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집주(論語集注) 헌문(憲問) 14-26] 욕과기과(欲寡其過) / 거백옥의 심부름꾼
蘧伯玉使人於孔子.(거백옥사인어공자)거백옥이(蘧伯玉) 공자에게(於孔子) 심부름꾼을 보냈다(使人). ○ 蘧伯玉, 衛大夫, 名瑗. 孔子居衛, 嘗主於其家. 旣而反魯, 故伯玉使人來也. ○ 거백옥은(蘧伯玉), 위나라 대부로(衛大夫), 이름은 완이다(名瑗). 공자가(孔子) 위나라에 머물 때(居衛), 일찍이(嘗) 그 집안에(於其家) 머물렀다(主). 얼마 뒤(旣而) 노나라로 돌아왔고(反魯), 그러므로(故) 백옥이(伯玉) 사람을 보내서(使人) 왔다(來也). 孔子與之坐而問焉, 曰: “夫子何爲?”공자가(孔子) 그에게 자리를 내어 주고(與之坐而) 묻기를(問焉, 曰): “부자는(夫子) 무엇을 하시는가(何爲)?”라고 했다. 與之坐, 敬其主以及其使也. 夫子, 指伯玉也.여지좌는(與之坐), 그 주인을 공경함이(敬其主以) 그 심부름꾼에..
2024. 9. 25.
[논어집주(論語集注) 헌문(憲問) 14-25] 위기지학(爲己之學) / 배움은 자기 완성을 목표로 한다
子曰: “古之學者爲己, 今之學者爲人.”(고지학자위기 금지학자위인) 子曰: “옛날(古之) 배우는 사람은(學者) 자기를 위했고(爲己), 지금(今之) 배우는 사람은 남을 위한다(學者爲人).” ○ 程子曰: “爲己, 欲得之於己也. 爲人, 欲見知於人也.” ○ 程子曰: “위기는(爲己), 자기에게(於己) 얻으려고 하는 것이다(欲得之也). 위인은(爲人), 남에게(於人) 알려지기를 바라는 것이다(欲見知也).” ○ 程子曰: “古之學者爲己, 其終至於成物. 今之學者爲人, 其終至於喪己.” ○ 程子曰: “옛날 학자는(古之學者) 자기를 위했고(爲己), 그 마지막에(其終) 남을 이루어주는 것에(於成物) 이르렀다(至). 지금 의학자는(今之學者) 남을 위하고(爲人), 그 마지막에(其終) 자기를 잃는 것에 이른다(至於喪己).” 愚按:..
2024. 9. 25.
[논어집주(論語集注) 헌문(憲問) 14-22] 임금을 시해한 역적은 누구나 토벌할 수 있다
陳成子弑簡公.(진성자시간공)진성자가(陳成子) 간공을 시해했다(弑簡公). 成子, 齊大夫, 名恆. 簡公, 齊君, 名壬. 事在『春秋』哀公十四年.성자는(成子), 제나라 대부로(齊大夫), 이름은 항이다(名恆). 간공은(簡公), 제날 군주로(齊君), 이름은 임이다(名壬). 일이(事) 춘추 애공 14년에 있다(在『春秋』哀公十四年). 孔子沐浴而朝, 告於哀公曰:(공자목욕이조 고어애공왈) “陳恆弑其君, 請討之.”(진항시기군 청토지)공자가(孔子) 목욕하고(沐浴而) 조정에 가서(朝), 애공에게 일러 말하길(告於哀公曰): “진항이(陳恆) 그 임금을 시해했으니(弑其君), 그를 토벌하기를 청합니다(請討之).”라고 했다. ○ 是時孔子致仕居魯, 沐浴齊戒以告君, 重其事而不敢忽也. 臣弑其君, 人倫之大變, 天理所不容, 人人得而誅之, 況鄰..
2024. 9. 25.
[논어집주(論語集注) 헌문(憲問) 14-20] 무도한 위령공이 나라를 잃지 않은 까닭
子言衛靈公之無道也,(자위위령공지무도야) 康子曰: “夫如是, 奚而不喪?”(계강자왈 부여시 해위불상)선생님이(子) 위령공이 무도하다고(衛靈公之無道) 말하자(言也), 계강자가 말하길(康子曰): “무릇 이와 같다면(夫如是), 어찌(奚而) 지위를 잃지 않는가요(不喪)?”라고 했다. ○ 喪, 失位也. ○ 상은(喪), 지위를 잃는 것이다(失位也). 孔子曰: “仲叔圉治賓客, 祝鮀治宗廟, 王孫賈治軍旅.(중숙어치빈객 축타치종묘 왕손가치군려) 夫如是, 奚其喪?”(부여시 해기상) 孔子曰: “중숙어가(仲叔圉) 빈객을 담당하고(治賓客), 축타가 종묘를 담당하고(祝鮀治宗廟), 왕손가가 군대를 담당합니다(王孫賈治軍旅). 무릇 이와 같다면(夫如是), 어찌(奚) 그가 잃을까요(其喪)?” 仲叔圉, 卽孔文子也. 三人皆衛臣, 雖未必賢, 而..
2024. 9. 24.
[논어집주(論語集注) 헌문(憲問) 14-18] 피발좌임(被髮左衽) / 오랑캐로부터 문명을 지킨 관중의 공로
子貢曰: “管仲非仁者與?(자공왈 관중비인자여) 桓公殺公子糾, 不能死, 又相之.”(환공살공자규 불능사 우상지)자공이 말하길(子貢曰): “관중은(管仲) 인하지 않은 사람인가요(非仁者與)? 환공이(桓公) 공자 규를 죽였는데(殺公子糾), 죽지 않고(不能死), 또(又) 그를 도왔습니다(相之).”라고 했다. ○ 子貢意不死猶可, 相之則已甚矣. ○ 자공은(子貢) 죽지 않은 것은(不死) 오히려 괜찮지만(猶可), 그를 도왔다면(相之則) 이미 심한 것이라고(已甚) 생각했다(意矣). 子曰: “管仲相桓公, 霸諸侯, 一匡天下, 民到于今受其賜.(관중상환공 패제후 일광천하 민도우금수기사) 子曰: “관중이(管仲) 환공을 도와(相桓公), 제후의 우두머리가 되거(霸諸侯), 한 번(一) 천하를 바로잡도록 해서(匡天下), 백성이(民) 지금까..
2024. 9. 24.
[논어집주(論語集注) 헌문(憲問) 14-17] 규합제후(九合諸侯) / 관중에게 인의 공로가 있다
子路曰: “桓公殺公子糾, 召忽死之, 管仲不死.”(자로왈 환공살공자규 소홀사지 관중불사) 曰: “未仁乎.”(미인호)자로가 말하길(子路曰): “환공이(桓公) 공자 규를(公子糾) 죽이자(殺), 소홀도(召忽) 그를 위해 죽었는데(死之), 관중은 죽지 않았습니다(管仲不死).” 말하길(曰): “인하지 않은 것인가요(未仁乎).”라고 했다. ○ 按『春秋傳』, 齊襄公無道, 鮑叔牙奉公子小白奔莒. 及無知弑襄公, 管夷吾ㆍ召忽奉公子糾奔魯. 魯人納之, 未克, 而小白入, 是爲桓公. 使魯殺子糾而請管ㆍ召, 召忽死之, 管仲請囚. 鮑叔牙言於桓公以爲相. 子路疑管仲忘君事讐, 忍心害理, 不得爲仁也. ○춘추전을 살펴보면(按『春秋傳』), 제 양공에게(齊襄公) 도가 없었고(無道), 포숙아가(鮑叔牙) 공자 소백을 받들고(奉公子小白) 려 나라로 도망쳤..
2024. 9.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