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서(五書) 읽기/논어집주(論語集注)

[논어집주(論語集注) 술이(述而) 7-34] 구지도구의(丘之禱久矣) / 내가 기도한 지가 오래되었다

by मोक्ष 2024. 8. 1.
반응형

子疾病, 子路請禱.(자질병 자로청도) 子曰: “有諸?”(자왈 유저)

선생님의 병이 심하자(子疾病), 자로가(子路) 기도하기를 청했다(請禱). 선생님이 말씀하시길(子曰): “그런 것이 있느냐(有諸)?”라고 했다.


禱, 謂禱於鬼神. 有諸, 問有此理否.

도는(禱), 귀신에게(於鬼神) 비는 것을 말한다(謂禱). 유저는(有諸), 이런 이치가 있는가를(有此理否) 묻는 것이다(問).

子路對曰: “有之.(자로대왈 유지) 誄曰: 禱爾于上下神祇.”(뢰왈 도이우상하신기)

자로가(子路) 대답하여 말하길(對曰): “있습니다(有之). 뢰에 이르길(誄曰): 상하의 귀신에게(于上下神祇) 너를 빈다(禱爾).”라고 해다.


○ 誄者, 哀死而述其行之辭也. 上下, 謂天地. 天曰神, 地曰祇. 禱者, 悔過遷善, 以祈神之佑也.

○ 뢰란(誄者), 죽음을 슬퍼해서(哀死而) 그 행실을 진술한(述其行之) 말이다(辭也). 상하는(上下), 천지를 말한다(謂天地). 하늘을 신이라 하고(天曰神), 땅을 기라 한다(地曰祇). 도란(禱者), 잘못을 반성하고(悔過) 선으로 옮겨 가서(遷善, 以) 귀신의 도움을 바라는 것이다(祈神之佑也).

 

* 誄(뢰)는 誄詞(뢰사), 誄文(뢰문)으로 죽은 사람의 삶을 서술하면서 애도하는 제문이라는 설과 복을 기원하는 기도문이라는 두 가지 설이 있다.

 

子曰: “丘之禱久矣.”(구지도구의)

子曰: “내가(丘之) 기도한 지가(禱) 오래되었다(久矣).”


無其理則不必禱, 旣曰有之, 則聖人未嘗有過, 無善可遷. 其素行固已合於神明, 故曰: “丘之禱久矣.”

그 이치가 없다면(無其理則) 반드시 기도할 필요가 없고(不必禱), 이미(旣) 있다고 말한다면(曰有之, 則) 성인이(聖人) 일찍이 잘못한 것이 있지 않으니(未嘗有過), 선으로 옮길 것이 없다(無善可遷). 그(其) 평소 행실이(素行) 본래(固) 이미(已) 신명에 부합하고(合於神明), 그러므로 말하길(故曰): “내가 기도한 것이(丘之禱) 오래되었다(久矣).”라고 했다.


又「士喪禮」, 疾病行禱五祀, 蓋臣子迫切之至情, 有不能自已者, 初不請於病者而後禱也. 故孔子之於子路, 不直拒之, 而但告以無所事禱之意.

또(又) 사상례에서(「士喪禮」), 병이 깊어지면(疾病) 오사에게 기도를 행한다(行禱五祀)고 하니, 대개(蓋) 신자의(臣子) 절박하고 지극한 마음에(迫切之至情), 스스로 그만둘 수 없는 것이 있어서이고(有不能自已者), 애초에(初) 병자에게 청하고 나서(請於病者而後) 기도하는 것이 아니다(禱也). 그러므로(故) 공자가(孔子之) 자로에 대하여(於子路), 바로 거절하지 않고(不直拒之, 而) 다만(但) 기도할 일이 없다는 뜻을(以無所事禱之意) 일러준 것이다(告).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