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맹의 뒤안길139

[공자가어(孔子家語) 현군(賢君) 13-10] 지반기지(知反己之) - 자기에게 돌이키면 모두 알 수 있다 衛靈公問於孔子曰: “有語寡人有國家者, 計之於廟堂之上, 則政治矣, 何如?” 孔子曰: “其可也, 愛人者則人愛之, 惡人者則人惡之, 知得之己者則知得之, 人所謂不出環堵之室而知天下者, 知反己之謂也.”위령공이(衛靈公) 공자에게 묻기를(問於孔子曰): “어떤 사람이 과인에게 말하길(有語寡人) 나라를 가진 사람은(有國家者), 묘당 위에서(之於廟堂之上) 계획하면(計, 則) 정치가 다스려진다고 하는데(政治矣), 어떤가요(何如)?”라고 했다.공자가 말하길(孔子曰): “그럴 수 있으니(其可也), 남을 사랑하면(愛人者則) 남이 나를 사랑하고(人愛之), 남을 미워하면(惡人者則) 남이 나를 미워하고(人惡之), 자기를 얻을 줄 알면(知得之己者則) 남을 얻을 수 있으니(知得之), 사람들이 이른바(人所謂) 담으로 둘러싸인 집을(環堵之室) .. 2025. 1. 21.
[공자가어(孔子家語) 현군(賢君) 13-9] 정치급자(政之急者) - 백성을 돌보는 것이 가장 시급하다 哀公問政於孔子, 孔子對曰: “政之急者, 莫大乎使民富且壽也.” 公曰: “爲之奈何?” 孔子曰: “省力役, 薄賦斂, 則民富矣; 敦禮敎, 遠罪疾, 則民壽矣.” 公曰: “寡人欲行夫子之言, 恐吾國貧矣.” 孔子曰: “詩云: ‘愷悌君子, 民之父母.’ 未有子富而父母貧者也.”애공이(哀公) 공자에게 정치를 묻자(問政於孔子), 공자가 대답하길(孔子對曰): “정치에서 가장 급한 것은(政之急者), 무엇도(莫) 백성으로 하여금 부유하고 오래 살게 하는 것보다(乎使民富且壽) 중요한 것이 없습니다(大也).”라고 했다.공이 말하길(公曰): “그것을 하려면(爲之) 어찌해야 합니까(奈何)?”라고 했다.공자가 말하길(孔子曰): “역역을 가볍게 하고(省力役), 세금 걷는 것을 적게 하면(薄賦斂, 則) 백성이 부유하고(民富矣); 예교를 돈독하게.. 2025. 1. 21.
[공자가어(孔子家語) 현군(賢君) 13-8] 정재절용(政在節財) - 정치는 재물을 아끼는 것에 있다 齊景公來適魯, 舍于公館, 使晏嬰迎孔子, 孔子至, 景公問政焉. 孔子答曰: “政在節財.” 公悅, 又問曰: “秦穆公國小處僻而霸, 何也?” 孔子曰: “其國雖小其志大, 處雖僻而政其中, 其擧也果, 其謀也和, 法無私而令不愉, 首拔五羖, 爵之大夫, 與語三日而授之以政, 此取之雖王可, 其霸少矣.” 景公曰: “善哉.”제 경공이(齊景公) 노나라에 와서(來適魯), 공관에 머물면서(舍于公館), 안영으로 하여금(使晏嬰) 공자를 맞이하도록 하고(迎孔子), 공자가 이르자(孔子至), 경공이 정치를 물었다(景公問政焉). 공자가 대답하길(孔子答曰): “정치는(政) 재물을 절약하는 것에 있습니다(在節財).”라고 했다.공이 기뻐하며(公悅), 또 묻기를(又問曰): “진 목공의 나라가(秦穆公國) 작고(小) 궁벽한 곳에 처해서도(處僻而) 패자가 되.. 2025. 1. 20.
[공자가어(孔子家語) 현군(賢君) 13-7] 유도하인(有道下人) - 도가 있으면서도 자신을 낮춘다 孔子閒處, 喟然而歎曰: “嚮使銅鞮伯華無死, 則天下其有定矣.” 子路曰: “由願聞其人也.” 子曰: “其幼也敏而好學, 其壯也有勇而不屈, 其老也有道而能下人, 有此三者, 以定天下也, 何難乎哉!” 子路曰: “幼而好學, 壯而有勇, 則可也; 若夫有道下人, 又誰下哉?” 子曰: “由不知, 吾聞以衆攻寡, 無不克也, 以貴下賤, 無不得也. 昔者周公居冢宰之尊, 制天下之政, 而猶下白屋之士, 日見百七十人, 斯豈以無道也, 欲得士之用也. 惡有道而無下天下君子哉?”공자가(孔子) 한가하게 있을 때(閒處), 위연히(喟然而) 탄식하길(歎曰): “옛날에(嚮) 만약(使) 동제백화에게 죽음이 없었다면(銅鞮伯華無死, 則) 천하에 아마(天下其) 안정됨이 있었을 텐데(有定矣).”라고 했다.자로가 말하길(子路曰): “제가(由) 그 사람됨을(其人也) 듣고자 .. 2025. 1. 20.
[공자가어(孔子家語) 현군(賢君) 13-6] 존현이천불초(尊賢而賤不肖) - 나라를 다스릴 때 인재를 등용해라 子路問於孔子曰: “賢君治國, 所先者何?” 孔子曰: “在於尊賢而賤不肖.” 子路曰: “由聞晉中行氏尊賢而賤不肖矣, 其亡何也?” 孔子曰: “中行氏尊賢而不能用, 賤不肖而不能去, 賢者知其不用而怨之, 不肖者知其必己賤而讎之, 怨讎並存於國, 鄰敵構兵於郊, 中行氏雖欲無亡, 豈可得乎.”자로가(子路) 공자에게 묻기를(問於孔子曰): “어진 임금이(賢君) 나라를 다스릴 때(治國), 앞세워야 할 것은(所先者) 무엇인가요(何)?”라고 했다.공자가 말하길(孔子曰): “어진 사람을 높이고(尊賢而) 불초한 사람을 천하게 여기는 것에 있다(在於賤不肖).”라고 했다.자로가 말하길(子路曰): “제가 듣기로(由聞) 진나라(晉) 중항씨가(中行氏) 어진 사람을 높이고(尊賢而) 불초한 사람을 천하게 여겼는데(賤不肖矣), 그가 망한 것은(其亡) 어째서.. 2025. 1. 20.
[공자가어(孔子家語) 현군(賢君) 13-5] 무소자용(無所自容) - 죄를 지으면 몸을 둘 곳이 없다 孔子讀詩于正月六章, 惕焉如懼, 曰: “彼不達之君子, 豈不殆哉? 從上依世則道廢, 違上離俗則身危, 時不興善, 己獨由之, 則曰非妖卽妄也, 故賢也旣不遇天, 恐不終其命焉, 桀殺龍逢, 紂殺比干, 皆類是也. 詩曰: ‘謂天蓋高, 不敢不局, 謂地蓋厚, 不敢不蹐.’ 此言上下畏罪, 無所自容也”공자가(孔子) 시를 읽다가(讀詩) 정월 6장에 이르러(于正月六章), 근심하고(惕焉) 두려워하며 말하길(如懼, 曰): “저(彼) 통달하지 못한(不達之) 군자가(君子), 어찌(豈) 위태롭지 않겠는가(不殆哉)? 윗사람을 따라(從上) 세상에 의지하면(依世則) 도가 없어지고(道廢), 윗사람을 어겨(違上) 세속에서 멀어지면(離俗則) 몸이 위태로우니(身危), 대에 맞게(時) 선을 일으키지 않고(不興善), 자기가(己) 홀로(獨) 따른다면(由之, 則).. 2025. 1. 20.
[공자가어(孔子家語) 현군(賢君) 13-4] 공경충신(恭敬忠信) - 이 네 가지를 꼭 지켜라 顔淵將西遊於宋, 問於孔子曰: “何以爲身?” 子曰: “恭敬忠信而已矣, 恭則遠於患, 敬則人愛之, 忠則和於衆, 信則人任之, 勤斯四者, 可以政國, 豈特一身者哉? 故夫不比於數, 不亦遠乎; 不修其中, 不亦反乎; 慮不先定, 臨事而謀, 不亦晩乎.”안연이(顔淵) 장차(將) 서쪽으로 가서(西) 송나라에 유학하려고 하면서(遊於宋), 공자에게 묻기를(問於孔子曰): “무엇으로(何以) 몸가짐을 삼을까요(爲身)?”라고 했다.공자가 말하길(子曰): “공손과 공경, 충성, 믿음일 뿐이니(恭敬忠信而已矣), 공손하면(恭則) 걱정에서 멀어지고(遠於患), 공경하면(敬則) 사람들이 아끼고(人愛之), 충성스러우면(忠則) 무리와 화목하고(和於衆), 믿음직스러우면(信則) 남들이 책임을 맡기니(人任之), 이 넷을 성실하게 한다면(勤斯四者), 나라를 .. 2025. 1. 20.
[공자가어(孔子家語) 현군(賢君) 13-3] 하나라 걸왕은 아내를 잊은 사람보다 심하다 哀公問於孔子曰: “寡人聞忘之甚者, 徙而忘其妻, 有諸?” 孔子對曰: “此猶未甚者也, 甚者乃忘其身.” 公曰: “可得而聞乎?” 孔子曰: “昔者夏桀, 貴爲天子, 富有四海, 忘其聖祖之道, 壞其典法, 廢其世祀, 荒於淫樂, 耽湎於酒, 佞臣諂諛, 窺導其心, 忠士折口, 逃罪不言, 天下誅桀而有其國, 此謂忘其身之甚矣.”애공이(哀公) 공자에게 묻기를(問於孔子曰): “과인이 듣기로(寡人聞) 잊는 것이 심한 사람이(忘之甚者), 이사 가서(徙而) 그 아내를 잊었다는데(忘其妻), 그런 일이 있습니까(有諸)?”라고 했다.공자가 대답하길(孔子對曰): “이것은(此) 오히려(猶) 심하지 않은 것이니(未甚者也), 심한 사람은(甚者) 곧(乃) 자기몸을 잊습니다(忘其身).”라고 했다.공이 말하길(公曰): “들을 수 있을까요(可得而聞乎)?”라고 .. 2025. 1. 19.
[공자가어(孔子家語) 현군(賢君) 13-2] 금지인신숙위현(今之人臣 孰爲賢) - 신하 가운데 누가 가장 어진가요? 子貢問於孔子曰: “今之人臣, 孰爲賢?” 子曰: “吾未識也, 往者齊有鮑叔, 鄭有子皮, 則賢者矣.” 子貢曰: “齊無管仲, 鄭無子産.” 子曰: “賜, 汝徒知其一, 未知其二也. 汝聞用力爲賢乎? 進賢爲賢乎?” 子貢曰: “進賢賢哉.” 子曰: “然, 吾聞鮑叔達管仲, 子皮達子産, 未聞二子之達賢己之才者也.”자공이(子貢) 공자에게 묻기를(問於孔子曰): “지금 신하 가운데(今之人臣), 누가 가장 현명한가요(孰爲賢)?”라고 했다.공자가 말하길(子曰): “내가(吾) 알지 못하겠지만(未識也), 지나간 사람 가운데(往者) 제나라에(齊) 포숙이 있고(有鮑叔), 정나라에(鄭) 자피가 있으니(有子皮, 則) 어진 사람이다(賢者矣).”라고 했다.자공이 말하길(子貢曰): “제나라에(齊) 관중이 없고(無管仲), 정나라에 자산이 없습니다(鄭無子.. 2025. 1. 19.
[공자가어(孔子家語) 현군(賢君) 13-1] 당금지군 숙위최현(當今之君 孰爲最賢) - 어느 임금이 가장 어진가요? 哀公問於孔子曰: “當今之君, 孰爲最賢?” 孔子對曰: “丘未之見也, 抑有衛靈公乎?” 公曰: “吾聞其閨門之內無別, 而子次之賢, 何也?” 孔子曰: “臣語其朝廷行事, 不論其私家之際也.” 公曰: “其事何如?” 孔子對曰: “靈公之弟曰公子渠牟, 其智足以治千乘, 其信足以守之, 靈公愛而任之, 又有士林國者, 見賢必進之, 而退與分其祿, 是以靈公無遊放之士, 靈公賢而尊之, 又有士曰慶足者, 衛國有大事則必起而治之, 國無事則退而容賢, 靈公悅而敬之, 又有大夫史鰌, 以道去衛, 而靈公郊舍三日, 琴瑟不御, 必待史鰌之入, 而後敢入臣以此取之, 雖次之賢, 不亦可乎?”애공이(哀公) 공자에게 묻기를(問於孔子曰): “지금 시대의(當今之) 임금 가운데(君), 누가(孰) 가장 현명할까요(爲最賢)?”라고 했다.공자가 대답하길(孔子對曰): “제가(丘) 아직.. 2025. 1.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