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88

[논어집주(論語集注) 학이(學而) 1-2] 효도와 공경은 인을 실천하는 근본이다 / 효제야자 위인지본(孝弟也者 爲仁之本) 有子曰: “其爲人也孝弟, 而好犯上者, 鮮矣; (기위인야효제 이호범상자 선의) 유자가 말하길(有子曰): “그(其) 사람됨이(爲人也) 효성스럽고 공경스러운데(孝弟, 而) 윗사람 범하기를 좋아하는 사람은(好犯上者), 드물고(鮮矣); * 弟(제): 悌(제)와 같다. 孝(효)는 자식이 부모님께 효성스러운 것이고 弟(제)는 동생이 형에게 공경스러운 것이다. ○ 有子, 孔子弟子, 名若. 善事父母爲孝, 善事兄長爲弟. 犯上, 謂干犯在上之人. 鮮, 少也. ○ 유자는(有子), 공자 제자로(孔子弟子), 이름이 약이다(名若). 부모를 잘 모시는 것이(善事父母) 효가 되고(爲孝), 형과 어른을 잘 모시는 것이(善事兄長) 제가 된다(爲弟). 범상은(犯上), 윗자리에 있는 사람에게(在上之人) 간섭하는 것을 말한다(謂干犯). 선은(鮮.. 2024. 1. 11.
[대학장구(大學章句) 전(傳) 6-1] 자기를 속이지 말아라 / 무자기야(毋自欺也) 성(誠)은 단절이나 왜곡 없이 계속 이어지는 것이고 의(意)는 마음의 발동이다. 사람의 본성(性)이 발동해서 구체화된 것이 정(情)이고 의(意)는 성에서 정으로 가는 과정에 있는 것이다. 성은 본래 선하고 성이 발동하여 정이 되면 남을 나처럼 아끼고 사랑하게 된다. 그런데 중간에 왜곡이 생긴다면 남과 투쟁하려는 악한 정이 생긴다. 뜻을 정성스럽게 하는 것 즉, 성(誠)은 성(性)에서 정(情)으로 가는 과정이 어떤 영향도 받지 않고 그대로 이어지도록 해주는 것이다. 所謂誠其意者, 毋自欺也. (소위성기의자 무자기야) 이른바(所謂) 그 뜻을 정성스럽게 한다는 것은(誠其意者), 자기를 속이지 않는 것이다(毋自欺也). 誠其意者自修之首也. 毋者禁止之辭. 自欺云者知爲善以去惡, 而心之所發, 有未實也. 謙快也, 足也. .. 2024. 1. 10.
[중용장구(中庸章句) 성도교장(性道敎章) 1-1] 천명(天命)과 성(性), 도(道), 교(敎) 中者, 不偏不倚·無過不及之名. 庸, 平常也. 중이란(中者), 치우치지 않고(不偏) 기울지 않고(不倚), 지나치거나 미치지 못함이 없는 상태의(無過不及之) 이름이다(名). 용이란(庸), 일상적인 것이다(平常也). 子程子曰: "不偏之謂中, 不易之謂庸. 中者, 天下之正道, 庸者, 天下之定理." 此篇乃孔門傳授心法, 子思恐其久而差也, 故筆之於書, 以授孟子. 其書始言一理, 中散爲萬事, 末復合爲一理, '放之則彌六合, 卷之則退藏於密', 其味無窮, 皆實學也. 善讀者玩索而有得焉, 則終身用之, 有不能盡者矣. 자정자가 말하길(子程子曰): "치우치지 않는 것을(不偏之) 중이라 하고(謂中), 바뀌지 않는 것을(不易之) 용이라 한다(謂庸). 중이란(中者), 천하의 올바른 길이고(天下之正道), 용이란(庸者), 천하의 정해진 이치다(.. 2024. 1. 9.
[효경주소(孝經注疏) 제후장(諸侯章) (2/2)] 전전긍긍 여임심연 여리박빙(戰戰兢兢 如臨深淵 如履薄冰) 詩云: '戰戰兢兢, 如臨深淵, 如履薄冰.'" (전전긍긍 여림심연 여리박빙) 《戰戰, 恐懼. 兢兢, 戒愼. 臨深恐墜, 履薄恐陷, 義取爲君恒須戒愼.》 시에 이르길(詩云): '벌벌 떨고(戰戰) 조심하는 것처럼(兢兢), 깊은 연못에 직면한 것처럼(如臨深淵), 얇은 얼음을 밟는 것처럼(如履薄冰) 하라.'"라고 했다. 《전전은(戰戰), 두려워 떠는 것이다(恐懼). 긍긍은(兢兢), 경계하여 삼감이다(戒愼). 임심은(臨深) 떨어질까 걱정하는 것인고(恐墜), 리박은(履薄) 빠질까 걱정하는 것이니(恐陷), 뜻은(義) 임금 된 사람은(爲君) 늘(恒) 모름지기(須) 경계하여 삼간다는(戒愼) 것을 취한다(取).》 * 戰戰兢兢(전전긍긍): 전전(戰戰)은 겁을 먹고 벌벌 떠는 것. 긍긍(兢兢)은 조심(操心)해 몸을 움츠리는 것으로.. 2024. 1. 8.
[중용장구(中庸章句) 중용장구서(中庸章句序) 3/3] 중용장구를 지은 이유와 체계 惜乎! 其所以爲說者不傳, 而凡石氏之所輯錄, 僅出於其門人之所記. 是以大義雖明, 而微言未析. 至其門人所自爲說, 則雖頗詳盡而多所發明, 然倍其師說而淫於老ㆍ佛者, 亦有之矣. 안타깝구나(惜乎)! 그(其) 말한 것이(所以爲說者) 전해지지 않고(不傳, 而) 무릇(凡) 석씨가 모아 기록한 것은(石氏之所輯錄), 겨우(僅) 그 문인들이 기록한 거셍서(於其門人之所記) 나온것 뿐이다(出). 이 때문에(是以) 대의가 비록 밝지만(大義雖明, 而) 미묘한 말이(微言) 분석되지 못했다(未析). 그 문인이(其門人) 각자(自) 말한 것에( 所爲說) 이른다면(至, 則) 비록(雖) 자못(頗) 상세하고 다 밝혀서(詳盡而) 발명하는 것이 많지만(多所發明), 그러나(然) 그 스승의 말을 배반하고(倍其師說而) 노와 불에 빠진 사람도(淫於老ㆍ佛者),.. 2024. 1. 7.
[논어주소(論語注疏) 학이(學而) 1-2] 효도와 공경은 인을 행하는 근본이다 / 효제위인지본(孝弟 爲仁之本) 有子曰: 《孔子弟子有若.》 "其爲人也孝弟, 而好犯上者, 鮮矣.(기위인야효제 이호범상자 선의) 《鮮, 少也. 上, 謂凡在已上者. 言孝弟之人必恭順, 好欲犯其上者少也.》 不好犯上, 而好作亂者, 未之有也. 君子務本, 本立而道生. (불호범상 이호작란자 미지유야 군자무본 본립이도생) 《本, 基也. 基立而後可大成.》 孝弟也者, 其為仁之本與!" (효제야자 기위인지본여) 《先能事父兄, 然後仁道可大成.》 유자가 말하길(有子曰): 《공자의 제자(孔子弟子) 유약이다(有若).》 "그(其) 사람됨이(爲人也) 효성스럽고 공손하면서(孝弟, 而) 윗사람 범하기를 좋아하는 사람은(好犯上者), 드물다(鮮矣). 《선은(鮮), 적은 것이다(少也). 상은(上), 모든(凡) 자기 위에 있는 사람을(在已上者) 말한다(謂). 효성스럽고 공손한 사람.. 2024. 1. 6.
[효경주소(孝經注疏) 제후장(諸侯章) (1/2)] 교만하지 않고 절약하고 법도를 따르면 사직을 오래 보전한다 / 재상불교 제절근도(在上不驕 制節謹度) 【疏】正義曰: 次天子之貴者諸侯也. 案《釋詁》云: "公侯, 君也." 不曰諸公者, 嫌涉天子三公也. 故以其次稱爲諸侯, 猶言諸國之君也. 皇侃云: "以侯是五等之第二, 下接伯·子·男, 故稱諸侯." 今不取也. 【疏】正義曰: 천자에 이어(次天子之) 귀한 사람이(貴者) 제후다(諸侯也). 살피건대(案) 석고에서 말하길(《釋詁》云): "공후는(公侯), 임금이다(君也)."라고 했다. 제공이라 하지 않은 것은(不曰諸公者), 천자의 삼공과 혼동될 것을(涉天子三公) 염려한 것이다(嫌也). 그러므로(故) 그다음 호칭으로(以其次稱) 제후라고 했으니(爲諸侯), 여러 나라의 임금을(諸國之君) 말한 것과 같다(猶言也). 황간이 말하길(皇侃云): "후는(以侯) 이 다섯 등급의 두 번째로(是五等之第二), 아래로(下) 백, 자, 남과 이어지고(.. 2024. 1. 5.
[효경주소(孝經注疏) 천자장(天子章) (2/2)] 천자가 효도를 행하면 백성을 그를 믿는다 《甫刑》云: "一人有慶, 兆民賴之."(보형운 일인유경 조민뢰지) 《注: 甫刑, 卽《尙書·呂刑》也. 一人, 天子也. 慶, 善也. 十億曰兆. 義取天子行孝, 兆人皆賴其善.》 《甫刑》云: "한 사람에게(一人) 좋은 점이 있으면(有慶), 일반 백성이(兆民) 그것을 의지한다(賴之)."라고 했다. 《보형이란(甫刑), 곧(卽) 상서 보형이다(《尙書·呂刑》也). 한 사람은(一人), 천자다(天子也). 경은(慶), 좋은 것이다(善也). 십억이 조가 된다(十億曰兆). 뜻은(義) 천자가 효를 행하면(天子行孝), 많은 백성이(兆人) 모두(皆) 그 좋은 점에 의지한다를(賴其善) 취한 것이다(取).》 * 兆民(조민): 일반(一般) 인민(人民). 모든 백성(百姓). 조서(兆庶). 조억(兆億). 【疏】甫刑至賴之. ○正義曰: "夫子述天子.. 2024. 1. 5.
[논어주소(論語注疏) 학이(學而) 1-1] 배우고 때에 맞춰 익히면 즐겁지 않겠는가 / 학이시습(學而時習) 【疏】正義曰:自此至《堯曰》, 是《魯論語》二十篇之名及第次也. 當弟子論撰之時, 以《論語》爲此書之大名, 《學而》以下爲當篇之小目. 其篇中所載, 各記舊聞, 意及則言, 不爲義例, 或亦以類相從. 【疏】正義曰:여기서부터 요왈까지는(自此至《堯曰》), 이것은(是) 노논어 20편의(《魯論語》二十篇之) 이름과 차례다(名及第次也). 당시(當) 제자들이(弟子) 토론하고 지을 때(論撰之時), 논어를(以《論語》) 이 책의 큰 이름으로 삼고(爲此書之大名), 학이 아래를(《學而》以下) 각 편의 작은 제목으로 삼았다(爲當篇之小目). 그 편에(其篇中) 기록한 것이(所載), 각자(各) 예전에 들은 것을 기억하여(記舊聞), 생각나는 것을 언급하고(意及則言), 체제를 만들지 않고(不爲義例), 혹은 또한(或亦) 종류로(以類) 서로 모았다(相從)... 2024. 1. 5.
[논어집주(論語集注) 학이(學而) 1-1] 남이 알아주지 않더라도 신경 쓰지 마라 / 인부지이불온(人不知而不慍) 공자는 논어 첫머리에서 배우는 방법과 그 즐거움을 말하고 배움의 결과로 얻어지는 군자의 모습을 제시하고 있다. 子曰: “學而時習之, 不亦說乎? (학이시습지 불역열호) 선생님이 말씀하시길(子曰): “배우고(學而) 때때로(時) 그것을 익히면(習之), 또한 기쁘지 않겠는가(不亦說乎)? * 時에 대해서 왕숙은 '以時, 적당한 때'라고 해석했고, 주자는 '時時, 항상'이라고 해석했다. * 習에 대해서 주자는 '복습'이라고 해석했는데, 다산은 '실습'이라고 해석했다. '學'이란 아는 것, '習'이란 실천하는 것으로 결국 지행이 같이 향상된다는 말이 된다. 즉, 부모에게 문안드리는 예를 배웠으면 제때에 몸소 문안드리는 것이 '習'이라고 했다. ○ 學之爲言效也. 人性皆善, 而覺有先後, 後覺者必效先覺之所爲, 乃可以明善而.. 2024. 1.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