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子曰: “能以禮讓爲國乎? 何有?(능이예양위국호 하유) 不能以禮讓爲國, 如禮何?”(불능이예양위국 여례하)
子曰: “예의 사양함으로(禮讓) 나라를 다스릴 수 있는가(能以爲國乎)? 무슨 어려움이 있겠는가(何有)? 예의 사양함으로(以禮讓) 나라를 다스릴 수 없다면(不能爲國), 예를 어찌할 것인가(如禮何)?”
* 禮讓(예양): 예(禮)를 지켜 사양(辭讓)함.
讓者, 禮之實也. 何有, 言不難也. 言有禮之實以爲國, 則何難之有, 不然, 則其禮文雖具, 亦且無如之何矣, 而況於爲國乎?
양이란(讓者), 예의 실질이다(禮之實也). 하유는(何有), 어렵지 않다는 말이다(言不難也). 예의 실질이 있음으로(有禮之實以) 나라를 다스린다면(爲國, 則) 어떤 어려움이 있겠는가(何難之有), 그렇지 않다면(不然, 則) 그 예의 꾸밈이(其禮文) 비록 갖추어졌더라도(雖具), 또한(亦且) 어찌할 수 있는 것이 없으니(無如之何矣, 而) 하물며(況) 나라를 다스리는 것에 대해서는 어떻겠는가(於爲國乎)하는 말이다(言).
반응형
'오서(五書) 읽기 > 논어집주(論語集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집주(論語集注) 이인(里仁) 4-15] 일이관지(一以貫之) / 내 도는 하나로 꿰뚫는다 (0) | 2024.05.01 |
---|---|
[논어집주(論語集注) 이인(里仁) 4-14] 불환무위(不患無位) / 지위가 없다고 걱정하지 말아라 (0) | 2024.04.29 |
[논어집주(論語集注) 이인(里仁) 4-12] 방리다원(放利多怨) / 이익을 좇으면 원망이 많다 (0) | 2024.04.28 |
[논어집주(論語集注) 이인(里仁) 4-11] 군자회덕(君子懷德) / 군자는 해야 할 것과 하지 말아야 할 것을 생각한다 (0) | 2024.04.26 |
[논어집주(論語集注) 이인(里仁) 4-10] 무가무불가(無可無不可) / 오직 의를 따른다 (0) | 2024.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