冉求曰: “非不說子之道, 力不足也.”(염구왈 비불열자지도 역부족야) 子曰: “力不足者, 中道而廢. 今女畫.”(자왈 역부족자 중도이폐 금여획)
염구가 말하길(冉求曰): “선생님의 도를(子之道) 좋아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非不說), 힘이 충분하지 않습니다(力不足也).”라고 했다.
공자가 말하길(子曰): “힘이 부족한 사람은(力不足者), 중간에(中道而) 그만둔다(廢). 지금(今) 너는 선을 긋고 있다(女畫).”라고 했다.
○ 力不足者, 欲進而不能. 畫者, 能進而不欲. 謂之畫者, 如畫地以自限也.
○ 역부족이란(力不足者), 나아가려고 하지만(欲進而) 할 수 없는 것이다(不能). 획이란(畫者), 나아갈 수 있지만(能進而) 하려고 하지 않는 것이다(不欲). 이것을 획이라고 말한 것은(謂之畫者), 마치(如) 땅에 금을 긋는 것처럼(畫地) 스스로(以自) 한계를 만든 것이다(限也).
○ 胡氏曰: “夫子稱顔回不改其樂, 冉求聞之, 故有是言. 然使求說夫子之道, 誠如口之說芻豢, 則必將盡力以求之, 何患力之不足哉? 畫而不進, 則日退而已矣, 此冉求之所以局於藝也.”
○ 胡氏曰: “부자가(夫子) 안회가(顔回) 그 즐거움을 바꾸지 않는 것을(不改其樂) 칭찬하자(稱), 염구가 이것을 들었고(冉求聞之), 그러므로(故) 이런 말이 있었다(有是言). 그러나(然) 만약(使) 염구가(求) 부자의 도를 좋아하는 것이(說夫子之道), 진실로(誠) 입이 잘 차린 음식을 좋아하는 것처럼 했다면(如口之說芻豢, 則) 반드시(必) 장차(將) 힘을 다해서(盡力以) 구했을 것이니(求之), 어찌(何) 힘이 부족한 것을 걱정하겠는가(患力之不足哉)? 금을 긋고서(畫而) 나아가지 않으면(不進, 則) 날로 퇴보할 뿐이니(日退而已矣), 이것이(此) 염구가(冉求之) 예에 국한된 까닭이다(所以局於藝也).”
* 芻豢(추환): 썩 잘 차린 음식(飮食)을 이르는 말, 풀을 먹는 소ㆍ말ㆍ양 등(等)과 곡식(穀食)을 먹는 개ㆍ돼지 등(等)을 통틀어 이르는 말.
'오서(五書) 읽기 > 논어집주(論語集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집주(論語集注) 옹야(雍也) 6-12] 행불유경(行不由徑) / 정치란 사람을 얻는 것이다 (0) | 2024.05.29 |
---|---|
[논어집주(論語集注) 옹야(雍也) 6-11] 군자유 소인유(君子儒 小人儒) / 자하야! 의리에 밝은 군자유가 되어라 (0) | 2024.05.29 |
[논어집주(論語集注) 옹야(雍也) 6-9] 단사표음(簞食瓢飮) / 단표누항(簞瓢陋巷) / 공자와 안자의 즐거움 (0) | 2024.05.27 |
[논어집주(論語集注) 옹야(雍也) 6-8] 사인야이유사질야(斯人也而有斯疾也) / 이런 사람에게 이런 병이 있다니! (0) | 2024.05.27 |
[논어집주(論語集注) 옹야(雍也) 6-7] 오필재문상의(吾必在汶上矣) / 다시 부른다면 나는 제나라에 있을 것이다 (0) | 2024.05.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