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맹의 뒤안길139

[효경주소(孝經注疏) 어제서병주(御製序并注) (7-1)] 상고(上古)에는 교화가 질박하고 간소했다 [기풍박략(其風朴略)] 朕聞上古, 其風朴略, (짐문상고 기풍박략) 짐이(朕) 상고시대에 들으니(聞上古), 그 가르침이(其風) 질박하고 소략했고(朴略), 【疏】朕聞上古至德之本歟. (짐문상고부터 덕지본여까지) ○正義曰: 自此以下至於序末, 凡有五段明義, 當段自解其指, 於此不復繁文. 今此初段, 序孝之所起, 及可以敎人而爲德本也. ○正義曰: 여기부터(自此) 이하(以下) 서 마지막에 이르기까지(至於序末), 모두(凡) 다섯 단락의 명확한 뜻이 있는데(有五段明義), 해당 단락에서(當段) 그 뜻을 스스로 풀이하고 있으니(自解其指), 여기서(於此) 다시(復) 번잡하게 글을 쓰지 않는다(不繁文). 지금(今此) 첫 단락에서(初段), 효가 일어난 것과(孝之所起, 及) 사람을 가르칠 수 있어서(可以敎人而) 덕의 근본이 되는 것을(爲德本) 서술했다(序也).. 2023. 12. 15.
[효경주소(孝經注疏) 어제서병주(御製序并注) (6)] 황제가 직접 효경에 주를 달고 18장으로 확정하다 전한 무제(武帝) 때 노나라의 공왕(恭王)이 공자의 옛집(舊宅)을 헐었는데, 그 벽에서 《상서》, 《논어》 등과 함께 《효경》이 나왔다고 한다. 과두문자로 쓰인 22장으로 구성된 것이었고 이것을 고문효경이라고 부른다. 이 고문효경에 공안국(孔安國: 한 무제 때의 사람)이 전(傳: 이 경우 주注와 같은 개념)을 달았는데, 이것을 공안국전(孔安國傳) 또는 공씨전(孔氏傳)이라고 한다. 공안국전은 양나라 말엽에 있었던 난리 때 망실되어 진(陳), 주(周), 제(齊)에는 금문효경만이 전해졌다. 수(隋) 나라 때에 비서감(秘書監) 왕소(王邵)가 공씨전을 경사(京師)에서 얻어 하간 사람인 유현(劉炫)에게 보냈고, 유현이 여기에 소(疏)를 써서 사람들에게 가르쳤다고 한다. 하지만 당시 사람들은 이것이 옛 공씨전이 아니.. 2023. 12. 14.
[효경주소(孝經注疏) 어제서병주(御製序并注) (5)] 금문효경의 주석은 정현이 쓴 것이 아니다 진시황이 분서령을 내렸을 때 하간(河間) 사람인 안지(顔芝)가 효경을 숨겨서 유실될 위기를 넘겼다고 한다. 한(漢) 문제(文帝) 때에 안지(顔芝)의 아들 안정(顔貞)이 『효경』을 조정에 바쳤다고 한다. 이 효경은 18장으로 되어 있으며, 한대의 서체인 예서체(隸書體)로 쓰였기 때문에 '금문효경(今文孝經)'이라 부른다. 후한 말의 학자 정현(鄭玄)이 주석한 효경 1권이 있는데, 이것을 정주본(鄭注本)이라고 한다. 즉, ‘정현주’라고 하면 금문효경을 가리키는 것이다. 정주본(鄭注本)에 대해서는 이설이 있지만 대체로 정현이 주석했다고 본다. 형병은 마치 자기의 주장인 것처럼 이야기하고 있지만, 이 구부터 아래 넷째 단락의 ‘因著古文孝經稽疑一篇’까지 그리고 그 단락의 ‘以爲孔鄭二家雲泥致隔……於義爲允’은 모두 유.. 2023. 12. 12.
[효경주소(孝經注疏) 어제서병주(御製序并注) (4)] 문장을 짓고 저술하는 것을 제(製), 실마리 또는 단서를 서(序)라고 한다 서문은 보통 문학작품이나 책의 주제를 소개한 글이다. 여기서는 여러 고전을 인용해서 '서(序)'란 '단서', '실마리'를 뜻한다고 말했다. 결국 황제가 이 경문의 실마리를 적고 직접 주를 내었으므로 '어제서병주(御製序并注)'가 된 것이다. ○製者, 裁翦述作之謂也. 故《左傳》曰: "子有美錦, 不使人學製焉." 取此美名, 故人之文章述作, 皆謂之製. 以此序唐玄宗所撰, 故云御製也. ○제란(製者), 마름질하고 잘라서(裁翦) 짓는 것을 말한다(述作之謂也). 그러므로 좌전에서 말하길(故《左傳》曰): "그대에게(子) 아름다운 비단이 있다면(有美錦), 남을 시켜서(使人) 그것으로 마름질을 배우게 하지 않을 것이다(不學製焉)."라고 했다. 이 아름다운 이름에서 취했고(取此美名), 그러므로(故) 사람의 문장(人之文章) 짓는 .. 2023. 12. 11.
[효경주소(孝經注疏) 어제서병주(御製序并注) (3)] 어(御)는 지존(황제)을 가리키는 말이다 세상을 통치하는 사람은 말몰이꾼이 말고삐를 잡듯 덕과 법을 근본으로 삼고 6정( 道‧德‧仁‧聖‧義‧禮)을 두어 세상을 통제한다. 통치자가 말몰이꾼처럼 6정을 바르게 시행하면 나라가 태평해질 것이니 이것이 통치술의 요체가 된다. 이것은 부드러운 고삐로 힘센 말을 통제하는 것과 같은 이치다. ○御者, 按《大戴禮·盛德篇》云: "德法者, 御民之本也, 古之御政以治天下者, 冡宰之官以成道, 司徒之官以成德, 宗伯之官以成仁, 司馬之官以成聖, 司寇之官以成義, 司空之官以成禮. 故六官以爲轡, 司會均人以爲軜, 故曰:御四馬者執六轡, 御天地與人與事者亦有六政. ○어란 글자는(御者), 살펴보면(按) 대대례기 성덕 편에서 말하길(《大戴禮·盛德篇》云): "덕과 법이란(德法者), 백성을 통제하는(御民之) 근본이고(本也), 옛날에(古之) 정.. 2023. 12. 10.
[효경주소(孝經注疏) 어제서병주(御製序并注) (2)] 내 뜻은 춘추에 있고 내 행실은 효경에 있다 [춘추촉상 효경촉삼(春秋屬商 孝經屬參)] 且三起曾參侍坐與之別, 二者是問也, 一者歎之也. 故假言乘間曾子坐也, 與之論孝. 開宗明義上陳天子, 下陳庶人, 語盡無更端, 於曾子未有請, 故假參歎孝之大, 又說以孝爲理之功. 또한(且) 증삼이 시좌하는 것을(曾參侍坐) 세 번 일으켰다는 것과(三起與之) 구별했는데(別), 두 번은(二者) 바로(是) 질문한 것이고(問也), 한 번은(一者) 감탄한 것이다(歎之也). 그러므로(故) 한가한 틈에(乘間) 증자가 시좌하고(曾子坐), 더불어(與之) 효를 논한 것을(論孝) 가설하여 말한 것이다(假言也). 근본을 열고 뜻을 밝혀서(開宗明義) 위로(上) 천자를 말하고(陳天子), 아래로(下) 서인을 말하고(陳庶人), 말을 다해서(語盡) 다시 단서를 말할 것이 없고(無更端), 증자에게서(於曾子) 청하는 것이 있지 않고(未有請), 그러므로.. 2023. 12. 10.
[효경주소(孝經注疏) 어제서병주(御製序并注) (1)] 효경은 공자가 직접 지은 것이다 어제서병주(御製序幷注)란 당 현종이 서문을 짓고 아울러 ≪효경≫에 주(注)를 냈다는 말이다. 효경의 뜻, 고문효경과 금문효경의 차이에 대해서 말하고 증삼과 공자의 문답을 증삼이 정리한 것이 효경이라는 주장에 대해서 의문을 품고 여러 전적을 살펴 공자가 직접 지었다고 결론짓고 있다. 【疏】正義曰: 효경이란(《孝經》者), 공자가(孔子) 증삼을 위해(爲曾參) 효의 도리를 진술했다(陳孝道也). 한나라 초기에(漢初), 장손씨(長孫氏), 박사 강옹(博士江翁), 소부 후창(少府后倉), 간대부 익봉(諫大夫翼奉), 안창후 장우가(安昌侯張禹) 전해서(傳之), 각자(各) 스스로(自) 이름난 가가 되었다(名家). 경문은(經文) 모두 같은데(皆同), 오직(唯) 공씨 벽 안의(孔氏壁中) 고문이(古文) 다르다(爲異). 유현에 이르.. 2023. 12. 9.
[효경주소(孝經注疏) 서(序)] 부주(傅注)가 지은 효경주소의 서 부주(傅注)는 ‘孝經注疏序’ 본문, 곧 아래의 “夫孝經者 孔子之所述作也……”의 서술자다. 형병의 ≪효경주소≫가 원행충 등의 소(疏)를 계승했기 때문에, 형병이 이 책의 서문을 작성하면서 이전의 ≪효경주소≫에 있었던 唐나라 傅注의 서문을 그대로 두었다고 본다. 부주(傅注)의 인적 사항은 자세히 알려진 것이 없다. 무릇(夫) 효경이란(《孝經》者), 공자가(孔子之) 지은 것이다(所述作也). 지은(述作之) 뜻은(旨者), 옛날(昔) 성인이(聖人) 큰 성덕을 간직하고(蘊大聖德), 태어났지만(生) 때를 만나지 못하고(不偶時), 때를 만난 것이(適值) 주 왕실이 쇠미하고(周室衰微), 왕실의 기강이(王綱) 떨어져서(失墜), 군신 관계가(君臣) 주제넘게 어지럽혀지고(僣亂), 예악이(禮樂) 허물어졌다(崩頹). 윗자리에 있는.. 2023. 12. 8.
[효경주소(孝經注疏) 서(序)] 형병 등이 조칙을 받들어 주소를 교정함 당나라 현종은 개원(開元) 7년(719년) 전국의 학자를 소집해 효경을 연구하도록 시켰고, 3년 뒤인 개원 10년(722년) 황제가 직접 주(注)를 기록한 어주효경(御注孝經)을 편찬했다. 이후 천보(天寶) 4년(745년)에 '어주효경'을 증보하고 이것을 돌에 새겨 태학에 세워 두었는데, 이것을 석대효경(石臺孝經)이라 한다. 효경이란(《孝經》者), 백행의(百行之) 으뜸이고(宗), 오교의(五敎之) 핵심이다(要). 옛날(昔) 공자가(孔子) 글을 지은 뒤로부터(自述作), 다가올 앞날에(將來) 모범을 드리우고(垂範), 깊은 뜻과(奧旨) 미묘한 말이(微言), 이미 갖추어져(已備) 주소에서 풀이했다(解乎《注疏》). 하지만(尙) 말이 높고(辭高) 뜻이 멀기(旨遠) 때문에(以), 후학이(後學) 토론을 다하기를(盡討論) .. 2023. 12.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