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서(五書) 읽기/논어집주(論語集注)

[논어집주(論語集注) 이인(里仁) 4-16] 유어의 유어리(喩於義 喩於利) / 군자와 소인의 차이

by मोक्ष 2024. 5. 1.
반응형

子曰: “君子喩於義, 小人喩於利.”(군자유어의 소인유어리)

子曰: “군자는(君子) 의에서 깨닫고(喩於義), 소인은(小人) 이에서 깨닫는다(喩於利).”

喩, 猶曉也. 義者, 天理之所宜. 利者, 人情之所欲.

유는(喩), 깨우침과 같다(猶曉也). 의란(義者), 천리의 마땅함이다(天理之所宜). 이란(利者), 사람의 정이 바라는 것이다(人情之所欲).

○ 程子曰: “君子之於義, 猶小人之於利也. 唯其深喩, 是以篤好.”

○ 程子曰: “군자가(君子之) 의를 대하는 것은(於義), 소인이 이를 대하는 것과 같다(猶小人之於利也). 오직(唯) 그가 깊이 알고(其深喩), 이 때문에(是以) 독실하게 좋아한다(篤好).”

楊氏曰: “君子有舍生而取義者, 以利言之, 則人之所欲無甚於生, 所惡無甚於死, 孰肯舍生而取義哉? 其所喩者義而已, 不知利之爲利故也, 小人反是.”

楊氏曰: “군자에게(君子) 삶을 버리고(舍生而) 의를 취하는 것이(取義) 있는 것은(者), 이로써 말한다면(以利言之, 則) 사람이(人之) 원하는 것에(所欲) 삶보다 더한 것이 없고(無甚於生), 싫어하는 것에(所惡) 죽음보다 더한 것이 없는데(無甚於死), 누가(孰) 기꺼이 삶을 버리고(肯舍生而) 의를 취하겠는가(取義哉)? 그 깨달은 것이(其所喩者) 의일 따름이고(義而已), 리가(利之) 이익이 됨을 모르기(不知爲利) 때문이고(故也), 소인은(小人) 이것과 반대로 한다(反是).”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