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오서(五書) 읽기1308

[논어집주(論語集注) 자한(子罕) 9-26] 불기불구(不忮不求) / 해치지 말고 탐내지 말아라 子曰: “衣敝縕袍, 與衣狐貉者立, 而不恥者, 其由也與.(의폐온포 여의호학자립 이불치자 기유야여)子曰: “묵은 솜으로 만든 도포를 입고(衣敝縕袍), 여우와 담비 가죽으로 만든 옷을 입은 사람과(與衣狐貉者) 서 있더라도(立, 而) 부끄러워하지 않는 사람은(不恥者), 아마도(其) 자로일 것이다(由也與). * 縕袍(온포): 묵은 솜을 두른 도포(道袍). ○ 敝, 壞也. 縕, 枲著也. 袍, 衣有著者也, 蓋衣之賤者. 狐貉, 以狐貉之皮爲裘, 衣之貴者. 子路之志如此, 則能不以貧富動其心, 而可以進於道矣, 故夫子稱之. ○ 폐는(敝), 해진 것이다(壞也). 온은(縕), 삼실 부스러기다(枲著也). 포는(袍), 옷에(衣) 부스러기가 있는 것이니(有著者也), 대체로(蓋) 옷이(衣之) 천한 것이다(賤者). 호학은(狐貉), 여우와 .. 2024. 8. 27.
[논어집주(論語集注) 자한(子罕) 9-25] 필부불가탈지(匹夫不可奪) / 필부라도 뜻을 빼앗을 수 없다 子曰: “三軍可奪帥也, 匹夫不可奪志也.”(삼군가탈수야 필부불가탈지야) 子曰: “삼군에서(三軍) 장수를 뺏을 수 있지만(可奪帥也), 필부에게서(匹夫) 뜻을 빼앗을 수 없다(不可奪志也).” 侯氏曰: “三軍之勇在人, 匹夫之志在己. 故帥可奪而志不可奪, 如可奪, 則亦不足謂之志矣.”侯氏曰: “삼군의 용맹함은(三軍之勇) 사람에게 달렸고(在人), 필부의 뜻은(匹夫之志) 자기에게 달렸다(在己). 그러므로(故) 장수를 빼앗을 수 있지만(帥可奪而) 뜻을 빼앗을 수 없고(志不可奪), 만약 빼앗을 수 있다면(如可奪, 則) 또한(亦) 뜻이라고 말할 수 없다(不足謂之志矣).” 2024. 8. 27.
[논어집주(論語集注) 자한(子罕) 9-24] 과즉물탄개(過則勿憚改) / 허물이 있으면 고쳐라 子曰: “主忠信, 毋友不如己者, 過則勿憚改.”(주충신 무우불여기자 과즉물탄개) 子曰: “충과 신을 위주로 하고(主忠信), 자기보다 못한 사람을(不如己者) 벗하지 말고(毋友), 허물이 있으면(過則) 고치기를 꺼리지 말라(勿憚改).” 重出而逸其半.두번 나왔고(重出而) 그 반을 잃어버렸다(逸其半). 2024. 8. 27.
[논어집주(論語集注) 자한(子罕) 9-23] 법어지언 손여지언(法語之言 巽與之言) / 깨우쳐주는 말과 타이르는 말 子曰: “法語之言, 能無從乎? 改之爲貴.(법어지언 능무종호 개지위귀) 子曰: “바르게 만드는 말은(法語之言), 따르지 않을 수 있겠는가(能無從乎)? 고치는 것이(改之) 귀하게 여겨진다(爲貴). 法語者, 正言之也. 法言人所敬憚, 故必從; 然不改, 則面從而已.법어란(法語者), 바르게 말하는 것이다(正言之也). 법언은(法言) 사람들이(人) 경탄하는 것이고(所敬憚), 그러므로(故) 반드시 따르지만(必從); 그러나(然) 고치지 않는다면(不改, 則) 겉으로만 따르는 것일 뿐이다(面從而已). 巽與之言, 能無說乎? 繹之爲貴.(손여지언 능무열호 역지위귀)완곡한 말은(巽與之言), 기쁘지 않을 수 있겠는가(能無說乎)? 실마리를 찾아보는 것이(繹之) 귀하게 여겨진다(爲貴). 손언이란(巽言者), 완곡하게(婉而) 이끄는 것이.. 2024. 8. 27.
[논어집주(論語集注) 자한(子罕) 9-22] 후생가외(後生可畏) / 뒤에 난 사람은 두려워할만 하다 子曰: “後生可畏, 焉知來者之不如今也?(후생가외 언지래자지불여금야) 四十, 五十而無聞焉, 斯亦不足畏也已.”(사십오십이무문언 사역부족외야이) 子曰: “뒤에 난 사람은(後生) 두려워할만하니(可畏), 나중이(來者之) 지금의 나만 못할지를(不如今) 어찌 알겠는가(焉知也)? 사십이나 오십이 되어서도(四十, 五十而) 명성이 없다면(無聞焉, 斯) 또한(亦) 두려워할 것이 없다(不足畏也已).” ○ 孔子言後生年富力彊, 足以積學而有待, 其勢可畏. 安知其將來不如我之今日乎? 然或不能自勉, 至於老而無聞, 則不足畏矣. 言此以警人, 使及時勉學也. ○ 공자는(孔子) 후생의(後生) 남은 해가 많고(年富) 힘이 강해서(力彊), 학문을 쌓아서(積學而) 기대할 것이 있으니(有待), 그 기세가(其勢) 두려워할만하다는(可畏) 말이다(言).. 2024. 8. 27.
[논어집주(論語集注) 자한(子罕) 9-21] 묘이불수 수이불실(苗而不秀 秀而不實) / 꽃을 피우지 못한 안타까운 천재들 子曰: “苗而不秀者有矣夫!(묘이불수자유의부) 秀而不實者有矣夫!”(수이불실자유의부) 子曰: “싹이 났지만(苗而) 꽃을 피우지 못하는 사람이 있구나(不秀者有矣夫)! 꽃을 피웠지만(秀而) 여물지 못한 사람도 있구나(不實者有矣夫)!” ○ 穀之始生曰苗, 吐華曰秀, 成穀曰實. 蓋學而不至於成, 有如此者. 是以君子貴自勉也.○ 곡식이(穀之) 처음(始) 나오는 것을 묘라 하고(生曰苗), 꽃을 피우는 것을 수라 하고(吐華曰秀), 곡식을 이루는 것을 실이라 한다(成穀曰實). 대개(蓋) 배워서(學而) 이룸에 이르지 못한 것에(不至於成), 이와 같은 것이 있다(有如此者). 이 때문에(是以) 군자는(君子) 스스로 힘쓰는 것을 귀하게 여긴다(貴自勉也). 2024. 8. 27.
[논어집주(論語集注) 자한(子罕) 9-20] 미견기지(未見其止) / 날로 성장하던 안회의 모습 子謂顔淵, 曰:(자위안연왈) “惜乎! 吾見其進也, 未見其止也.”(석호 오견기진 미견기지야)선생님이(子) 안연을 평하여 말하길(謂顔淵, 曰): “안타깝구나(惜乎)! 나는(吾) 그가 나아가는 것을(其進) 보았지만(見也), 그가 멈추는 것을 보지 못했다(未見其止也).” 進止二字, 說見上章. 顔子旣死而孔子惜之, 言其方進而未已也.진과 지(進止) 두 글자는(二字), 설명이(說) 윗 장에 보인다(見上章). 안자가(顔子) 이미 죽고서(旣死而) 공자가 그것을 안타깝게 여기고(孔子惜之), 그가 바야흐로 나아가고 그만두지 않음을 말했다(言其方進而未已也). 2024. 8. 27.
[논어집주(論語集注) 자한(子罕) 9-19] 안회불타(顔回不惰) / 안회의 실천 子曰: “語之而不惰者, 其回也與!”(어지이불타자 기회야여) 子曰: “말해주면(語之而) 게을리하지 않은 사람은(不惰者), 아마도(其) 안회일 것이다(回也與)!” ○ 惰, 懈怠也. ○ 타는(惰), 게으름이다(懈怠也). 范氏曰: “顔子聞夫子之言, 而心解力行, 造次顚沛未嘗違之. 如萬物得時雨之潤, 發榮滋長, 何有於惰, 此群弟子所不及也.”范氏曰: “안자가(顔子) 부자의 말을 듣고(聞夫子之言, 而) 마음으로 이해하고(心解) 힘써 행해서(力行), 잠시라도(造次顚沛) 어긴 적이 없다(未嘗違之). 만물이(萬物) 적당하게 내 비가 적셔주는 것을 얻어(得時雨之潤), 꽃이 피고(發榮) 자라나는 것과 같으니(如滋長), 어찌(何) 게으름이 있겠는가(有於惰), 이것은(此) 여러 제자들이(群弟子) 미치지 못한 것이다(所不及也).” 2024. 8. 27.
[논어집주(論語集注) 자한(子罕) 9-18] 위산일궤 미성일궤(爲山一簣 未成一簣) / 성공과 실패가 모두 내 탓이다 子曰: “譬如爲山, 未成一簣, 止, 吾止也;(비여위산 미성일궤 지오지야) 譬如平地, 雖覆一簣, 進, 吾往也.”(비여평지 수복일궤 진오왕야) 子曰: “산을 만드는 것에 비유하자면(譬如爲山), 한 삼태기를 이루지 못했더라도(未成一簣), 멈춘 것은(止), 내가 멈춘 것이고(吾止也); 땅을 고르는 것에 비유하자면(譬如平地), 비록(雖) 한 삼태기를 덮었더라도(覆一簣), 나아간 것은(進), 내가 간 것이다(吾往也).” ○ 簣, 土籠也. 『書』曰: “爲山九仞, 功虧一簣.” ○ 궤는(簣), 흙 바구니다(土籠也). 서에 이르길(『書』曰): “산을 아홉 길로 만들 때(爲山九仞), 공적이(功) 한 삼태기에 무너진다(虧一簣).”라고 했다. 夫子之言, 蓋出於此. 言山成而但少一簣, 其止者, 吾自止耳; 平地而方覆一簣, 其進者,.. 2024. 8. 27.
[논어집주(論語集注) 자한(子罕) 9-17] 호덕여호색(好德如好色) / 여자 좋아하듯이 덕을 좋아하기를 子曰: “吾未見好德如好色者也.”(오미견호덕여호색자야) 子曰: “나는(吾) 덕 좋아하기를(好德) 여색 좋아하듯이 하는 사람을(如好色者) 보지 못했다(未見也).” ○ 謝氏曰: “好好色, 惡惡臭, 誠也. 好德如好色, 斯誠好德矣, 然民鮮能之.” ○ 謝氏曰: “호색을 좋아하고(好好色), 오취를 싫어하는 것은(惡惡臭), 진실함이다(誠也). 호덕을(好德) 호색하듯이 하면(如好色), 곧(斯) 참으로(誠) 덕을 좋아하는 것이지만(好德矣), 그러나(然) 백성이(民) 잘하지 못한다(鮮能之).” ○ 『史記』: “孔子居衛, 靈公與夫人同車, 使孔子爲次乘, 招搖市過之.” 孔子醜之, 故有是言.○ 『史記』: “공자가(孔子) 위나라에 머물 때(居衛), 영공과 부인이(靈公與夫人) 수레를 함께 타고(同車), 공자로 하여금(使孔子) 다음.. 2024. 8.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