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972

[맹자집주(孟子集註) 고자 하(告子 下) 5 맹자거추장(이폐교장)[孟子居鄒章(以幣交章)]] 예의 뜻을 갖춘 교류에 대한 보답 孟子居鄒, 季任爲任處守, 以幣交, 受之而不報.(맹자거추 계임위임처수 이폐교 수지이불보) 處於平陸, 儲子爲相, 以幣交, 受之而不報.(처어평륙 저자위상 이폐교 수지이불보)맹자가(孟子) 추나라에 머물 때(居鄒), 위임이(季任) 임나라의 처수가 되었는데(爲任處守), 폐백으로 교류했는데(以幣交), 받고서(受之而) 답례하지 않았다(不報). 평륙에 있으면서(處於平陸), 저자가(儲子) 상이 되었는데(爲相), 폐백으로 교류했지만(以幣交), 받고서 답례하지 않았다(受之而不報). ○ 趙氏曰: “季任, 任君之弟. 任君朝會於鄰國, 季任爲之居守其國也. 儲子, 齊相也.” 不報者, 來見則當報之, 但以幣交, 則不必報也. ○ 趙氏曰: “계임은(季任), 임군의 동생이다(任君之弟). 임군이(任君) 이웃 나라에(於鄰國) 조회하러 갔는데(朝.. 2024. 9. 21.
[맹자집주(孟子集註) 고자 하(告子 下) 4 송경장지초장(宋牼將之楚章)] 하필왈리(何必曰利) / 인의를 말해야지 하필 이익을 말하는가? 宋牼將之楚, 孟子遇於石丘.(송경장지초 맹자우어석구)송경이(宋牼) 장차 초나라에 가려는데(將之楚), 맹자가(孟子) 석구에서 만났다(遇於石丘).○ 宋, 姓; 牼, 名. 石丘, 地名. ○ 송은(宋), 성이고(姓); 경은(牼), 이름이다(名). 석구는(石丘), 지명이다(地名). 曰: “先生將何之?”(선생장하지) 말하길(曰): “선생은(先生) 어디로 가시는지요(將何之)?”라고 했다. 趙氏曰: “學士年長者, 故謂之先生.” 趙氏曰: “학사로(學士) 나이가 많은 사람이고(年長者), 그러므로(故) 선생이라고 했다(謂之先生).” 曰: “吾聞秦楚構兵, 我將見楚王說而罷之.(오문진초구병 아장견초왕세이파지) 楚王不悅, 我將見秦王說而罷之, 二王我將有所遇焉.”(초왕불열 아장견진왕세이파지 이왕아장유소우언) 말하길(曰): “내가 듣건대.. 2024. 9. 21.
[맹자집주(孟子集註) 고자 하(告子 下) 3 고자왈소반장(高子曰小弁章)] 부모를 원망할 때와 원망하지 않을 때 公孫丑問曰: “高子曰: 「小弁」, 小人之詩也.”(공손추문왈 고자왈 소반 소인지시야) 孟子曰: “何以言之?” (맹자왈 하이언지)공손추가 묻기를(公孫丑問曰): “고자가 말하길(高子曰): 소반은(「小弁」), 소인의 시다(小人之詩也).”라고 했습니다.맹자가 말하길(孟子曰): “무엇으로(何以) 그것을 말한 것인가(言之)?”  ○ 高子, 齊人也. 「小弁」, 「小雅」篇名. 周幽王娶申后, 生太子宜臼; 又得褒姒, 生伯服, 而黜申后, 廢宜臼. 於是宜臼之傅爲作此詩, 以敘其哀痛迫切之情也.○ 고자는(高子), 제나라 사람이다(齊人也). 소반은(「小弁」), 소아 편명이다(「小雅」篇名). 주 유왕이(周幽王) 신후를 얻어(娶申后), 태자 의구를 낳고(生太子宜臼); 또(又) 포사를 얻어(得褒姒), 백복을 낳자(生伯服, 而) 신후를 내.. 2024. 9. 21.
[맹자집주(孟子集註) 고자 하(告子 下) 2 조교문왈장(식속이이장)[曹交問曰章(食粟而已章)]] 도약대로(道若大路) / 요순의 도는 효와 제일 뿐이다 曹交問曰:(조교문왈) “人皆可以爲堯舜, 有諸?”(인개가이위요순 유저) 孟子曰: “然.”(맹자왈연)조교가 묻기를(曹交問曰): “사람은(人) 모두(皆) 요순이 될 수 있다는데(可以爲堯舜), 그런 것이 있습니까(有諸)?”라고 했다.맹자가 말하길(孟子曰): “그렇다(然).”라고 했다. 趙氏曰: “曹交, 曹君之弟也.” 人皆可以爲堯舜, 疑古語, 或孟子所嘗言也. 趙氏曰: “조교는(曹交), 조군의(曹君之) 동생이다(弟也).” 사람은 모두(人皆) 요순이 될 수 있다는 것은(可以爲堯舜), 옛말이거나(古語), 혹은(或) 맹자가(孟子) 일찍이 말한 것인(所嘗言) 듯하다(疑也). “交聞文王十尺, 湯九尺, 今交九尺四寸以長, 食粟而已, 如何則可?”(교문문왕십척 탕구척 금교구척사촌이장 식속이이 여하즉가) “제가(交) 듣기로(聞) 문.. 2024. 9. 21.
[맹자집주(孟子集註) 고자 하(告子 下) 1 임인유문옥려자장(색여례숙중장)[任人有問屋廬子章(色與禮孰重章)]] 촌목잠루(寸木岑樓) / 차이가 심한 것을 비교하지 말아라 任人有問屋廬子曰:(임인유옥려자왈) “禮與食孰重?”(예여식숙중) 曰: “禮重.”(왈예중)임나라 사람 중에(任人) 옥려자에게 묻는 사람이 있어(有問屋廬子) 말하길(曰): “예와 밥 가운데(禮與食) 어느 것이 더 중요한가요(孰重)?”라고 했다.말하길(曰): “예가 중요하다(禮重).” ○ 任, 國名. 屋廬子, 名連, 孟子弟子也. ○ 임은(任), 나라 이름이다(國名). 옥려자는(屋廬子), 이름이 련이고(名連), 맹자 제자다(孟子弟子也). “色與禮孰重?”(색여례숙중) “색과 예는(色與禮) 어느 것이 더 중요한가요(孰重)?” 任人復問也.임나라 사람이(任人) 다시 물었다(復問也). 曰: “禮重.”(왈예중) 曰: “以禮食, 則飢而死;(왈 이례식 즉기이사) 不以禮食, 則得食, 必以禮乎?(불이예식 즉득식 필이예호) 親迎.. 2024. 9. 21.
[논어집주(論語集注) 자로(子路) 13-30] 불교민전(不敎民戰) / 백성을 가르치지 않고 전쟁터로 보내다 子曰: “以不敎民戰, 是謂棄之.”(이불교민전 시위기지) 子曰: “가르치지 않은 백성을(不敎民) 써서(以) 싸움에 내보내는 것은(戰,) 이것은(是) 백성을 버리는 것이다(謂棄之).” 以, 用也. 言用不敎之民以戰, 必有敗亡之禍, 是棄其民也.이는(以), 씀이다(用也). 가르치지 않은 백성을(不敎之民) 써서(用以) 전쟁에 내보내면(戰), 반드시(必) 패망하는 화가 있을 것이니(有敗亡之禍), 이것은(是) 그 백성을 버리는 것이란(棄其民) 말이다(言也). 2024. 9. 21.
[논어집주(論語集注) 자로(子路) 13-29] 선인교민(善人敎民) / 선인이 백성을 7년 동안 가르치면 일어나는 일 子曰: “善人敎民七年, 亦可以卽戎矣.”(선인교민칠년 역가이즉융의) 子曰: “선인이(善人) 백성을(民) 7년 동안 가르치면(敎七年), 또한(亦) 전쟁에 나아가게 할 수 있다(可以卽戎矣).” 敎民者, 敎之孝悌忠信之行, 務農講武之法. 卽, 就也. 戎, 兵也. 民知親其上, 死其長, 故可以卽戎.교민이란(敎民者), 효제충신의 행실과(孝悌忠信之行), 농사에 힘쓰고(務農) 무예를 배우는 법을(講武之法) 가르치는 것이다(敎之). 즉은(卽), 나아감이다(就也). 융은(戎), 군대다(兵也). 백성이(民) 윗사람을 친애하고(親其上), 그 어른을 위해 죽을 줄(死其長) 알고(知), 그러므로(故) 전쟁에 나아갈 수 있다(可以卽戎). ○ 程子曰: “七年云者, 聖人度其時可矣. 如云朞月, 三年, 百年, 一世, 大國五年, 小國七年之.. 2024. 9. 21.
[논어집주(論語集注) 자로(子路) 13-28] 절절시시(切切偲偲) / 선비의 조건 子路問曰: “何如斯可謂之士矣?”(자로문왈 하여사가위지사의)자로가 묻기를(子路問曰): “어떠하면(何如斯) 선비라고 말할 수 있을까요(可謂之士矣)?” 子曰: “切切, 偲偲, 怡怡如也, 可謂士矣.(절절시시 이이여야 가위사의) 朋友切切, 偲偲, 兄弟怡怡.”(붕우절절시시 형제이이) 子曰: “간절하고(切切), 자상하게 권하고(偲偲), 어울리고 기뻐하는 것을(怡怡如也), 사라고 할 수 있다(可謂士矣). 벗 사이에는(朋友) 간절하고(切切), 자상하게 권해야 하고(偲偲), 형제 사이에는(兄弟) 어울리고 기뻐해야 한다(怡怡).” 胡氏曰: “切切, 懇到也. 偲偲, 詳勉也. 怡怡, 和悅也. 皆子路所不足, 故告之. 又恐其混於所施, 則兄弟有賊恩之禍, 朋友有善柔之損, 故又別而言之.”胡氏曰: “절절은(切切), 간절하게 마음 쓰는.. 2024. 9. 21.
[논어집주(論語集注) 자로(子路) 13-27] 강의목눌(剛毅木訥) / 인한 사람의 네 가지 자질 子曰: “剛ㆍ毅ㆍ木ㆍ訥, 近仁.”(강의목눌 근인) 子曰: “강직함(剛), 굳셈(毅), 질박함(木), 어눌함(訥)은, 인에 가깝다(近仁).” 程子曰: “木者, 質樸. 訥者, 遲鈍. 四者, 質之近乎仁者也.” 程子曰: “목은(木者), 질박함이다(質樸). 눌은(訥者), 지둔(영민하지 못하고 굼뜬)한 것이다(遲鈍). 네 가지는(四者), 자질이(質之) 인에 가까운 것이다(近乎仁者也).” 楊氏曰: “剛毅則不屈於物欲, 木訥則不至於外馳, 故近仁.”楊氏曰: “강직하고 굳세면(剛毅則) 물욕에 굽히지 않고(不屈於物欲), 질박하고 어눌하면(木訥則) 바깥으로 치달리는 것에(於外馳) 이르지 않고(不至), 그러므로 인에 가깝다(故近仁).” 2024. 9. 21.
[논어집주(論語集注) 자로(子路) 13-26] 태이불교(泰而不驕) / 태연하고 교만하지 않다 子曰: “君子泰而不驕, 小人驕而不泰.”(군자태이불교 소인교이불태)子曰: “군자는(君子) 태연하지만(泰而) 교만하지 않고(不驕), 소인은(小人) 교만하지만(驕而) 태연하지 않다(不泰).” 君子循理, 故安舒而不矜肆. 小人逞欲, 故反是.군자는(君子) 리를 따르고(循理), 그러므로(故) 편안하고 조용하지만(安舒而) 잘난 체하고 제멋대로 하지 않는다(不矜肆). 소인은(小人) 욕망을 따라 제멋대로 하고(逞欲), 그러므로(故) 이와 반대로 한다(反是). 2024. 9. 21.
[논어집주(論語集注) 자로(子路) 13-25] 이사난열(易事難說) / 군자는 모시기 쉽지만 기쁘게 하기는 어렵다 子曰: “君子易事而難說也:(군자이사이난열야) 說之不以道, 不說也;(열지불이도 불열야) 及其使人也, 器之.(급기사인야 기지) 子曰: “군자는(君子) 모시기 쉽지만(易事而) 기쁘게 하기는 어렵고(難說也): 기쁘게 하는 것이(說之) 도로써 하지 않으면(不以道), 기뻐하지 않고(不說也); 그가 남을 부릴 때는(及其使人也), 그릇에 맞도록 한다(器之). ○ 器之, 謂隨其材器而使之也. ○ 기지는(器之), 그 재주와 그릇에 따라서(隨其材器而) 그를 부린다는(使之) 말이다(謂也).小人難事而易說也:(소인난사이이열야) 說之雖不以道, 說也;(열지수불이도 열야) 及其使人也, 求備焉.”(급기사인야 구비언)소인은(小人) 모시기 어렵지만(難事而) 기쁘게 하기 쉽고(易說也): 기쁘게 하는 것이(說之) 비록(雖) 도로써 하지 않더라.. 2024. 9. 21.
[논어집주(論語集注) 자로(子路) 13-24] 선자호지(善者好之) / 선한 사람이 좋다고 하는 사람 子貢問曰: “鄕人皆好之, 何如?”(자공문왈 향인개호지 하여) 子曰: “未可也.”(자왈 미가야)자공이(子貢) 묻기를(問曰): “마을 사람들이(鄕人) 모두(皆) 그를 좋아한다면(好之), 어떤가요(何如)?”라고 했다.선생님이 말씀하시길(子曰): “옳지 않다(未可也).”라고 했다.“鄕人皆惡之, 何如?”(향인개오지 하여) 子曰: “未可也.(자왈 미가야) “마을 사람들이(鄕人) 모두 그를 싫어하면(皆惡之), 어떤가요(何如)?” 子曰: “옳지 않다(未可也). 不如鄕人之善者好之, 其不善者惡之.”(불여향인지선자호지 기불선자오지)마을 사람 가운데(鄕人之) 좋은 사람이(善者) 그를 좋아하고(好之), 그 선하지 않은 사람이(其不善者) 그를 싫어하는 것만(惡之) 못하다(不如).” 一鄕之人, 宜有公論矣. 然其間亦各以類自爲好惡也.. 2024. 9.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