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맹의 뒤안길/공자가어(孔子家語)63

[공자가어(孔子家語) 문례(問禮) 6-1] 예변군신상하(禮辨君臣上下) / 예는 군신과 상하를 구별하는 것이다 1 哀公問於孔子曰: "大禮何如? 子之言禮, 何其尊?" 孔子對曰: "丘也鄙人, 不足以知大禮." 公曰: "吾子言焉." 孔子曰: "丘聞之: 民之所以生者·禮爲大. 非禮則無以節事天地之神; 非禮則無以辯君臣·上下·長幼之位焉; 非禮則無以別男女·父子·兄弟·婚姻·親族·疏數之交焉. 是故君子以此爲之尊敬, 然後以其所能, 敎順百姓, 不廢其會節. 旣有成事, 然後治其雕鏤文章黼黻, 以別尊卑上下之等. 其順之也, 而後言其喪祭之紀, 宗廟之序. 品其犧牲, 設其豕腊, 脩其歲時, 以敬祭祀, 別其親疏, 序其昭穆, 而後宗族會宴. 即安其居, 以綴恩義, 卑其宮室, 節其服御, 車不雕璣, 器不彫鏤, 食不二味, 心不淫志, 以與萬民同利. 古之明王, 行禮也如此." 公曰: "今之君子, 胡莫之行也?" 孔子對曰: "今之君子, 好利無厭, 淫行不倦, 荒怠慢游, 固民是盡.. 2024. 6. 4.
[공자가어(孔子家語) 유행해(儒行解) 5-5] 조신욕덕(澡身浴德) / 유자가 행동하는 방식 (3) 15 儒有澡身浴德, 陳言而伏, 言而正之, 上不知也; 默而翹之, 又不爲急也; 不臨深而爲高, 不加少而爲多; 世治不輕, 世亂不沮; 同己不與, 異己不非; 其特立獨行有如此者. 15 유자에게는(儒) 몸을 씻고(有澡身) 덕을 닦고(浴德), 말하지만 숨어 있고(陳言而伏), 말해서 바르게 하지만(言而正之), 윗사람이 알지 못하고(上不知也); 조용히 들어 올리지만(默而翹之), 또(又) 급하지 하지 않고(不爲急也); 깊은데 임해서 높다고 여기지 않고(不臨深而爲高), 조금 더하고 많다고 여기지 않고(不加少而爲多); 세상이 다스려져도 가벼이 행동하지 않고(世治不輕), 세상이 어지러워도 꺾이지 않고(世亂不沮); 자기와 같아도 인정하지 않고(同己不與), 자기와 달라도 배척하지 않고(異己不非); 그 우뚝 서고 행하는 것에(其特立.. 2024. 5. 30.
[공자가어(孔子家語) 유행해(儒行解) 5-4] 충신이위갑주(忠信以爲甲冑) / 유자가 행동하는 방식 (2) 10 儒有忠信以爲甲冑, 禮義爲干櫓; 戴仁而行, 抱義而處; 雖有暴政, 不更其所; 其自立有如此者. 10 유자에게는(儒) 충과 신을 갑주로 삼는 일이 있고(有忠信以爲甲冑), 예의를 방패로 삼는 일이 있고(禮義爲干櫓); 인을 싣고서 행하며(戴仁而行), 의를 품고서 처하니(抱義而處); 비록(雖) 폭정이 있더라도(有暴政), 그 머무는 곳을 바꾸지 않고(不更其所); 그 스스로 서 있음에(其自立) 이와 같은 것이 있습니다(有如此者).  * 干櫓(간로): 전쟁(戰爭) 때에 적(敵)의 칼, 창(槍), 화살 따위를 막는 데에 쓰던 무기(武器). 원방패(圓防牌)와 장방패(長防牌)가 있다. 11 儒有一畝之宮, 環堵之室, 篳門圭窬, 蓬戶甕牖, 易衣而出, 并日而食; 上荅之, 不敢以疑; 上不荅, 不敢以諂; 其仕有如此者. 11 유자에.. 2024. 5. 30.
[공자가어(孔子家語) 유행해(儒行解) 5-3] 불보금옥(不寶金玉) / 유자가 행동하는 방식 (1) 7 儒有不寶金玉; 而忠信以為寶; 不祈土地, 而仁義以為土地; 不求多積, 而多文以為富; 難得而易祿也, 易祿而難畜也; 非時不見, 不亦難得乎? 非義不合, 不亦難畜乎? 先勞而後祿, 不亦易祿乎? 其近人情有如此者.  7 유자에게는(儒) 금과 옥을 보배로 여기지 않지만(有不寶金玉; 而) 충과 신을(忠信) 보배로 여기는 것이 있고(以為寶); 땅을 얻기를 빌지 않지만(不祈土地, 而) 인의를 토지로 여기는 것이 있고(仁義以為土地); 많이 쌓이기를 바라지 않지만(不求多積, 而) 많은 글을(多文) 부유하게 여기는 것이 있고(以為富); 얻기 어렵지만(難得而) 녹을 쉽다고 여기며(易祿也), 녹을 얻기 쉽지만(易祿而) 쌓기 어렵다고 여기고(難畜也); 때가 아니면 만나지 않으니(非時不見), 또한 얻기 어렵지 않겠습니까(不亦難得乎.. 2024. 5. 29.
[공자가어(孔子家語) 유행해(儒行解) 5-2] 감문유행(敢問儒行) / 유가의 행동과 용모, 몸가짐 3 公曰: "敢問儒行?" 孔子曰: "略言之, 則不能終其物; 悉數之, 則留更僕未可以對." 哀公命席.  3 애공이 말하길(公曰): "감히(敢) 유가의 행동을 묻습니다(問儒行)?"라고 했다.공자가 말하길(孔子曰): "간략하게 말하면(略言之, 則) 그 행동을(其物) 모두 말할 수 없고(不能終); 모두 헤아려서 하려면(悉數之, 則) 저에게 남은 것을(留更僕) 대답할 수 없습니다(未可以對)."라고 했다. 애공이(哀公) 자리를 만들도록 명령했다(命席).  4 孔子侍坐, 曰: "儒有席上之珍以待聘, 夙夜強學以待問, 懷忠信以待擧, 力行以待取; 其自立有如此者.  4 공자가 모시고 앉아서(孔子侍坐), 말하길(曰): "유자는(儒) 뛰어난 재주를 가지고(有席上之珍以) 불러주기를 기다리고(待聘), 아침부터 밤까지(夙夜) 열심히.. 2024. 5. 27.
[공자가어(孔子家語) 유행해(儒行解) 5-1] 각보구전(却步求前) / 뒷걸음 치면서 앞 사람을 따라 잡으려고 하다 1 孔子在衛. 冉求言於季孫曰: "國有聖人, 而不能用, 欲以求治, 是猶卻步而欲求及前人, 不可得已. 今孔子在衛, 將用之. 己有才而以資鄰國, 難以言智也. 請以重幣延之." 季孫以告哀公, 公從之. 孔子既至, 舍哀公館焉. 公自阼階, 孔子賓階, 升堂立侍.  1 공자가(孔子) 위나라에 있었다(在衛). 염구가(冉求) 계손에게 말하길(言於季孫曰): "나라에(國) 성인이 있는데도(有聖人, 而) 쓸 수 없으면서도(不能用), 그것으로(以) 다스려지기를 바라고 있으니(欲求治), 이것은(是) 물러나면서(卻步而) 앞사람에게 이기를 바라는 것과(欲求及前人) 같고(猶), 될 수 없는 일입니다(不可得已). 지금(今) 공자가 위나라에 있고(孔子在衛), 장차 등용하려고 합니다(將用之). 나에게(己) 인재가 있는데(有才而) 그것으로(以) 이웃.. 2024. 5. 27.
[공자가어(孔子家語) 대혼해(大婚解) 4-4] 감문성신(敢問成身) / 자신을 잘 이루는 방법 9 公曰: "敢問何謂能成身?" 孔子對曰: "夫其行己不過乎物, 謂之成身; 不過乎物, 合天道也."  9 애공이 말하길(公曰): "감히 묻건대(敢問) 몸을 잘 이루는 것을(能成身) 무엇이라고 말합니까(何謂)." 공자가 대답하길(孔子對曰): "무릇(夫) 그 자기를 행하는 것이(其行己) 외물을 넘어서지 말아야 하니(不過乎物), 이것을 성신이라고 하고(謂之成身); 외물을 넘어서지 않는 것은(不過乎物), 천도에 적합한 것입니다(合天道也)."라고 했다.   10 公曰: "君子何貴乎天道也?" 孔子曰: "貴其不已也。如日月東西相從而不已也, 是天道也; 不閉而能久, 是天道也; 無為而物成, 是天道也; 已成而明之, 是天道也."  10 애공이 말하길(公曰): "군자는(君子) 어찌(何) 천도를 귀하게 여깁니까(貴乎天道也)?"라고 했.. 2024. 5. 27.
[공자가어(孔子家語) 대혼해(大婚解) 4-3] 감문경신(敢問敬身) / 자신을 공경할 줄 알아야 한다 7 公曰: "敢問何謂敬身?" 孔子對曰: "君子過言則民作辭, 過行則民作則; 言不過辭, 動不過則, 百姓恭敬以從命. 若是, 則可謂能敬其身, 敬其身, 則能成其親矣." 7 애공이 말하길(公曰): "감히(敢) 자신을 공경하는 것은(敬身) 무엇을 말하는지 묻습니다(問何謂)"라고 했다.공자가 대답하길(孔子對曰): "군자가(君子) 말을 잘못하면(過言則) 백성이 본받을 말로 삼고(民作辭), 행동을 잘못하면(過行則) 백성이 법칙으로 삼으니(民作則); 말이(言) 사를 넘지 않고(不過辭), 행동이(動) 법칙을 넘지 않으면(不過則), 백성이(百姓) 공경하여(恭敬以) 명을 따를 것입니다(從命). 이와 같다면(若是, 則) 자신을 공경한다고 말할 수 있고(可謂能敬其身), 자신을 공경하면(敬其身, 則) 그 어버이의 이룰 수 있습니다(.. 2024. 5. 27.
[공자가어(孔子家語) 대혼해(大婚解) 4-2] 종묘사직지주(宗廟社稷之主) / 친영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이유 5 公曰: "寡人願有言也, 然冕而親迎, 不已重乎?" 孔子愀然作色而對曰: "合二姓之好, 以繼先聖之後, 以為天下宗廟社稷之主, 君何謂已重乎?"  5 애공이 말하길(公曰): "과인이 원컨대(寡人願) 말할 것이 있는데(有言也), 그러나(然) 예복을 입고 관을 쓰고(冕而) 직접 맞이하는 것을(親迎), 너무 중요하게 여긴 것이 아닌가요(不已重乎)?"라고 했다.공자가(孔子) 정색을 하고(愀然) 얼굴빛을 드러내며 말하길(作色而對曰): "두 성씨의 좋아함이 합해서(合二姓之好, 以) 선왕의 뒤를 이어서(繼先聖之後), 천하 종묘사직의 주인이 되는 것인데(以為天下宗廟社稷之主), 임금께서(君) 어찌(何) 너무 중요하게 여긴다고 말씀하십니까(謂已重乎)?"라고 했다.   * 愀然(초연): 정색(正色)을 하여 얼굴에 엄정(嚴正)한 빛.. 2024. 5. 27.
[공자가어(孔子家語) 대혼해(大婚解) 4-1] 인도정위대(人道政爲大) / 사람의 도는 정치가 가장 중요하다 1 孔子侍坐於哀公. 公曰: "敢問人道孰爲大?" 孔子愀然作色而對曰: "君之及此言也, 百姓之惠也, 固臣敢無辭而對? 人道政爲大.  1 공자가(孔子) 애공을 모시고 있었다(侍坐於哀公). 공이 말하길(公曰): "감히(敢) 인도에서(人道) 무엇이 가장 중요한가를(孰爲大) 묻습니다(問)?"라고 했다.공자가(孔子) 엄숙하게(愀然) 얼굴빛을 만들고(作色而) 대답하기를(對曰): "임금이(君之) 이런 말에 이르렀으니(及此言也), 백성의 은혜이고(百姓之惠也), 참으로(固) 신이 감히(臣敢) 말하여 대답할 것이 없습니다(無辭而對). 인도는(人道) 정치가 가장 중요합니다(政爲大).   * 愀然(초연): 얼굴에 근심스러운 빛이 있음, 정색(正色)을 하여 얼굴에 엄정(嚴正)한 빛이 있음. 2 夫政者、正也. 君爲正, 則百姓從而正矣... 2024. 5.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