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972

[논어집주(論語集注) 헌문(憲問) 14-13] 견리사의 견위수명(見利思義 見危授命) /성인이라고 부를 수 있는 사람 子路問成人.(자로문성인) 子曰: “若臧武仲之知, 公綽之不欲, 卞莊子之勇, 冉求之藝, 文之以禮樂, 亦可以爲成人矣.”(약장무중지지 공작지불욕 변장자지용 염구지예 문지이예약 역가이위성인의)자로가(子路) 성인을 물었다(問成人). '선생님이 말씀하시길(子曰): “만약(若) 장무중의 지혜와(臧武仲之知), 공탁의 불욕과(公綽之不欲), 변장자의 용기와(卞莊子之勇), 염구의 재능을(冉求之藝), 예악으로(以禮樂) 문채를 더한다면(文之), 또한(亦) 성인이라고 할 수 있다(可以爲成人矣).” ○ 成人, 猶言全人. 武仲, 魯大夫, 名紇. 莊子, 魯卞邑大夫. 言兼此四子之長, 則知足以窮理, 廉足以養心, 勇足以力行, 藝足以泛應, 而又節之以禮, 和之以樂, 使德成於內, 而文見乎外. 則材全德備, 渾然不見一善成名之迹; 中正和樂, 粹然無復.. 2024. 9. 24.
[논어집주(論語集注) 헌문(憲問) 14-12] 맹공작에 대한 공자의 평가 子曰: “孟公綽爲趙魏老則優, 不可以爲滕薛大夫.”(맹공작위조위노즉우 불가이위등설대부) 子曰: “맹공작은(孟公綽) 조와 위 집안의(爲趙魏) 우두머리가 된다면(老則) 넉넉하지만(優), 등과 설의 대부가 될 수 없다(不可以爲滕薛大夫).” 公綽, 魯大夫. 趙ㆍ魏, 晉卿之家. 老, 家臣之長. 大家勢重, 而無諸侯之事; 家老望尊, 而無官守之責. 優, 有餘也. 滕ㆍ薛, 二國名. 大夫, 任國政者. 滕ㆍ薛國小政繁, 大夫位高責重. 然則公綽蓋廉靜寡欲, 而短於才者也.공작은(公綽), 노나라 대부다(魯大夫). 조나라와 위나라는(趙ㆍ魏), 진나라 경의 집안이다(晉卿之家). 노는(老), 가신의 우두머리다(家臣之長). 대가의 세력은((大家勢) 크지만(重, 而) 제후의 일이 없고(無諸侯之事); 가신의 우두머리는(家老) 명망이 높지만(望尊.. 2024. 9. 24.
[논어집주(論語集注) 헌문(憲問) 14-11] 가난함과 부유함 子曰: “貧而無怨難, 富而無驕易.”(빈이무원난 부이무교난) 子曰: “가난하면서(貧而) 원망이 없는 것은(無怨) 어렵고(難), 부유하면서(富而) 교만이 없는 것은(無驕) 쉽다(易).” ○ 處貧難, 處富易, 人之常情. 然人當勉其難, 而不可忽其易也.○ 가난함에 처하는것은(處貧) 어렵고(難), 부유함에 처하는 것은 쉬운 것이(處富易), 사람의 한결같은 정이다(人之常情). 그러나(然) 사람은(人) 마땅히(當) 그 어려움을 힘쓰고(勉其難, 而) 그 쉬운 것을 소홀히 할 수 없다(不可忽其易也). 2024. 9. 24.
[논어집주(論語集注) 헌문(憲問) 14-10] 몰치무원언(沒齒無怨言) / 관중의 덕은 그의 재주를 넘지 못했다 或問子産. 子曰: “惠人也.”(혹문자산 자왈 혜인야)누군가(或) 자산을 물었다(問子産). 선생님이 말씀하시길(子曰): “은혜로운 사람이다(惠人也).”라고 했다. 子産之政, 不專於寬, 然其心則一以愛人爲主. 故孔子以爲惠人, 蓋擧其重而言也.자산의 정치는(子産之政), 관대함을(於寬) 오로지 하지 않았지만(不專), 그러나(然) 그 마음은(其心則) 한결같이(一) 애인을(以愛人) 위주로 했다(爲主). 그러므로(故) 공자가(孔子) 은혜로운 사람이라고 여겼고(以爲惠人), 대개(蓋) 그 중요한 것을 들어서(擧其重而) 말한 것이다(言也). 問子西. 曰: “彼哉! 彼哉!”(문자서 왈 피재 피재)자서를 물었다(問子西). 말씀하시길(曰): “저런 사람이(彼哉)! 저런 사람이(彼哉)!” 子西, 楚公子申, 能遜楚國, 立昭王, 而改.. 2024. 9. 24.
[논어집주(論語集注) 헌문(憲問) 14-9] 정나라의 외교 문서를 만드는 네 사람 子曰: “爲命: 裨諶草創之, 世叔討論之,(위명 비심초창지 세숙토론지) 子曰: “명(외교 문서)을 만들 때(爲命): 비심이(裨諶) 대략 만들고(草創之), 세숙이(世叔) 검토하고 의론을 내고(討論之), ○ 草, 略也. 創, 造也, 謂造爲草敍也. 世叔, 游吉也, 『春秋傳』作子太叔. 討, 尋究也. 論, 講議也. ○ 초는(草), 대략이다(略也). 창은(創), 만드는 것이고(造也), 만들어서(造) 초고가 되는 것을(爲草敍) 말한다(謂也). 세숙은(世叔), 유길이고(游吉也), 춘추전에(『春秋傳』) 자태숙으로 되어 있다(作子太叔). 토는(討), 궁리하는 것이다(尋究也). 론은(論), 강론하는 것이다(講議也). 行人子羽脩飾之, 東里子産潤色之.”(행인자우수식지 동리자산윤색지)행인자우가(行人子羽) 수식하고(脩飾之), 동리.. 2024. 9. 24.
[논어집주(論語集注) 헌문(憲問) 14-8] 사랑한다면 수고롭게 하지 않겠는가? 子曰: “愛之, 能勿勞乎?(애지 능물로호) 忠焉, 能勿誨乎?”(충언 능물회호) 子曰: “사랑하면(愛之), 수고롭게 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能勿勞乎)? 충성하면(忠焉), 가르치지 않을 수 있겠는가(能勿誨乎)?” 蘇氏曰: “愛而勿勞, 禽犢之愛也; 忠而勿誨, 婦寺之忠也. 愛而知勞之, 則其爲愛也深矣; 忠而知誨之, 則其爲忠也大矣.”蘇氏曰: “사랑하면서(愛而) 수고롭게 하지 않는 것은(勿勞), 짐승의 사랑이고(禽犢之愛也); 충성하지만(忠而) 가르쳐주지 않는 것인(勿誨), 궁녀와 내시의 충성이다(婦寺之忠也). 사랑하면서(愛而) 그를 수고롭게 할 줄 알면(知勞之, 則) 그 사랑이(其爲愛也) 깊고(深矣); 충성하면서(忠而) 그를 깨우칠 줄 알면(知誨之, 則) 그 충성이 크다(其爲忠也大矣).” 2024. 9. 23.
[논어집주(論語集注) 헌문(憲問) 14-7] 군자이면서 인하지 못한 사람 子曰: “君子而不仁者有矣夫, 未有小人而仁者也.”(군자이불인자유의부 미유소인이인자야) 子曰: “군자이면서(君子而) 불인한 사람은 있겠지만(不仁者有矣夫), 소인이면서(小人而) 인한 사람은(仁者) 있지 않다(未有也).” ○ 謝氏曰: “君子志於仁矣, 然毫忽之間, 心不在焉, 則未免爲不仁也.”○ 謝氏曰: “군자가(君子) 인에 뜻을 두었지만(志於仁矣), 그러나(然) 잠시라도(毫忽之間), 마음이(心) 거기에 있지 않으면(不在焉, 則) 불인하게 되는 것을(爲不仁) 벗어날 수 없다(未免也).” 2024. 9. 23.
[맹자집주(孟子集註) 고자 하(告子 下) 16 교역다술장(敎亦多術章)] 불설지교(不屑之敎) / 가르치는 방법은 한 가지가 아니다 孟子曰: “敎亦多術矣, 予不屑之敎誨也者, 是亦敎誨之而已矣.”(교육다술의 여불초지교회야자 시역교회지이이의) 孟子曰: “가르침은(敎) 또한(亦) 방법이 많으니(多術矣), 내가(予) 마음에 두지 않는 것으로(거절하는 것으로)(不屑之) 가르치는 것도(敎誨也者), 이것도(是) 또한(亦) 가르치는 것일 뿐이다(敎誨之而已矣).”  * 不屑(불설): ( 어떤 일을) 우습게 여겨 마음에 두지 아니함. 多術, 言非一端. 屑, 潔也. 不以其人爲潔而拒絶之, 所謂不屑之敎誨也. 其人若能感此, 退自修省, 則是亦我敎誨之也.다술은(多術), 한 가지가 아님을 말한다(言非一端). 설은(屑), 깨끗함이다(潔也). 그 사람이 깨끗하다고 여기지 않고(不以其人爲潔而) 거절하는 것은(拒絶之), 이른바(所謂) 불설의 가르침이다(不屑之敎誨也). 그.. 2024. 9. 23.
[맹자집주(孟子集註) 고자 하(告子 下) 15 순발어견무장(동심인성장)[舜發於畎畝章(動心忍性章)]] 생어우환 사어안락(生於憂患而死於安樂) 孟子曰: “舜發於畎畝之中, 傅說擧於版築之閒, 膠鬲擧於魚鹽之中, 管夷吾擧於士, 孫叔敖擧於海, 百里奚擧於市.(순발어견무지중 부열거어판축지간 교격거어어염지중 관이오거어사 손숙오거어해 백리해거어시) 孟子曰: “순임금은(舜) 밭 가운데서(於畎畝之中) 드러냈고(發), 부열은(傅說) 담장 사이에서 등용되었고(擧於版築之閒), 교격은(膠鬲) 어물과 소금 사이에서 등용되었고(擧於魚鹽之中), 관이오는(管夷吾) 사에서 등용되었고(擧於士), 손숙오는(孫叔敖) 바다에서 등용되었고(擧於海), 백리해는(百里奚) 시장에서 등용되었다(擧於市). ○ 舜耕歷山, 三十登庸. 說築傅嚴, 武丁擧之. 膠鬲遭亂, 鬻販魚鹽, 文王擧之. 管仲囚於士官, 桓公擧以相國. 孫叔敖隱處海濱, 楚莊王擧之爲令尹. 百里奚事見前篇. ○ 순임금은(舜) 역산에서 밭 갈.. 2024. 9. 23.
[맹자집주(孟子集註) 고자 하(告子 下) 14 고지군자하여즉사장(소취삼장)[古之君子何如則仕章(所就三章)]] 군자가 벼슬하고 물러나는 원칙 陳子曰: “古之君子何如則仕?”(진자왈 고지군자하여즉사) 孟子曰: “所就三, 所去三.(맹자왈 소취삼 소거삼)진자가 말하길(陳子曰): “옛날(古之) 군자는(君子) 어떠하면(何如則) 벼슬했습니까(仕)?”라고 했다.맹자가 말하길(孟子曰): “나아가는 것이(所就) 셋이고(三), 떠난 것이(所去) 셋이다(三). 其目在下.그 조목이(其目) 아래 있다(在下).迎之致敬以有禮, 言將行其言也, 則就之;(영지치경이유례 언장행기언야 즉취지) 禮貌未衰, 言弗行也, 則去之.(예모미쇠 언불행야 즉거지)그를 맞이하는 것이(迎之) 지극히 공경스럽고(致敬以) 예가 있으며(有禮), 장차(將) 그 말을 행하겠다고(行其言也) 말하면(言, 則) 나아가고(就之); 예를 갖춘 모습이(禮貌) 쇠하지 않더라도(未衰), 말이(言) 행해지지 않으면(弗行.. 2024. 9. 23.
[맹자집주(孟子集註) 고자 하(告子 下) 13 노욕사악정자위정장(호선우어천하장)[魯欲使樂正子爲政章(好善優於天下章)]] 천리 밖의 선한 사람이 오도록 하는 정치를 해라 魯欲使樂正子爲政(노욕사악정자위정). 孟子曰: “吾聞之, 喜而不寐.”(맹자왈 오문지 희이불매)노나라가(魯) 악정자로 하여금(使樂正子) 정하도록 하려고 했다(欲爲政). 맹자가 말하길(孟子曰): “내가 그것을 듣고(吾聞之), 기뻐서(喜而) 잠을 이루지 못했다(不寐).” 喜其道之得行.그 도가 행해질 것을(其道之得行) 기뻐했다(喜). 公孫丑曰: “樂正子强乎?”(공순추왈 악정자강호) 曰: “否.”(왈부) “有知慮乎?”(유지려호) 曰: “否.”(왈부) “多聞識乎?”(다문식호) 曰: “否.”(왈부)공손추가 말하길(公孫丑曰): “악정자가 굳셉니까(樂正子强乎)?”라고 했다. 말하길(曰): “아니다(否).”라고 했다. “지혜와 사려 깊음이 있습니까(有知慮乎)?”라고 했다. 말하길(曰): “아니다(否).”라고 했다. “들은.. 2024. 9. 23.
[맹자집주(孟子集註) 고자 하(告子 下) 12 군자불량장(君子不亮章)] 군자는 믿음직스러워야 한다 孟子曰: “君子不亮, 惡乎執?”(군자불량 오호집) 孟子曰: “군자가(君子) 믿음직스럽지 않으면(不亮), 어디에서(惡乎) 잡아 지키겠는가(執)?” ○ 亮, 信也, 與諒同. 惡乎執, 言凡事苟且, 無所執持也.○ 량은(亮), 믿음이고(信也), 량과 같다(與諒同). 오호집은(惡乎執), 모든 일이(凡事) 구차하고(苟且), 잡아 지킬 곳이 없다는(無所執持) 말이다(言也). 2024. 9.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