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자집주(孟子集註) 양혜왕 하(梁惠王 下) 10 제인벌연승지장(齊人伐燕勝之章)] 단사호장(簞食壺漿) / 백성이 기뻐하면 천명을 얻는다
齊人伐燕, 勝之.(제인벌연승지)제나라가(齊人) 연나라를 쳐서(伐燕), 이겼다(勝之). 按『史記』, ‘燕王噲讓國於其相子之, 而國大亂. 齊因伐之. 燕士卒不戰, 城門不閉, 遂大勝燕.’사기를 살펴보면(按『史記』), ‘연왕(燕王) 회가(噲) 나라를 그 재상 자지에게 양보했고(讓國於其相子之, 而) 나라가(國) 크게 혼란스러워졌다(大亂). 제나라가(齊) 이것을 틈타(因) 정벌했다(伐之). 연나라 사졸이(燕士卒) 싸우지 않고(不戰), 성문을 닫지 않아(城門不閉), 마침내(遂) 연나라를 크게 이겼다(大勝燕).’ 宣王問曰:(선왕문왈) “或謂寡人勿取, 或謂寡人取之.(혹위과인물취 혹위과인취지) 以萬乘之國伐萬乘之國, 五旬而擧之, 人力不至於此.(이만승지국벌만승지국 오순이거지 인력부지어차) 不取, 必有天殃. 取之, 何如?”..
2024. 4. 24.
[논어집주(論語集注) 이인(里仁) 4-7] 관과지인(觀過知仁) / 허물을 보면 그 사람을 알 수 있다
子曰: “人之過也, 各於其黨. 觀過, 斯知仁矣.”(인지과야 각어기당 관과 사지인의) 子曰: “사람의 허물은(人之過也), 각자(各) 그 무리에 따른다(於其黨). 허물을 보면(觀過), 이에(斯) 인을 알 수 있다(知仁矣).” * 觀過知仁(관과지인): 知仁은 知人(지인)의 誤字(오자)라고 보아 '허물을 보면 사람을 안다'라고 해석하는 견해도 있다. 黨, 類也.당은(黨), 무리다(類也). ○ 程子曰: “人之過也, 各於其類. 君子常失於厚, 小人常失於薄; 君子過於愛, 小人過於忍.” ○ 程子曰: “사람의 허물은(人之過也), 각자(各) 그 무리에 따른다(於其類). 君子常失於厚, 小人常失於薄; 君子過於愛, 小人過於忍.” ○ 尹氏曰: “於此觀之, 則人之仁不仁可知矣.” ○ 尹氏曰: “이것에서 본다면(於此觀之,..
2024. 4. 24.
[소학집주(小學集註) 명륜(明倫) 명부자(明父子) 2-1-29] 관비즉구비(官備則具備) / 제사는 부부가 직접 지내야 한다
祭統曰, 夫祭也者, 必夫婦親之, 所以備外內之官也.(제통왈 부제야자 필부부친지 소이비외내지관야) 官備則具備.(관비즉구비)제통에서 이르길(祭統曰), 무릇(夫) 제사란(祭也者), 반드시(必) 부부가 직접 지내야 하고(夫婦親之), 남자와 여자의(外內之) 할 일을(官) 갖추는 것이기 때문이다(所以備也). 일이 갖추어지면(官備則) 제물이 갖추어진다(具備). [集說] 陳氏曰祭統, 禮記篇名, 統, 猶本也. 具者, 奉祭之物也. 方氏曰夫婦親之, 若君制祭, 夫人薦盎, 君割牲, 夫人遷酒, 卿大夫相君, 命婦相夫人, 此外內之官也. 官, 所以執事, 事, 所以具物. 故官備則具備. [集說] 진씨가 말하길(陳氏曰) 제통은(祭統), 예기 편명이고(禮記篇名), 통은(統), 본과 같다(猶本也). 구란(具者), 제사를 받드는(奉祭之)..
2024. 4. 24.
[소학집주(小學集註) 명륜(明倫) 명부자(明父子) 2-1-28] 상로이강(霜露旣降) / 군자는 부모를 잊지 않는다
祭義曰, 霜露旣降, 君子履之, 必有悽愴之心, 非其寒之謂也.(제의왈 상로이강 군자리지 필유처창지심 비기한지위야) 春雨露旣濡, 君子履之, 必有怵惕之心, 如將見之.(춘우로이점 군자리지 필유출척지심 여장견지)제의에서 이르길(祭義曰), 서리와 이슬이 이미 내리고(霜露旣降), 군자가 그것을 밟으면(君子履之), 반드시(必) 서글픈 마음이 있으니(有悽愴之心), 그 추운 것을 말한 것이 아니다(非其寒之謂也). 봄에(春) 비와 이슬이(雨露) 이미 적시고(旣濡), 군자가 그것을 밟으면(君子履之), 반드시(必) 두렵고 놀라운 마음이 있으니(有怵惕之心), 장차 만날 것처럼 여긴다(如將見之). * 悽愴(처창): 몹시 구슬프고 애달픔. * 怵惕(출척): 두려워서 조심(操心)함. [集解] 祭義, 禮記篇名. 履, 踐也. 悽..
2024. 4. 24.
[논어집주(論語集注) 이인(里仁) 4-6] 역부족자 중도이폐(力不足者 中道而廢) / 힘이 부족해서 인을 못하는 것이 아니다
子曰: “我未見好仁者, 惡不仁者.(아미견호인자 오불인자) 好仁者, 無以尙之;(호인자 무이상지) 惡不仁者, 其爲仁矣, 不使不仁者加乎其身.(오인자 기위인의 불사불인자가호기신) 子曰: “나는(我) 인을 좋아하고(好仁者), 불인을 미워하는 사람을(惡不仁者) 아직 보지 못했다(未見). 인을 좋아하는 사람은(好仁者), 거기에 더할 것이 없고(無以尙之); 불인을 미워하는 사람은(惡不仁者), 인을 행하는 것이(其爲仁矣), 불인한 사람으로 하여금(不使不仁者) 자기에게 더하지 못하도록 한다(加乎其身). ○ 夫子自言未見好仁者, 惡不仁者. 蓋好仁者眞知仁之可好, 故天下之物無以加之. 惡不仁者眞知不仁之可惡, 故其所以爲仁者, 必能絶去不仁之事, 而不使少有及於其身. 此皆成德之事, 故難得而見之也. ○ 부자가(夫子) 스스로 말하길(..
2024. 4. 24.
[논어집주(論語集注) 이인(里仁) 4-4] 인에 뜻을 두면 나쁜 짓을 하지 않는다
子曰: “苟志於仁矣, 無惡也.”(구지어인의 무악야) 子曰: “진실로(苟) 인에 뜻을 둔다면(志於仁矣), 악행이 없을 것이다(無惡也).” ○ 苟, 誠也. 志者, 心之所之也. 其心誠在於仁, 則必無爲惡之事矣. ○ 구는(苟), 진실로다(誠也). 지란(志者), 마음이 가는 것이다(心之所之也). 그 마음이(其心) 진실로(誠) 인에 있다면(在於仁, 則) 반드시(必) 악한 짓을 하는 일이 없을 것이다(無爲惡之事矣). ○ 楊氏曰: “苟志於仁, 未必無過擧也, 然而爲惡則無矣.”○ 楊氏曰: “진실로(苟) 인에 뜻을 두면(志於仁), 반드시 지나친 거동이 없을 수 없지만(未必無過擧也), 그러나(然而) 악한 짓을 하는 것은(爲惡則) 없을 것이다(無矣).” * 過擧(과조): 지나친 거동(擧動).
2024. 4. 24.
[논어집주(論語集注) 이인(里仁) 4-5] 불이기도득지(不以其道得之) 조차전패(造次顚沛) / 부귀와 빈천을 대하는 올바른 자세
子曰: “富與貴是人之所欲也, 不以其道得之, 不處也;(부여귀시인지소욕야 불이기도득지 불처야) 貧與賤是人之所惡也, 不以其道得之, 不去也.(부여천시인지소오야 불이기도득지 불거야) 子曰: “부유함과 귀함(富與貴) 이것은(是) 사람들이(人之) 바라는 것이고(所欲也), 바른 도로 얻은 것이 아니라면(不以其道得之), 처하지 않고(不處也); 가난과 천함(貧與賤) 이것은(是) 사람들이 싫어하는 것이지만(人之所惡也), 바른 도로 얻은 것이 아니라도(不以其道得之), 떠나지 않는다(不去也). ○ 不以其道得之, 謂不當得而得之. 然於富貴則不處, 於貧賤則不去, 君子之審富貴而安貧賤也如此. ○ 불이기도득지는(不以其道得之), 마땅히 얻을 것이 아닌데도(不當得而) 얻은 것을(得之) 말한다(謂). 그러나(然) 부유함과 귀함에 처하지..
2024. 4.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