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집주(論語集注) 자한(子罕) 9-5] 자외어광(子畏於匡) / 하늘이 이 문을 버리지 않을 것이다
子畏於匡.(자외어광)선생님이(子) 광 땅에서 두려워했다(畏於匡). 畏者, 有戒心之謂. 匡, 地名. 『史記』云: “陽虎曾暴於匡, 夫子貌似陽虎, 故匡人圍之.”외란(畏者), 경계하는 마음이 있는 것을(有戒心之) 말한다(謂). 광은(匡), 지명이다(地名). 사기에 이르길(『史記』云): “양호가(陽虎) 일찍이(曾) 광 땅에서 포악하게 굴었는데(暴於匡), 부자의 모습이(夫子貌) 양호와 비슷했고(似陽虎), 그러므로(故) 광 사람들이(匡人) 포위했다(圍之).”라고 했다.曰: “文王旣沒, 文不在茲乎?(문왕기몰 문부재자호) 曰: “문왕이(文王) 이미 죽었고(旣沒), 문이(文) 여기에 있지 않은가(不在茲乎)? 道之顯者謂之文, 蓋禮樂制度之謂. 不曰道而曰文, 亦謙辭也. 茲, 此也, 孔子自謂.도가 드러나는 것을(道之顯者) 문..
2024. 8. 24.
[논어집주(論語集注) 자한(子罕) 9-4] 공자절사(孔子絶四) / 공자에게 없는 네 가지
子絶四: 毋意, 毋必, 毋固, 毋我.(자절사무의무필무고무아)선생님은(子) 네 가지를 끊었는데(絶四): 사사로운 생각이 없었고(毋意), 기필함이 없었고(毋必), 고집부림이 없었고(毋固), 나만 위함이 없었다(毋我). 絶, 無之盡者. 毋, 『史記』作 “無”是也. 意, 私意也. 必, 期必也. 固, 執滯也. 我, 私己也. 四者相爲終始, 起於意, 遂於必, 留於固, 而成於我也. 蓋意必常在事前, 固我常在事後, 至於我又生意, 則物欲牽引, 循環不窮矣.절은(絶), 없음이(無之) 완전한 것이다(盡者). 무는(毋), 사기에서(『史記』) 무로 썼는데(作 “無”) 이것이다(是也). 의란(意), 사의다(私意也). 필은(必), 기필이다(期必也). 고는(固), 집체다(執滯也). 아는(我), 자기를 사사로이 여김이다(私己也). 네 가..
2024. 8. 24.
[논어집주(論語集注) 자한(子罕) 9-3] 수위중오종하(雖違衆吾從下) / 나는 잘못된 세태를 따르지 않겠다
子曰: “麻冕, 禮也;(마면예야) 今也純, 儉. (금야순검) 吾從衆; 子曰: “삼베 면관은(麻冕), 예인데(禮也); 오늘날은(今也) 생사로 만드니(純), 검소하다(儉). 나는 사람들을 따르겠다(吾從衆); 麻冕, 緇布冠也. 純, 絲也. 儉, 謂省約. 緇布冠, 以三十升布爲之, 升八十縷, 則其經二千四百縷矣. 細密難成, 不如用絲之省約. 마면은(麻冕), 치포관이다(緇布冠也). 순은(純), 생사다(絲也). 검은(儉), 줄인 것을 말한다(謂省約). 치포관은(緇布冠), 30승 포로(以三十升布) 만들고(爲之), 1승은(升) 80 올이고(八十縷, 則) 그 날줄이(其經) 2,400 올이다(二千四百縷矣). 세밀해서(細密) 어렵게 만드니(難成), 생사의 간략함을 쓰는 것만 못하다(不如用絲之省約). 拜下, 禮也;(배하예야)..
2024. 8. 24.
[맹자집주(孟子集註) 이루 상(離婁 上) 27 인지실장(사친종형장)[仁之實章(事親從兄章)]] 사람답게 사는 세상을 만드는 방법
孟子曰: “仁之實, 事親是也;(인지실 사친시야) 義之實, 從兄是也.(의지실 종형시야) 孟子曰: “인의 알맹이는(仁之實), 부모를 모시는 것이(事親) 이것이고(是也); 의의 알맹이는(義之實), 형을 따르는 것이(從兄) 이것이다(是也). 仁主於愛, 而愛莫切於事親; 義主於敬, 而敬莫先於從兄. 故仁義之道, 其用至廣, 而其實不越於事親從兄之間. 蓋良心之發, 最爲切近而精實者. 有子以孝弟爲爲仁之本, 其意亦猶此也.인은(仁) 사랑을 주로 하고(主於愛, 而) 사랑에는(愛) 부모를 모시는 것보(於事親) 더 간절한 것이 없으며(莫切); 의는(義) 공경을 주로 하고(主於敬, 而) 경은(敬) 형을 따르는 것보다 앞서는 것이 없다(莫先於從兄). 그러므로(故) 인의의 도는(仁義之道), 그 쓰임이(其用) 지극히 넓고(至廣, 而) 그 ..
2024. 8. 24.
[맹자집주(孟子集註) 이루 상(離婁 上) 26 불고이취장(不告而娶章)] 무후위대(無後爲大) / 자식을 두지 않는 것이 가장 큰 불효다
孟子曰: “不孝有三, 無後爲大.(불효유삼 무호위대) 孟子曰: “불효에는(不孝) 세 가지가 있는데(有三), 후손이 없는 것이(無後) 가장 크다(爲大). 趙氏曰: “於禮有不孝者三事: 謂阿意曲從, 陷親不義, 一也; 家貧親老, 不爲祿仕, 二也; 不娶無子, 絶先祖祀, 三也. 三者之中, 無後爲大.” 趙氏曰: “예에(於禮) 불호한 것이 세 가지 일이 있으니(有不孝者三事): 부모의 뜻에 아첨하고(謂阿意) 굽혀 따라서(曲從), 부모를 불의에 빠뜨리는 것이(陷親不義), 첫째이고(一也); 집안이 가난하고(家貧) 어버이가 늙었는데(親老), 녹을 받는 벼슬을 하지 않는 것이(不爲祿仕), 둘째이고(二也); 장가가지 않고(不娶) 자식이 없어서(無子), 선조의 제사를 끊는 것이(絶先祖祀), 셋째다(三也). 세 가지 가운데(三者之中..
2024. 8. 24.
[맹자집주(孟子集註) 이루 상(離婁 上) 25 포철장(餔啜章)] 옛 도를 먹고 마시는데 쓰는구나
孟子謂樂正子曰: “子之從於子敖來, 徒餔啜也.(자지종어자오래) 我不意子學古之道, 而以餔啜也.”(아불의자학고지도 이이포철야)맹자가(孟子) 악정자에게 말하길(謂樂正子曰): “그대가(子之) 자오를 따라(從於子敖) 온 것은(來), 다만(徒) 먹고 마시려는 것이다(餔啜也). 나는(我) 그대가 옛 도를 배워서(子學古之道, 而) 그것으로(以) 먹고 마실 것은(餔啜) 생각하지 못했다(不意也).” ○ 徒, 但也. 餔, 食也. 啜, 飮也. 言其不擇所從, 但求食耳. 此乃正其罪而切責之.○ 도는(徒), 다만이다(但也). 포는(餔), 먹는 것이다(食也). 철은(啜), 마시는 것이다(飮也). 그가 따르는 것을 선택하지 않고(其不擇所從), 다만(但) 먹는 것을 구할 뿐이라는(求食耳) 말이다(言). 이것은 곧(此乃) 그 죄를 바르게 ..
2024. 8.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