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子曰: “君子喩於義, 小人喩於利.”(군자유어의 소인유어리)
子曰: “군자는(君子) 의에서 깨닫고(喩於義), 소인은(小人) 이에서 깨닫는다(喩於利).”
喩, 猶曉也. 義者, 天理之所宜. 利者, 人情之所欲.
유는(喩), 깨우침과 같다(猶曉也). 의란(義者), 천리의 마땅함이다(天理之所宜). 이란(利者), 사람의 정이 바라는 것이다(人情之所欲).
○ 程子曰: “君子之於義, 猶小人之於利也. 唯其深喩, 是以篤好.”
○ 程子曰: “군자가(君子之) 의를 대하는 것은(於義), 소인이 이를 대하는 것과 같다(猶小人之於利也). 오직(唯) 그가 깊이 알고(其深喩), 이 때문에(是以) 독실하게 좋아한다(篤好).”
楊氏曰: “君子有舍生而取義者, 以利言之, 則人之所欲無甚於生, 所惡無甚於死, 孰肯舍生而取義哉? 其所喩者義而已, 不知利之爲利故也, 小人反是.”
楊氏曰: “군자에게(君子) 삶을 버리고(舍生而) 의를 취하는 것이(取義) 있는 것은(有者), 이로써 말한다면(以利言之, 則) 사람이(人之) 원하는 것에(所欲) 삶보다 더한 것이 없고(無甚於生), 싫어하는 것에(所惡) 죽음보다 더한 것이 없는데(無甚於死), 누가(孰) 기꺼이 삶을 버리고(肯舍生而) 의를 취하겠는가(取義哉)? 그 깨달은 것이(其所喩者) 의일 따름이고(義而已), 리가(利之) 이익이 됨을 모르기(不知爲利) 때문이고(故也), 소인은(小人) 이것과 반대로 한다(反是).”
반응형
'오서(五書) 읽기 > 논어집주(論語集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집주(論語集注) 이인(里仁) 4-18] 노이불원(勞而不怨) / 부모를 위해 고생하더라도 원망하지 않는다 (0) | 2024.05.02 |
---|---|
[논어집주(論語集注) 이인(里仁) 4-17] 견현사제(見賢思齊) / 어진 사람을 보고 그와 같이 되기를 생각한다 (0) | 2024.05.02 |
[논어집주(論語集注) 이인(里仁) 4-15] 일이관지(一以貫之) / 내 도는 하나로 꿰뚫는다 (0) | 2024.05.01 |
[논어집주(論語集注) 이인(里仁) 4-14] 불환무위(不患無位) / 지위가 없다고 걱정하지 말아라 (0) | 2024.04.29 |
[논어집주(論語集注) 이인(里仁) 4-13] 예양위국(禮讓爲國) / 예로 나라를 다스리는 것이 무슨 어려움이 있겠는가 (0) | 2024.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