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498

[소학집주(小學集註) 계고(稽古) 명륜(明倫) 4-6] 호읍우호천(號泣于旻天) / 순임금은 부모의 사랑을 얻지 못한 것을 걱정했다 萬章問曰, 舜往于田, 號泣于旻天. 何爲其號泣也.(만장문왈 순왕우전 호읍우호천 하위기호읍야) 孟子曰, 怨慕也.(맹자왈 원모야) 我竭力耕田, 共爲子職而已矣.(아갈력경전 공위자직이이의) 父母之不我愛, 於我何哉.(부모지불아애 어야하재)만장이 묻기를(萬章問曰), 순이(舜) 밭에 가서(往于田), 하늘에(于旻天) 울부짖으며 울었습니다(號泣). 무엇 때문에(何爲) 그가(其) 울부짖으며 울었습니까(號泣也). 맹자가 말하길(孟子曰), 원망하고(怨) 사모한 것이다(慕也). 내가(我) 힘을 다해(竭力) 밭 갈고(耕田), 자식의 직분을(子職) 열심히 했을 뿐이다(共爲而已矣). 부모가(父母之) 나를 사랑하지 않으니(不我愛), 나에게(於我) 무슨 있어서인가(何哉) 했다.  [集說] 朱子曰萬章, 孟子弟子. 舜往于田, 耕歷山時也... 2024. 11. 2.
[소학집주(小學集註) 계고(稽古) 명륜(明倫) 4-5] 순임금이 효로써 화합하게 만들었다 虞舜父頑母嚚, 象傲, 克諧以孝, 烝烝乂, 不格姦.(우순부완모은상오 극해이효 증증애 불격간)우순의(虞舜) 어버지가 미련하고(父頑) 어머니가 사특하며(母嚚), 상은 거만했지만(象傲), 효도로(以孝) 화합하게 해서(克諧), 차츰 다스려(烝烝乂), 간사함에 이르지 않았다(不格姦). [集解] 蔡氏曰虞, 氏, 舜, 名也. 舜父, 號瞽瞍. 心不則德義之經, 爲頑. 母, 舜後母也. 口不道忠信之言, 爲嚚. 象, 舜異母弟名. 傲, 驕慢也. 諧, 和也, 烝, 進也, 乂, 治也, 格, 至也. 言舜不幸遭此, 而能和以孝, 使之進進以善自治, 而不至於大爲姦惡也. [集解] 채씨가 말하길(蔡氏曰) 우는 씨이고(虞, 氏), 순은 이름이다(舜, 名也). 순의 아버지는(舜父), 고수라고 불렀다(號瞽瞍). 마음이(心) 도덕과 의리의 떳떳함을(.. 2024. 11. 1.
[소학집주(小學集註) 계고(稽古) 입교(立敎) 4-4] 정장면립(正牆面立) / 배우지 않으면 담을 마주 보고 선 것과 같을 것이다 孔子謂伯魚曰, 女爲周南召南矣乎.(공자위백어왈 여위주남소남의호) 人而不爲周南召南, 其猶正墻面而立與也. (인이불위주남소남 기유정장면이립여야) 右, 立敎.공자가(孔子) 백어에게 일러 말하길(謂伯魚曰), 너는(女) 주남과 소남을 배웠느냐(爲周南召南矣乎). 사람이면서(人而) 주남과 소남을 배우지 않으면(不爲周南召南), 그것은(其) 담장을 정면으로 마주하고(正墻面而) 선 것과(立) 같을 것이다(猶與也). 이상은 입교다(右, 立敎). [集解] 朱子曰爲, 猶學也. 周南召南, 詩首篇名, 所言, 皆修身齊家之事. 正牆面而立, 言卽其至近之地, 而一物無所見, 一步不可行.[集解] 주자가 말하길(朱子曰) 위는 학과 같다(爲, 猶學也). 주남과 소남은(周南召南), 시 머릿편의 이름이고(詩首篇名), 말한 것은(所言), 모두(皆) 수.. 2024. 11. 1.
[소학집주(小學集註) 계고(稽古) 입교(立敎) 4-3] 불학시무이언(不學詩無以言) / 공자가 아들을 가르치는 방법 孔子嘗獨立, 鯉趨而過庭.(공자상독립 리추이과정) 曰, 學詩乎.(왈학시호) 對曰, 未也.(대왈 미야) 不學詩無以言. (불학시무이언) 鯉退而學詩.(리퇴이학시)공자가(孔子) 일찍이(嘗) 혼자 서 있는데(獨立), 리가(鯉) 종종걸음으로(趨而) 뜰을 지나갔다(過庭). 말하길(曰), 시를 배웠느냐(學詩乎)라고 했다. 대답하여 말하길(對曰), 아직 배우지 않았습니다(未也)라고 했다. 시를 배우지 않으면(不學詩) 말을 할 수 없다(無以言). 리가 물러가서(鯉退而) 시를 배웠다(學詩).  [集解] 鯉, 孔子之子伯魚也. 朱子曰事理通達而心氣和平. 故能言. [集解] 리는(鯉), 공자의 아들(孔子之子) 백어다(伯魚也). 주자가 말하길(朱子曰) 사리에 통달하고(事理通達而) 마음이 화평해진다(心氣和平). 그러므로(故) 말을 잘.. 2024. 11. 1.
[소학집주(小學集註) 계고(稽古) 입교(立敎) 4-2] 맹모삼천(孟母三遷) / 맹자의 어머니가 세 번 이사를 가다 孟軻之母, 其舍近墓.(맹가지모 기사근묘) 孟子之少也, 嬉戱爲墓間之事, 踊躍築埋, 孟母曰, 此非所以居子也.(맹자지소야 희희위묘간지사 용약축매 맹모왈 차비소이거자야) 乃去舍市.(내거사시) 其嬉戱爲賈衒, 孟母曰, 此非所以居子也.(기희희위고현 맹모왈 차비소이거자야) 乃徙舍學宮之旁.(내도사학궁지방) 其嬉戱乃設俎豆, 揖讓進退, 孟母曰, 此眞可以居子矣.(기희희내설조두 읍양진퇴 맹모왈 차진가이거자의) 遂居之.(수거지)맹가의 어머니는(孟軻之母), 그 집이(其舍) 묘에 가까웠다(近墓). 맹자가(孟子之) 어렸을 때(少也), 노는 것이(嬉戱) 묘지 사이의 일을 하여(爲墓間之事), 용약하고 매장하는 일을 하므로(踊躍築埋), 맹자의 어머니가 말하길(孟母曰), 이곳은(此) 자식이 살 곳이 아니다(非所以居子也)라고 했다. 이에(乃).. 2024. 11. 1.
[소학집주(小學集註) 계고(稽古) 입교(立敎) 4-1] 문왕지모(文王之母) / 태임이 태교를 잘했다 太任, 文王之母.(태임문왕지모) 摯任氏之中女也. 王季娶以爲妃.(지임씨지중녀야 왕계취이위비)태임은(太任), 문왕의 어머니다(文王之母). 지나라(摯) 임씨의(任氏之) 둘째 달이다(中女也). 왕계가(王季) 장가들어(娶) 비로 삼았다(以爲妃).  [集說] 吳氏曰任, 姓也, 太任, 尊稱之也. 文王, 姬姓, 名昌, 周國之君也. 摯, 國名, 中女, 次女也. 王季, 周太王子, 名季歷, 文王父也. [集說] 오씨가 말하길(吳氏曰) 임은 성이고(任, 姓也), 태임은 존칭이다(太任, 尊稱之也). 문왕은 희성이고(文王, 姬姓), 이름은 창으로(名昌), 주나라의 임금이다(周國之君也). 지는 나라 이름이고(摯, 國名), 중녀는 둘째 딸이다(中女, 次女也). 왕계는 주 태왕의 아들로(王季, 周太王子), 이름은 계력이고(名季歷), .. 2024. 11. 1.
[소학집주(小學集註) 계고(稽古) 4-0] 옛일을 고찰함 [集說] 陳氏曰稽, 考也. 此篇, 考虞夏商周聖賢已行之跡, 以證前篇立敎明倫敬身之言也. 凡四十七章. [集說] 진씨가 말하길(陳氏曰) 계는 살핌이다(稽, 考也). 이 편은(此篇), 우나라와 하나라, 상나라, 주나라(虞夏商周) 성현이(聖賢) 이미(已) 행한 행적을 고찰하고(考行之跡, 以) 전편의 입교, 명륜, 경신의 말을(前篇立敎明倫敬身之言) 증명했다(證也). 모두 47장이다(凡四十七章). 孟子道性善, 言必稱堯舜. 其言曰, 舜爲法於天下, 可傳於後世, 我猶未免爲鄕人也. 是則可憂也. 憂之如何, 如舜而已矣. 摭往行實前言, 述此篇, 使讀者, 有所興起.맹자가(孟子) 성선을 말하고(道性善), 말하면(言) 반드시(必) 요순을 일컬었다(稱堯舜). 그 말 한 것에(其言曰), 순임금은(舜) 천하에(於天下) 본보기가 되어(爲法),.. 2024. 11. 1.
[소학집주(小學集註) 경신(敬身) 명음식(明飮食) 3-46] 음식지인(飮食之人) / 입과 배를 기르는 사람 孟子曰, 飮食之人, 則人賤之矣. 爲其養小以失大也. 右, 明飮食之節.맹자가 말하길(孟子曰), 음식을 좋아하는 사람은(飮食之人, 則) 사람들이(人) 천하게 여긴다(賤之矣). 그 작은 것 기르는 것을 위하여(爲其養小) 큰 것을 잃기 때문이다(以失大也). 이상은(右), 음식의 예절을 밝힌 것이다(明飮食之節). [集解] 飮食之人, 專養口腹者也. 小, 謂口體, 大, 謂心志.[集解] 음식을 탐하는 사람은(飮食之人), 오직(專) 입과 배를 기르는 사람이다(養口腹者也). 소는(小), 입과 몸을 말하고(謂口體), 대는 마음과 뜻을 말한다(大, 謂心志). 2024. 11. 1.
[소학집주(小學集註) 경신(敬身) 명음식(明飮食) 3-45] 일헌지례(一獻之禮) / 선왕이 만든 술 마시는 법도 樂記曰, 豢豕爲酒, 非以爲禍也. 而獄訟益繁, 則酒之流, 生禍也. 是故, 先王因爲酒禮, 一獻之禮, 賓主百拜, 終日飮酒, 而不得醉焉. 此先王之所以備酒禍也.악기에 이르길(樂記曰), 돼지를 기르고(豢豕) 술을 빚는 것은(爲酒), 재앙을 만들려는 것이 아니다(非以爲禍也). 그런데(而) 옥사와 송사가(獄訟) 더욱 잦아지면(益繁, 則) 술이 넘쳐(酒之流), 화가 생긴다(生禍也). 이 때문에(是故), 선왕이(先王) 이것 때문에(因) 주례를 만들었으니(爲酒禮), 일헌의 예에(一獻之禮), 손님과 주인이(賓主) 백 번 절하고(百拜), 종일토록 마셔도(終日飮酒, 而) 취하지 않도록 했다(不得醉焉). 이것은(此) 선왕이(先王之) 술의 재앙을(酒禍) 대비한 것이다(所以備也). [集說] 吳氏曰豢, 養也, 爲, 猶造也. 獄訟益繁,.. 2024. 11. 1.
[소학집주(小學集註) 경신(敬身) 명음식(明飮食) 3-44] 군무고불살우(君無故不殺牛) / 까닭 없이 동물을 죽이지 않는다 禮記曰, 君無故不殺牛.(군무고불살우) 大夫無故不殺羊.(대부무고불살양) 士無故不殺犬豕.(사무고불살견시) 君子遠庖廚, 凡有血氣之類弗身踐也.(군자원포주 범유혈기지류불신천야)예기에 이르길(禮記曰), 임금은(君) 까닭 없이(無故) 소를 죽이지 않았다(不殺牛). 대부는(大夫) 까닭 없이(無故) 양을 죽이지 않았다(不殺羊). 사는(士) 까닭 없이(無故) 개와 돼지를 죽이지 않았다(不殺犬豕). 군자는(君子) 푸줏간을 멀리했으니(遠庖廚), 대체로(凡) 혈기가 있는 부류를(有血氣之類) 몸소 죽이지 않았다(弗身踐也). [集說] 陳氏曰故, 謂祭祀及賓客饗食之禮也. 庖, 宰殺之所, 廚, 烹飪之所. 身, 親也. 踐, 當作翦, 殺也.[集說] 진씨가 말하길(陳氏曰) 고는(故), 제사와 손님을 맞이하여(祭祀及賓客) 음식을 올리는(饗食.. 2024. 11.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