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가어(孔子家語) 상노(相魯) 1-8] 삼가과제 휴삼도성(三家過制 隳三都城) / 삼가가 법도를 어겨 성을 쌓은 것을 공자가 허물다
孔子言於定公曰: “家不藏甲, 邑無百雉之城, 古之制也. 今三家過制, 請皆損之.” 乃使季氏宰仲由隳三都. 叔孫不得意於季氏, 因費宰公山弗擾率費人以襲魯孔子以公與季孫叔孫孟孫, 入于費氏之宮, 登武子之臺; 費人攻之, 及臺側, 孔子命申句須樂頎勒士衆下伐之, 費人北, 遂隳三都之城强公室, 弱私家, 尊君卑臣, 政化大行.공자가(孔子) 정공에게 말하길(言於定公曰): “가에는(家) 갑병을 모아둘 수 없고(不藏甲), 읍에는(邑) 100치의 성을 쌓을 수 없는 것은(無百雉之城), 옛날의 제도입니다(古之制也). 지금(今) 삼가가(三家) 제도를 어겼으니(過制), 청컨대(請) 모두(皆) 헐어버리기를 바랍니다(損之)”라고 했다.이에(乃) 계씨의 읍재인 중유로 하여금(使季氏宰仲由) 삼도를 헐도록 했다(隳三都). 숙손씨가(叔孫) 계씨에게(於季氏)..
2024. 5. 22.
[공자가어(孔子家語) 상노(相魯) 1-7] 제반문양전(齊返汶陽田) / 제나라가 문수 북쪽의 땅을 돌려주다
將盟, 齊人加載書曰: “齊師出境, 而不以兵車三百乘從我者, 有如此盟” 孔子使茲無還對曰: “魯大夫也而不返我汶陽之田, 吾以供命者, 亦如之” 齊侯將設享禮, 孔子謂梁丘據曰: “齊魯之故, 吾子何不聞焉?맹약을 맺으려 할 때(將盟), 제나라가(齊人) 회맹을 기록한 문서에 더해 말하길(加載書曰): “제나라 군대가(齊師) 국경을 나갈 때(出境, 而) 병거 300승으로(以兵車三百乘) 나를 따르지 않는다면(不從我者), 이 맹약에 있는 것처럼 할 것이다(有如此盟)”라고 했다.공자가(孔子) 자무환을 시켜(使茲無還) 말하길(對曰): “그리고(而) 우리 문수 북쪽의 땅을(我汶陽之田) 돌려주지 않으면(不返), 우리는(吾) 명을 받아온 사람을(以供命者), 또한(亦) 이처럼 할 것이다(如之)”라고 했다.제나라 제후가(齊侯) 장차(將) 연..
2024. 5. 22.
[공자가어(孔子家語) 상노(相魯) 1-6] 참주유(斬侏儒) / 제나라 배우를 베다
有頃, 齊奏宮中之樂, 俳優侏儒戱於前. 孔子趨進歷階而上, 不盡一等, 曰: “匹夫熒侮諸侯者, 罪應誅, 請右司馬速刑焉” 於是斬侏儒, 手足異處齊侯懼, 有慚色.이윽고(有頃), 제나라가(齊) 궁중의 음악을 연주하고(奏宮中之樂), 배우와 광대가(俳優侏儒) 앞에서 놀이를 시작했다(戱於前). 공자가(孔子) 재빨리 나아가(趨進), 계단을 밟고 올라가(歷階而上), 한 칸을 다하지 않고(한 칸을 남겨두고)(不盡一等), 말하길(曰): “필부가(匹夫) 제후를 현혹하고 모욕하는 것은(熒侮諸侯者), 죄가(罪) 죽어도 마땅하니(應誅), 청컨대(請) 우사마는(右司馬) 속히 형을 집행하라(速刑焉)”라고 했다.이에(於是) 광대를 베고(斬侏儒), 제나라 군주가 두려워하며(齊侯懼), 부끄러운 얼굴빛을 띠었다(有慚色). * 有頃(유경):1. 잠..
2024. 5. 21.
[공자가어(孔子家語) 상노(相魯) 1-4] 섭행상사 문사무비(攝行相事 文事武備) / 문과 관계된 일에도 무의 대비가 있어야 한다
定公與齊侯會于夾谷, 孔子攝相事, 曰: “臣聞有文事者, 必有武備, 有武事者, 必有文備, 古者諸侯並出疆, 必具官以從, 請具左右司馬” 定公從之. 정공이(定公) 제나라 제후와(與齊侯) 협곡에서 회맹 했는데(會于夾谷), 공자가(孔子) 재상의 일을 대신하면서(攝相事), 말하길(曰): “신이 듣기로(臣聞) 문과 관련된 일이 있더라도(有文事者), 반드시(必) 무의 대비가 있어야 하고(有武備, 무에 관련된 일이 있더라도(有武事者), 반드시 문의 대비가 있어야 하니(必有文備), 옛날(古者) 제후가(諸侯) 모두 국경을 나갈 때(並出疆), 반드시(必) 관리를 갖춰(具官以) 따르게 했으니(從), 청컨대(請) 좌우 사마를 모두 갖추시기 바랍니다(具左右司馬)”라고 했다. 정공이 그 말을 따랐다(定公從之). * 會于夾谷(회우협곡)..
2024. 5. 20.
[공자가어(孔子家語) 상노(相魯) 2] 공자가 제나라와의 회맹에서 활약하다
定公與齊侯會于夾谷. 孔子攝相事, 曰: "臣聞有文事者必有武備, 有武事者必有文備. 古者諸侯竝出疆, 必具官以從, 請具左右司馬." 定公從之. 至會所, 爲壇, 土階三等, 以遇禮相見, 揖讓而豋. 獻酢旣畢, 齊使萊人以兵鼓謲, 劫定公. 孔子歷階而進, 以公退. 曰: "士, 以兵之. 吾兩君爲好, 裔夷之俘, 敢以兵亂之, 非齊君所以命諸侯也. 裔不謀夏, 夷不亂華, 俘不干盟, 兵不偪好, 於神爲不祥, 於德爲愆義, 於人爲失禮. 君必不然." 齊侯心怍, 麾而避之. 有頃, 齊奏宮中之樂, 俳優侏儒戲於前. 孔子趨進, 歷階而上, 不盡一等. 曰: "匹夫熒侮諸侯者, 罪應誅, 請右司馬速加刑焉." 於是斬侏儒, 手足異處. 齊侯懼, 有慚色. 將盟, 齊人加載書曰: "齊師出境, 而不以兵車三百乘從我者, 有如此盟." 孔子使玆無還對曰: "而不返我汶陽之田, 吾以共..
2024. 4. 16.
[공자가어(孔子家語) 상노(相魯) 1] 공자가 처음 벼슬길에 오르다 / 공자초사(孔子初仕)
孔子初仕, 爲中都宰. 制爲養生送死之節. 長幼異食, 强弱異任, 男女別塗; 路無拾遺, 器不彫僞; 爲四寸之棺, 五寸之槨, 因丘陵爲墳, 不封不樹. 行之一年, 而西方之諸侯則焉. 定公謂孔子曰: "學子此法, 魯國何如?" 孔子對曰: "雖天下可乎! 何但魯國而已哉?" 공자가(孔子) 처음 벼슬길에 올라(初仕), 중도의 읍재가 되었다(爲中都宰). 산 사람을 봉양하고(爲養生) 죽은 사람을 보내는(送死之) 예절을(節) 만들었다(制). 어른과 아이가(長幼) 먹는 것을 다르게 하고(異食), 강한 사람과 약한 사람이(强弱) 맡은 일을 다르게 하고(異任), 남자와 여자가(男女) 길을 구별하니(別塗); 길에서(路) 남이 잃어버린 것을 줍는 사람이 없고(無拾遺), 기물이(器) 거짓으로 꾸며지지 않았고(不彫僞); 4치의 관과 5치의 곽을 만..
2024. 4.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