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집주(論語集注) 헌문(憲問) 14-22] 임금을 시해한 역적은 누구나 토벌할 수 있다
陳成子弑簡公.(진성자시간공)진성자가(陳成子) 간공을 시해했다(弑簡公). 成子, 齊大夫, 名恆. 簡公, 齊君, 名壬. 事在『春秋』哀公十四年.성자는(成子), 제나라 대부로(齊大夫), 이름은 항이다(名恆). 간공은(簡公), 제날 군주로(齊君), 이름은 임이다(名壬). 일이(事) 춘추 애공 14년에 있다(在『春秋』哀公十四年). 孔子沐浴而朝, 告於哀公曰:(공자목욕이조 고어애공왈) “陳恆弑其君, 請討之.”(진항시기군 청토지)공자가(孔子) 목욕하고(沐浴而) 조정에 가서(朝), 애공에게 일러 말하길(告於哀公曰): “진항이(陳恆) 그 임금을 시해했으니(弑其君), 그를 토벌하기를 청합니다(請討之).”라고 했다. ○ 是時孔子致仕居魯, 沐浴齊戒以告君, 重其事而不敢忽也. 臣弑其君, 人倫之大變, 天理所不容, 人人得而誅之, 況鄰..
2024. 9. 25.
[논어집주(論語集注) 헌문(憲問) 14-20] 무도한 위령공이 나라를 잃지 않은 까닭
子言衛靈公之無道也,(자위위령공지무도야) 康子曰: “夫如是, 奚而不喪?”(계강자왈 부여시 해위불상)선생님이(子) 위령공이 무도하다고(衛靈公之無道) 말하자(言也), 계강자가 말하길(康子曰): “무릇 이와 같다면(夫如是), 어찌(奚而) 지위를 잃지 않는가요(不喪)?”라고 했다. ○ 喪, 失位也. ○ 상은(喪), 지위를 잃는 것이다(失位也). 孔子曰: “仲叔圉治賓客, 祝鮀治宗廟, 王孫賈治軍旅.(중숙어치빈객 축타치종묘 왕손가치군려) 夫如是, 奚其喪?”(부여시 해기상) 孔子曰: “중숙어가(仲叔圉) 빈객을 담당하고(治賓客), 축타가 종묘를 담당하고(祝鮀治宗廟), 왕손가가 군대를 담당합니다(王孫賈治軍旅). 무릇 이와 같다면(夫如是), 어찌(奚) 그가 잃을까요(其喪)?” 仲叔圉, 卽孔文子也. 三人皆衛臣, 雖未必賢, 而..
2024. 9. 24.
[논어집주(論語集注) 헌문(憲問) 14-18] 피발좌임(被髮左衽) / 오랑캐로부터 문명을 지킨 관중의 공로
子貢曰: “管仲非仁者與?(자공왈 관중비인자여) 桓公殺公子糾, 不能死, 又相之.”(환공살공자규 불능사 우상지)자공이 말하길(子貢曰): “관중은(管仲) 인하지 않은 사람인가요(非仁者與)? 환공이(桓公) 공자 규를 죽였는데(殺公子糾), 죽지 않고(不能死), 또(又) 그를 도왔습니다(相之).”라고 했다. ○ 子貢意不死猶可, 相之則已甚矣. ○ 자공은(子貢) 죽지 않은 것은(不死) 오히려 괜찮지만(猶可), 그를 도왔다면(相之則) 이미 심한 것이라고(已甚) 생각했다(意矣). 子曰: “管仲相桓公, 霸諸侯, 一匡天下, 民到于今受其賜.(관중상환공 패제후 일광천하 민도우금수기사) 子曰: “관중이(管仲) 환공을 도와(相桓公), 제후의 우두머리가 되거(霸諸侯), 한 번(一) 천하를 바로잡도록 해서(匡天下), 백성이(民) 지금까..
2024. 9. 24.
[논어집주(論語集注) 헌문(憲問) 14-17] 규합제후(九合諸侯) / 관중에게 인의 공로가 있다
子路曰: “桓公殺公子糾, 召忽死之, 管仲不死.”(자로왈 환공살공자규 소홀사지 관중불사) 曰: “未仁乎.”(미인호)자로가 말하길(子路曰): “환공이(桓公) 공자 규를(公子糾) 죽이자(殺), 소홀도(召忽) 그를 위해 죽었는데(死之), 관중은 죽지 않았습니다(管仲不死).” 말하길(曰): “인하지 않은 것인가요(未仁乎).”라고 했다. ○ 按『春秋傳』, 齊襄公無道, 鮑叔牙奉公子小白奔莒. 及無知弑襄公, 管夷吾ㆍ召忽奉公子糾奔魯. 魯人納之, 未克, 而小白入, 是爲桓公. 使魯殺子糾而請管ㆍ召, 召忽死之, 管仲請囚. 鮑叔牙言於桓公以爲相. 子路疑管仲忘君事讐, 忍心害理, 不得爲仁也. ○춘추전을 살펴보면(按『春秋傳』), 제 양공에게(齊襄公) 도가 없었고(無道), 포숙아가(鮑叔牙) 공자 소백을 받들고(奉公子小白) 려 나라로 도망쳤..
2024. 9. 24.
[논어집주(論語集注) 헌문(憲問) 14-16] 휼이부정(譎而不正) / 진문공과 제환공에 대한 공자의 평가
子曰: “晉文公譎而不正, 齊桓公正而不譎.”(진문공휼이부정 제환공정이불휼) 子曰: “진 문공은(晉文公) 속이고(譎而) 바르지 않았지만(不正), 제 환공은(齊桓) 공정하고(公正而) 속이지 않았다(不譎).” ○ 晉文公, 名重耳. 齊桓公, 名小白. 譎, 詭也. 二公皆諸侯盟主, 攘夷狄以尊周室者也. 雖其以力假仁, 心皆不正, 然桓公伐楚, 仗義執言, 不由詭道, 猶爲彼善於此. 文公則伐衛以致楚, 而陰謀以取勝, 其譎甚矣. 二君他事亦多類此, 故夫子言此以發其隱.○ 진 문공은(晉文公), 이름이 중이다(名重耳). 제 환공은(齊桓公), 이름이 소백이다(名小白). 휼은(譎), 속이는 것이다(詭也). 두 공이(二公) 모두(皆) 제후의 맹주가 되어(諸侯盟主), 오랑캐를 물리치고(攘夷狄以) 주 왕실을 높인 사람이다(尊周室者也). 비록(雖..
2024. 9. 24.
[논어집주(論語集注) 헌문(憲問) 14-15] 후계를 세우려고 임금을 위협한 장무중
子曰: “臧武仲以防求爲後於魯, 雖曰不要君, 吾不信也.”(장무중이방구위후어노 수왈불요군 오불신야) 子曰: “장무중이(臧武仲) 방 땅으로(以防) 노나라에서(於魯) 후계를 세워주기를 요구했는데(求爲後), 비록(雖) 임금을 위협하지 않았다고 말하지만(曰不要君), 나는(吾) 믿지 않는다(不信也).” ○ 防, 地名, 武仲所封邑也. 要, 有挾而求也. 武仲得罪奔邾, 自邾如防, 使請立後而避邑. 以示若不得請, 則將據邑以叛, 是要君也. ○ 방은(防), 지명이고(地名), 장무중이(武仲) 봉해진(所封) 읍이다(邑也). 요는(要), 끼고서 요구하는 것이 있음이다(有挾而求也). 장무중이(武仲) 죄를 지어(得罪) 주나라로 도망갔는데(奔邾), 주나라로부터(自邾) 방읍으로 가서(如防), 후계를 세우고(立後而) 방읍을 피하도록(避邑) ..
2024. 9. 24.
[논어집주(論語集注) 헌문(憲問) 14-14] 불언불소불취(不言不笑不取) / 떠들고 웃고 취하지 않는 공숙문자
子問公叔文子於公明賈曰:(자문공숙문자어공명가왈) “信乎夫子不言, 不笑, 不取乎?”(신호부자불언 불소 불취호)선생님이(子) 공명가에게(於公明賈) 공숙문자를 묻기를(問公叔文子曰): “정말로(信乎) 부자가(夫子) 말하지 않고(不言), 웃지 않고(不笑), 취하지 않는가(不取乎)?”라고 했다. 公叔文子, 衛大夫公孫拔也. 公明姓, 賈名, 亦衛人. 文子爲人, 其詳不可知, 然必廉靜之士, 故當時以三者稱之.공숙문자는(公叔文子), 위나라 대부(衛大夫) 공손발이다(公孫拔也). 공명은 성이고(公明姓), 가는 이름이고(賈名), 또한 위나라 사람이다(亦衛人). 문자의 사람됨은(文子爲人), 그 자세한 것을(其詳) 알 수 없지만(不可知), 그러나(然) 반드시(必) 청렴하고 정숙한 선비였을 것이고(廉靜之士), 그러므로(故) 당시(當時) ..
2024. 9.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