇) / 물들여도 검어지지 않는다 (0) | 2024.10.06 |
---|---|
[논어집주(論語集注) 양화(陽貨) 17-6] 공관신민혜(恭寬信敏惠) / 인이 되는 다섯 가지 덕목 (0) | 2024.10.06 |
[논어집주(論語集注) 양화(陽貨) 17-4] 할계우도(割鷄牛刀) / 작은 일에 큰 힘을 쓰는구나 (0) | 2024.10.06 |
[논어집주(論語集注) 양화(陽貨) 17-3] 하우불이(下愚不移) / 상지와 하우는 옮겨갈 수 없다 (0) | 2024.10.06 |
[논어집주(論語集注) 양화(陽貨) 17-2] 성근습원(性近習遠) / 본성은 비슷하지만 습관이 차이를 만든다 (0) | 2024.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