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자집주(孟子集註) 공손추 하(公孫丑 下) 4 맹자지평륙장(공거심장)[孟子之平陸章(孔距心章)]] 구목여추(求牧與芻) / 백성을 위해 힘써야 한다
孟子之平陸.(맹자지평륙) 謂其大夫曰: “子之持戟之士, 一日而三失伍, 則去之否乎?”(위기대부왈 자지지극지사 일일이삼실오 즉거지불호) 曰: “不待三.”(왈부대삼)맹자가(孟子) 평륙에 갔다(之平陸). 그 대부에게 말하길(謂其大夫曰): “그대의(子之) 창을 잡은 군사가(持戟之士), 하루 만에(一日而) 세 번(三) 대오를 잃는다면(失伍, 則) 그를 죽이지 않겠는가(去之否乎)?”라고 했다.말하길(曰): “세 번을 기다리지 않습니다(不待三).”라고 했다. ○ 平陸, 齊下邑也. 大夫, 邑宰也. 戟, 有枝兵也. 士, 戰士也. 伍, 行列也. 去之, 殺之也. ○ 평륙은(平陸), 제나라 하읍이다(齊下邑也). 대부는(大夫), 읍재다(邑宰也). 극은(戟), 가지가 있는(有枝) 병기다(兵也). 사는(士), 전사다(戰士也). 오는(..
2024. 5. 14.
[논어집주(論語集注) 공야장(公冶長) 5-15] 군자사도(君子四道) / 군자라면 마땅히 네 가지 도(道)를 가져야 한다
子謂子産, “有君子之道四焉:(자위자산 유군자지도사언) 其行己也恭, 其事上也敬, 其養民也惠, 其使民也義.”(기행기야공 기사상야경 기양민야혜 기사민야의)공자가(子) 자산을 평하기를(謂子産), “군자의 도에는(君子之道) 네 가지가 있으니(有四焉): 그 자신을 행하는 것이(其行己) 공손했고(也恭), 그 윗사람을 섬기는 것이(其事上也) 공경스러웠고(敬), 그 백성을 기르는 것이(其養民也) 은혜로웠고(惠), 그 백성을 부리는 것이(其使民也) 의로웠다(義).” 子産, 鄭大夫公孫僑. 恭, 謙遜也. 敬, 謹恪也. 惠, 愛利也. 使民義, 如都鄙有章, 上下有服, 田有封洫, 廬井有伍之類.자산은(子産), 정나라 대부(鄭大夫) 공손교다(公孫僑). 공은(恭), 겸손함이다(謙遜也). 경은(敬), 삼감이다(謹恪也). 혜는(惠), 사랑..
2024. 5. 14.
[논어집주(論語集注) 공야장(公冶長) 5-14] 불치하문(不恥下問) / 배움에는 위 아래가 없다
子貢問曰: “孔文子何以謂之文也?”(자공문왈 공문자하위위지문야) 子曰: “敏而好學, 不恥下問, 是以謂之文也.”(자왈 민이호학 불치하문 시이위지문야)자공이 묻기를(子貢問曰): “공문자는(孔文子) 어째서(何以) 그를 문이라고 불렀습니까(謂之文也)?”라고 했다.선생님이 말하길(子曰): “명민하면서도(敏而) 배우기를 좋아했고(好學), 아랫사람에게 묻는 것을(下問) 부끄럽게 여기지 않았으니(不恥), 이 때문에(是以) 그를 문이라고 했다(謂之文也).”라고 했다. ○ 孔文子, 衛大夫, 名圉. 凡人性敏者多不好學, 位高者多恥下問. 故謚法有以“勤學好問” 爲文者, 蓋亦人所難也. 孔圉得謚爲文, 以此而已. ○ 공문자는(孔文子), 위나라 대부이고(衛大夫), 이름은 어다(名圉). 대개(凡) 인성이 명민한 사람은(人性敏者) 배우기를..
2024. 5. 14.
[논어집주(論語集注) 공야장(公冶長) 5-13] 유공유문(唯恐有聞) / 자로는 실천하지 못하는 것을 걱정했다
子路有聞, 未之能行, 唯恐有聞.(자로유문 미지능행 유공유문)자로에게(子路) 들은 것이 있는데(有聞), 아직 잘 실천하지 못하면(未之能行), 오직(唯) 또 듣는 것이 있을까(有聞) 걱정했다(恐). 前所聞者旣未及行, 故恐復有所聞而行之不給也.전에(前) 들은 것이(所聞者) 이미 행함에 미치지 못했고(旣未及行), 그러므로(故) 다시(復) 듣는 것이 있어서(有所聞而) 실천이 따라가지 못할까(行之不給) 걱정했다(恐也). ○ 范氏曰: “子路聞善, 勇於必行, 門人自以爲弗及也, 故著之. 若子路, 可謂能用其勇矣.”○ 范氏曰: “자로가(子路) 선을 들으면(聞善), 반드시 행하는 것에(於必行) 용감했고(勇), 문인들이(門人) 스스로(自) 미치지 못한다고 여기고(以爲弗及也), 그러므로(故) 그것을 드러내어 (著之). 자로와 같..
2024. 5. 14.
[논어집주(論語集注) 공야장(公冶長) 5-12] 성여천도(性與天道) / 성과 천도에 대해서는 들을 수 없었다
子貢曰: “夫子之文章, 可得而聞也;(부자지문장 가득문여야) 夫子之言性與天道, 不可得而聞也.”(부자지언성여천도 불가득이문야)자공이 말하길(子貢曰): “선생님의(夫子之) 문장은(文章), 들을 수 있었지만(可得而聞也); 선생님이(夫子之) 성과 천도를 말하는 것은(言性與天道), 들을 수 없었다(不可得而聞也).” 文章, 德之見乎外者, 威儀文辭皆是也. 性者, 人所受之天理; 天道者, 天理自然之本體, 其實一理也. 言夫子之文章, 日見乎外, 固學者所共聞; 至於性與天道, 則夫子罕言之, 而學者有不得聞者. 蓋聖門敎不躐等, 子貢至是始得聞之, 而歎其美也.문장은(文章), 덕이(德之) 바깥에 보이는 것이고(見乎外者), 엄숙한 태도와 문사가(威儀文辭) 모두 이것이다(皆是也). 성이란(性者), 사람이(人) 받은 것의(所受之) 천리이고(天..
2024. 5. 14.
[맹자집주(孟子集註) 공손추 하(公孫丑 下) 1 천시불여지리장(天時不如地利章)] 천시지리인화(天時地利人和) / 천시는 지리만 못하고 지리는 인화만 못하다
孟子曰: “天時不如地利, 地利不如人和.(천시불여지리 지리불여인화) 孟子曰: “천시는(天時) 지리만 못하고(不如地利), 지리는(地利) 인화만 못하다(不如人和). 天時, 謂時日支干, 孤虛, 王相之屬也. 地利, 險阻, 城池之固也. 人和, 得民心之和也.천시는(天時), 날의 간지가(時日支干), 고허왕상 등에 속하는 것을(孤虛, 王相之屬) 말한다(謂也). 지리는(地利), 험하고 가팔라서(險阻), 성과 연못이 굳센 것이다(城池之固也). 인화는(人和), 민심의 조화를 얻은 것이다(得民心之和也). * 孤虛旺相(고허왕상) : 술법가에서 날과 계절의 길흉을 따지는 방법. 고허는 육갑(六甲)에서 갑자(甲子)로 시작된 열흘 속에는 지지(地支)에 술해(戌亥)가 없는데 이것을 고(孤)라 하고, 열흘의 중간인 5, 6일에 해당하는..
2024. 5. 13.
[논어집주(論語集注) 공야장(公冶長) 5-10] 미견강자(未見剛者) / 나는 강한 사람을 보지 못했다
子曰: “吾未見剛者.”(오미견강자) 子曰: “나는(吾) 강한 사람을 보지 못했다(未見剛者).” 剛, 堅强不屈之意, 最人所難能者, 故夫子歎其未見.강은(剛), 굳세고 강하고(堅强) 굽히지 않는다는 뜻이니(不屈之意), 사람이 잘하기 어려운 것이고(最人所難能者), 그러므로(故) 부자께서(夫子) 보지 못했다고 한탄했다(歎其未見).或對曰: “申棖.”(혹대왈 신장) 子曰: “棖也慾, 焉得剛?”(자왈 장야욕 언득강)누군가 대답하길(或對曰): “신장이 있습니다(申棖).”라고 했다.선생님이 말하길(子曰): “신장은 욕심이 많으니(棖也慾), 어찌(焉) 강할 수 있겠는가(得剛)?”라고 했다. ○ 申棖, 弟子姓名. 慾, 多嗜慾也. 多嗜慾, 則不得爲剛矣. ○ 신장은(申棖), 제자의 성명이다(弟子姓名). 욕은(慾), 즐기고 좋..
2024. 5.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