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80

[논어집주(論語集注) 옹야(雍也) 6-21] 요산요수(樂山樂水) / 지혜로운 사람은 물을 즐기고 어진 사람은 산을 즐긴다 子曰: “知者樂水, 仁者樂山;(지자요수 인자요산) 知者動, 仁者靜;(지자동 인자정) 知者樂, 仁者壽.”(지자락 인자수) 子曰: “지혜로운 사람은(知者) 물을 즐기고(樂水), 어진 사람은(仁者) 산을 즐기고(樂山); 지혜로운 사람은(知者) 움직이고(動), 어진 사람은(仁者) 고요하고(靜); 지혜로운 사람은(知者) 즐기고 살며(樂), 어진 사람은(仁者) 오래 산다(壽).” ○ 樂, 喜好也. 知者達於事理而周流無滯, 有似於水, 故樂水; 仁者安於義理而厚重不遷, 有似於山, 故樂山. 動ㆍ靜以體言, 樂ㆍ壽以效言也. 動而不括故樂, 靜而有常故壽. ○ 락은(樂), 기뻐하고 좋아하는 것이다(喜好也). 지자는(知者) 사리에 통달해서(達於事理而) 두루 흘러(周流) 막힘이 없어서(無滯), 물과 비슷한 점이 있고(有似於水), 그러므.. 2024. 6. 4.
[논어집주(論語集注) 옹야(雍也) 6-20] 경이원지(敬而遠之) 선난후획(先難後獲) / 적당한 거리를 두어라 경이원지(敬而遠之)樊遲問知.(번지문지) 子曰: “務民之義, 敬鬼神而遠之, 可謂知矣.”(무민지의 경귀신이원지 가위지의)번지가(樊遲) 앎을 물었다(問知). 子曰: “사람의 의에 힘쓰고(務民之義), 귀신을 공경하되(敬鬼神而) 멀리하면(遠之), 앎이라고 할 수 있다(可謂知矣).” ○ 民, 亦人也. 專用力於人道之所宜, 而不惑於鬼神之不可知, 知者之事也.○ 민은(民), 또한 사람이다(亦人也). 사람의 도리가 마땅히 지켜야 할 것에(於人道之所宜) 온 힘을 집중하고(專用力, 而) 귀신처럼 알 수 없는 것에(於鬼神之不可知) 미혹되지 않는 것이(不惑), 지자의 일이다(知者之事也). 선난후획(先難後獲)問仁. 曰: “仁者先難而後獲, 可謂仁矣.”(문인 인자선난이후획 가위인의)인을 물었다(問仁). 말하길(曰): “인자는(仁者) .. 2024. 6. 4.
[공자가어(孔子家語) 문례(問禮) 6-1] 예변군신상하(禮辨君臣上下) / 예는 군신과 상하를 구별하는 것이다 1 哀公問於孔子曰: "大禮何如? 子之言禮, 何其尊?" 孔子對曰: "丘也鄙人, 不足以知大禮." 公曰: "吾子言焉." 孔子曰: "丘聞之: 民之所以生者·禮爲大. 非禮則無以節事天地之神; 非禮則無以辯君臣·上下·長幼之位焉; 非禮則無以別男女·父子·兄弟·婚姻·親族·疏數之交焉. 是故君子以此爲之尊敬, 然後以其所能, 敎順百姓, 不廢其會節. 旣有成事, 然後治其雕鏤文章黼黻, 以別尊卑上下之等. 其順之也, 而後言其喪祭之紀, 宗廟之序. 品其犧牲, 設其豕腊, 脩其歲時, 以敬祭祀, 別其親疏, 序其昭穆, 而後宗族會宴. 即安其居, 以綴恩義, 卑其宮室, 節其服御, 車不雕璣, 器不彫鏤, 食不二味, 心不淫志, 以與萬民同利. 古之明王, 行禮也如此." 公曰: "今之君子, 胡莫之行也?" 孔子對曰: "今之君子, 好利無厭, 淫行不倦, 荒怠慢游, 固民是盡.. 2024. 6. 4.
[논어집주(論語集注) 옹야(雍也) 6-19] 가이어상(可以語上) / 들을 수 있어야 말해줄 수 있다 子曰: “中人以上, 可以語上也;(중인이상 가이어상야) 中人以下, 不可以語上也.”(중인이하 불가이어상야) 子曰: “중인 이상이라면(中人以上), 위를 말해줄 수 있지만(可以語上也); 중인 이하는(中人以下), 위를 말해줄 수 없다(不可以語上也).” ○ 語, 告也. 言敎人者, 當隨其高下而告語之, 則其言易入而無躐等之弊也. ○ 어는(語), 일러줌이다(告也). 남을 가르치는 것은(敎人者), 마땅히(當) 그 고하를 따라서(隨其高下而) 말해준다면(告語之, 則) 그 말이(其言) 쉽게 들어가고(易入而) 엽등의 폐단이 없다는(無躐等之弊) 말이다(言也). ○ 張敬夫曰: “聖人之道, 精粗雖無二致, 但其施敎, 則必因其材而篤焉. 蓋中人以下之質, 驟而語之太高, 非惟不能以入, 且將妄意躐等, 而有不切於身之弊, 亦終於下而已矣. 故就其所及.. 2024. 6. 4.
[논어집주(論語集注) 옹야(雍也) 6-18] 불여락지(不如樂之) / 도를 즐기는 것이 최고다 子曰: “知之者不如好之者, 好之者不如樂之者.”(지지자불여호지자 호지자불여락지자) 子曰: “아는 것은(知之者) 좋아하는 것만 못하고(不如好之者), 좋아하는 것은(好之者) 즐기는 것만 못하다(不如樂之者).” ○ 尹氏曰: “知之者, 知有此道也. 好之者, 好而未得也. 樂之者, 有所得而樂之也.” ○ 尹氏曰: “아는 것은(知之者), 이 도가 있음을 아는 것이다(知有此道也). 좋아하는 것은(好之者), 좋아하지만(好而) 얻지 못한 것이다(未得也). 즐기는 것은(樂之者), 얻은 것이 있고(有所得而) 즐기는 것이다(樂之也).” ○ 張敬夫曰: “譬之五穀, 知者知其可食者也, 好者食而嗜之者也, 樂者嗜之而飽者也. 知而不能好, 則是知之未至也; 好之而未及於樂, 則是好之未至也. 此古之學者, 所以自强而不息者歟?”○ 張敬夫曰: “그것을.. 2024. 6. 3.
[논어집주(論語集注) 옹야(雍也) 6-17] 인지생야직(人之生也直) / 사람의 삶은 곧음이다 子曰: “人之生也直, 罔之生也幸而免.”(인지생야직 망지생야행이면)子曰: “사람의 삶은(人之生也) 곧음이고(直), 곧지 않은 삶은(罔之生也) 요행히(幸而) 면하는 것일 뿐이다(免).”  * 罔之生也(망지생야): 罔은 속이고 기만하는 것으로 直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본다. 망(罔)을 무(無)와 같은 의미로 ‘직(直)이 없이’의 뜻으로 보기도 한다. 程子曰: “生理本直. 罔, 不直也, 而亦生者, 幸而免爾.”程子曰: “삶의 이치는(生理) 곧음에 뿌리를 둔다(本直). 망은(罔), 곧지 않은 것이고(不直也, 而) 또한 사는 것은(亦生者), 요행히 면할 뿐이다(幸而免爾).” 2024. 6. 3.
[공자가어(孔子家語) 유행해(儒行解) 5-5] 조신욕덕(澡身浴德) / 유자가 행동하는 방식 (3) 15 儒有澡身浴德, 陳言而伏, 言而正之, 上不知也; 默而翹之, 又不爲急也; 不臨深而爲高, 不加少而爲多; 世治不輕, 世亂不沮; 同己不與, 異己不非; 其特立獨行有如此者. 15 유자에게는(儒) 몸을 씻고(有澡身) 덕을 닦고(浴德), 말하지만 숨어 있고(陳言而伏), 말해서 바르게 하지만(言而正之), 윗사람이 알지 못하고(上不知也); 조용히 들어 올리지만(默而翹之), 또(又) 급하지 하지 않고(不爲急也); 깊은데 임해서 높다고 여기지 않고(不臨深而爲高), 조금 더하고 많다고 여기지 않고(不加少而爲多); 세상이 다스려져도 가벼이 행동하지 않고(世治不輕), 세상이 어지러워도 꺾이지 않고(世亂不沮); 자기와 같아도 인정하지 않고(同己不與), 자기와 달라도 배척하지 않고(異己不非); 그 우뚝 서고 행하는 것에(其特立.. 2024. 5. 30.
[논어집주(論語集注) 옹야(雍也) 6-16] 문질빈빈(文質彬彬) / 바탕과 형식이 조화를 이뤄야 한다 子曰: “質勝文則野, 文勝質則史.(질승문즉야 문승질즉사) 文質彬彬, 然後君子.”(문질빈빈 연후군자) 子曰: “질이(質) 문을 이기면(勝文則) 촌스럽고(野), 문이(文) 질을 이기면(勝質則) 사이다(史). 문과 질이(文質) 적절하게 섞이고 나서야(彬彬, 然後) 군자다울 수 있다(君子).” 野, 野人, 言鄙略也. 史, 掌文書, 多聞習事, 而誠或不足也. 彬彬, 猶班班, 物相雜而適均之貌. 言學者當損有餘, 補不足, 至於成德, 則不期然而然矣.야는(野), 야인이고(野人), 촌스럽고 소략한 것을 말한다(言鄙略也). 사는(史), 문서를 관장하고(掌文書), 들은 것이 많고(多聞) 일에 익숙하지만(習事, 而) 정성이 혹 부족하다(誠或不足也). 빈빈은(彬彬), 반반과 같아서(猶班班), 사물이 서로 섞여서(物相雜而) 고른 모습.. 2024. 5. 30.
[논어집주(論語集注) 옹야(雍也) 6-15] 하막유사도(何莫由斯道) / 누가 이 길을 따르지 않겠는가? 子曰: “誰能出不由戶?(수능출불유호) 何莫由斯道也?”(하막유사도야) 子曰: “누가(誰) 나가면서(能出) 문을 통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不由戶)? 어찌(何) 누구도(莫) 이 도를 통하지 않는가(由斯道也)?” 言人不能出不由戶, 何故乃不由此道邪? 怪而歎之之辭. 사람이(言人) 문을 통하지 않으면(不由戶) 나갈 수 없는데(不能出), 무슨 까닭으로(何故) 이에(乃) 이 도를 통하지 않는가(不由此道邪)? 이상하게 여기고(怪而) 탄식한 말이다(歎之之辭).○ 洪氏曰: “人知出必由戶, 而不知行必由道. 非道遠人, 人自遠爾.”○ 洪氏曰: “사람이(人) 나갈 때(出) 반드시 문을 통하는 것을(必由戶) 알지만(知, 而) 행동할 때(行) 반드시 도를 통해햐 하는 것을(必由道) 알지 못한다(不知). 도가 사람에게서 멀어진 것이 아니.. 2024. 5. 30.
[공자가어(孔子家語) 유행해(儒行解) 5-4] 충신이위갑주(忠信以爲甲冑) / 유자가 행동하는 방식 (2) 10 儒有忠信以爲甲冑, 禮義爲干櫓; 戴仁而行, 抱義而處; 雖有暴政, 不更其所; 其自立有如此者. 10 유자에게는(儒) 충과 신을 갑주로 삼는 일이 있고(有忠信以爲甲冑), 예의를 방패로 삼는 일이 있고(禮義爲干櫓); 인을 싣고서 행하며(戴仁而行), 의를 품고서 처하니(抱義而處); 비록(雖) 폭정이 있더라도(有暴政), 그 머무는 곳을 바꾸지 않고(不更其所); 그 스스로 서 있음에(其自立) 이와 같은 것이 있습니다(有如此者).  * 干櫓(간로): 전쟁(戰爭) 때에 적(敵)의 칼, 창(槍), 화살 따위를 막는 데에 쓰던 무기(武器). 원방패(圓防牌)와 장방패(長防牌)가 있다. 11 儒有一畝之宮, 環堵之室, 篳門圭窬, 蓬戶甕牖, 易衣而出, 并日而食; 上荅之, 不敢以疑; 上不荅, 不敢以諂; 其仕有如此者. 11 유자에.. 2024. 5.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