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481

[효경주소(孝經注疏) 개종명의장(開宗明義章) (3/6)] 효는 덕의 근본으로 교화가 나오는 바탕이다 [부효덕지본야(夫孝 德之本也)] 子曰: "先王有至德要道, 以順天下, 民用和睦, 上下無怨. (선왕유지덕요도 이순천하 민용화목 상하무원) 선생님이 말씀하시길(子曰): "선대의 선왕에게는(先王) 지극한 덕과(至德) 중요한 도가 있어서(有要道, 以) 천하 따르므로(順天下), 백성이(民) 화목하게 되었고(用和睦), 위아래 사람에게(上下) 원망이 없었다(無怨). 【注】 孝者, 德之至·道之要也. 言先代聖德之主, 能順天下人心, 行此至要之化, 則上下臣人, 和睦無怨. 【注】 효란(孝者), 덕의 지극함과(德之至) 도의 요긴함이다(道之要也). 선대(先代) 성인의 덕을 가진 군주가(聖德之主), 천하 사람의 마음을(天下人心) 따를 수 있어서(能順), 이 지극하고 요긴한 교화를 시행했고(行此至要之化, 則) 상하의 신하와 백성이(上下臣人), 화목하게 되어(和睦) .. 2023. 12. 27.
[효경주소(孝經注疏) 개종명의장(開宗明義章) (2/6)] 증자가 공자를 모시고 앉아 있었다 [중니거 증자시(仲尼居 曾子侍)] 공자는 효의 구체적인 강령이 정립되지 않은 것을 안타깝게 여겼다. 증삼이 이미 효도로 명성을 얻고 있었기 때문에 증삼에게 가르침을 내리는 형식을 빌어 효의 강령을 나열해서 일러주었다. 仲尼居, (중니거) 중니(공자)가 한가로이 있을 때(仲尼居), 【注】 仲尼, 孔子字. 居, 謂閒居. 중니는(仲尼), 공자의 자다(孔子字). 거는(居), 한가로이 머무는 것을 말한다(謂閒居). 曾子侍, (증자시) 증자가 모시고 있었고(曾子侍), 【注】 曾子, 孔子弟子. 侍, 謂侍坐. 증자는(曾子), 공자 제자다(孔子弟子). 시는(侍), 모시고 앉아 있는 것을 말한다(謂侍坐). 【疏】仲尼居, 曾子侍. 正義曰: 夫子以六經設敎, 隨事表名. 雖道由孝生, 而孝綱未擧, 將欲開明其道, 垂之來裔. 以曾參之孝, 先有重名, 乃假因閒居, 爲之陳.. 2023. 12. 27.
[대학장구(大學章句) 전(傳) 3-3] 문채나는 군자를 잊을 수 없구나 [절차탁마(如切如磋 如琢如磨)] 이 시는 위나라 무공의 덕을 칭송한 것이다. 자르고 미는 것은 학문하는 모습을 말하고, 쪼고 가는 것은 수양하는 모습을 말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무공은 자르고 밀듯이 배움을 열심히 했고 쪼고 갈듯이 수양을 열심히 했고, 그 결과 조심하고 두려워하는 마음과 위엄 있는 거동을 하게 되었다. 백성들이 어찌 잊을 수 있겠는가? 詩云: “瞻彼淇澳, 菉竹猗猗. 有斐君子, 如切如磋, 如琢如磨. 瑟兮僩兮, 赫兮喧兮, 有斐君子, 終不可諠兮.” (시운 첨피기욱 녹죽의의 유비군자 여절여차 여탁여마 슬혜한혜 혁혜훤혜 유비군자 종불가훤혜) 詩云: “저 기수의 가장자리를(彼淇澳) 보니(瞻), 푸르 대나무(菉竹) 무성하구나(猗猗). 문채. 나는 군자여(有斐君子), 자르는 듯하고(如切) 미는 듯하고(如磋), 쪼는 듯하고(如琢) 가는.. 2023. 12. 26.
[효경주소(孝經注疏) 개종명의장(開宗明義章) (1/6)] 개종명의장은 근본을 드러내고 이치를 밝히는 장이다 【疏】正義曰: 開, 張也. 宗, 本也. 明, 顯也. 義, 理也. 言此章開張一經之宗本, 顯明五孝之義理, 故曰《開宗明義章》也. 【疏】正義曰: 개는(開), 드러내다는 뜻이다(張也). 종은(宗), 근본이다(本也). 명은(明), 밝힌다는 뜻이다(顯也). 의는(義), 이치다(理也). 이 장은(言此章) 한 경의 근본을 드러내고(開張一經之宗本), 다섯 효의 의리를 밝혔고(顯明五孝之義理), 그러므로(故) 개종명의장이라고 한다(曰《開宗明義章》也). 第, 次也. 一, 數之始也. 以此章揔標, 諸章以次結之, 故爲第一, 冠諸章之首焉. 제는(第), 순서다(次也). 일은(一), 수의 시작이다(數之始也). 이 장을(以此章) 총괄하여 드러내고(揔標), 모든 장을(諸章以) 차례대로 연결했고(次結之), 그러므로(故) 제일이 되고(爲第一),.. 2023. 12. 26.
[대학장구(大學章句) 전(傳) 3-2] 덕이 충만하고 빛나는 그 모습 문왕이여 [목목문왕 즙희경지(穆穆文王 緝熙敬止)] 늘 빛나고 경건한 상태에 머무는 문왕의 인격을 칭송하고 있다. 문왕은 임금이 되어서는 어진 마음을 실천했고, 남의 신하가 되어서는 경건한 마음을 다했고, 남의 아들이 되어서는 효를 다했고, 남의 아비가 되어서는 자애로운 마음을 가졌고, 남과 사귈 때는 믿음을 계속 유지했다. 詩云: “穆穆文王, 於, 緝熙敬止!” (목목문왕 오즙희경지) 시에서 이르길(詩云): “ 충만하고 그윽하신(穆穆) 문왕이여(文王), 아(於), 계속 밝게 빛나며(緝熙) 경건하게 머무시는구나(敬止)!”라고 했다. 詩「文王」之篇. 穆穆深遠之意, 於歎美辭, 緝繼續也, 熙光明也, 敬止言其無不敬而安所止也. 시는(詩) 문왕 편이다(「文王」之篇). 목목은(穆穆) 깊고 원대하다는 뜻이고(深遠之意), 어는(於) 감탄하고 찬미하는 말이고(歎美辭), 즙은.. 2023. 12. 25.
[대학장구(大學章句) 전(傳) 3-1] 사람이 살 곳은 문물이 정비된 곳이다 [방기천리(邦畿千里)] 시경을 인용해서 '지어지선止於至善'을 설명하는 전문傳文이다. 경기 지역은 천자의 통치가 직접 미치는 곳이고 예악문물이 정비되고 문화가 융성한 곳이다. 새는 화살이 미치지 못하는 수목이 빽빽한 곳에 사는 것이 당연하고 사람은 지선한 이상사회를 만들어 거기에 살아야 하는 것이다. 새도 자기 머물 곳을 아는데 사람이 머물 곳을 몰라서야 되겠는가? 이것을 문명과 야만을 나누는 경계라는 일반론으로 볼 수 도 있지만 중국인 특유의 한족과 오랑캐를 나누는 화이관(華夷觀)의 싹으로 볼 수도 있을 것이다. 詩云: “邦畿千里, 惟民所止.” (시운 방기천리 유민소지) 시에서 이르길(詩云): “나라의 수도 주변은(邦畿) 천 리이고(千里), 오직(惟) 백성이 머물 곳이다(民所止).”라고 했다. * 邦畿(방기): '임금이 사는 .. 2023. 12. 25.
[효경주소(孝經注疏) 어제서병주(御製序并注) (9-10)] 공자가 경을 말한 것은 후세에 교훈을 주기 위해서다 [지취수훈(志取垂訓) 且夫子談經, 志取垂訓. (차부자담경 지취수훈) 또한(且) 공자가(夫子) 경문을 말한 것은(談經), 뜻이(志) 교훈을 내리려는 것이다(取垂訓). 【疏】正義曰: 自此至序末為第五段, 言夫子之經, 言約意深, 注繁文不能具載, 仍作《疏義》以廣其旨也. 且夫子所談之經, 其志但取垂訓後代而已. 【疏】正義曰: 여기서부터(自此) 서의 마지막까지(至序末) 다섯 번째 단락이 되고(為第五段), 공자의 경은(言夫子之經), 말이 간략하고(言約) 뜻이 깊어서(意深), 주석의 번잡한 글로(注繁文) 모두 갖추어 적을 수 없고(不能具載), 이에(仍) 소의를 지어(作《疏義》以) 그 뜻을 넓혔다(廣其旨也). 또(且) 부자가 경을 말한 것이(夫子所談之經), 그 뜻이(其志) 다만(但) 후대에 가르침을 내리는 데 있을 뿐이다(取垂訓後代而已). * 具.. 2023. 12. 22.
[대학장구(大學章句) 전(傳) 2] 진실로 날마다 새롭게 하라 [석신민(釋新民)] 湯之盤銘曰: “苟日新, 日日新, 又日新.” (탕지반명왈 구일신 일일신 우일신) 탕임금의(湯之) 반명에서 말하길(盤銘曰): “진실로(苟) 날마다 새롭게 하고(日新), 날로 날로 새롭게 하고(日日新), 또(又) 날로 새롭게 하라(日新).”라고 했다. 盤沐浴之盤也. 銘名其器以自警之辭也. 苟誠也. 湯以人之洗濯其心以去惡, 如沐浴其身以去垢, 故銘其盤. 言誠能一日, 有以滌其舊染之汚而自新, 則當因其已新者, 而日日新之, 又日新之, 不可略有間斷也. 반은(盤) 목욕하는 대야다(沐浴之盤也). 명은(銘) 그 기물에 이름을 붙여서(名其器以) 스스로(自) 경계하는 말이다(警之辭也). 구는(苟) 진실함이다(誠也). 탕임금은(湯) 사람이 그 마음을 씻어서(人之洗濯其心以) 악을 없애는 것을(以去惡), 그 몸을 씻어서 때를 없애는 것처럼.. 2023. 12. 22.
[효경주소(孝經注疏) 어제서병주(御製序并注) (9-9)] 주를 나누어 경에 섞었으니 장래에 도움이 있기를 바란다 在理或當, 何必求人? (재리혹당 하필구인) 이치가(理) 혹 마땅함이 있다면(在或當), 하필(何必) 사람에게 따질 것이 있는가(求人)? 【疏】正義曰: 言但在注釋之理允當, 不必譏非其人也. 求猶責也. 【疏】正義曰: 단지(但) 주석의 이치가(注釋之理) 적합한지에 있으니( 在允當), 반드시(必) 그럴만한 사람이 아니라고(非其人) 비난할 것이 없다는 말이다(言不譏也). 구는(求) 따지는 것과 같다(猶責也). * 允當(윤당): 진실(眞實)로 맞음. 이치(理致)에 적합(適合)함. 今故特六家之異同, 會五經之旨趣. 今故特六家之異同, 會五經之旨趣. 【疏】正義曰: 六家卽韋昭·王肅·虞飜·劉邵·劉炫·陸澄也, 言거此六家, 而又會合諸經之旨趣耳. 【疏】正義曰: 6가란(六家) 곧(卽) 위소, 왕숙, 우번, 유소, 유현, 육징이니(韋昭·.. 2023. 12. 21.
[효경주소(孝經注疏) 어제서병주(御製序并注) (9-7)] 위소와 왕숙은 선유의 영수가 된다 韋昭·王肅, 先儒之領袖; 虞飜·劉邵, 抑又次焉. (위소왕숙 선유지영수 우번유소 억우차언) 위소와 왕숙은(韋昭·王肅), 선유의 영수가 되고(先儒之領袖); 우번과 유소는(虞飜·劉邵), 또(抑又) 다음이 된다(次焉). 【疏】正義曰:自此至「有補將來」爲第四段, 序作注之意. 擧六家異同, 會五經旨趣. 敷暢經義, 望益將來也. 【疏】正義曰:여기서부터(自此) 유보장래까지가(至「有補將來」) 네 번째 단락이 되고(爲第四段), 주를 지은 뜻을 서술했다(序作注之意). 육가의 같고 다른 점을 모두 들고(擧六家異同), 오경의 가리키는 바를 모았다(會五經旨趣). 경의 뜻을 부연하고(敷暢經義), 장래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 것이다(望益將來也). * 擧六家異同 會五經旨趣: 이 단락의 후반부에 있는 말을 끌어 쓴 것으로, 六家는 韋昭‧王肅‧.. 2023. 12. 21.
[효경주소(孝經注疏) 어제서병주(御製序并注) (9-6)] 정묘한 뜻에는 두 가지가 없다 [정의무이(精義無二)] 且傳以通經爲義; 義以必當爲主. 또한(且) 전은(傳) 경에 통달하는 것을(以通經) 뜻으로 삼고(爲義); 뜻은(義以) 반드시(必) 합당한 것이 주가 된다(當爲主). 【疏】正義曰: 且者, 語辭. 傳者, 注解之別名. 博釋經意, 傳示後人, 則謂之傳. 注者, 著也. 約文敷暢, 使經義著明, 則謂之注. 作得自題, 不爲義例. 或曰: 前漢以前名傳, 後漢以來名注. 蓋亦不然, 何則? 馬融亦謂之傳, 知或說非也. 此言傳注解釋, 則以通暢經指爲義; 義之裁斷, 則以必然當理爲主也. 【疏】正義曰: 차란(且者), 어조사다(語辭). 전이란(傳者), 주해의(注解之) 다른 이름이다(別名). 경의 뜻을 널리 해석하고(博釋經意), 후인에게 전하여 보인 것을(傳示後人, 則) 전이라고 한다(謂之傳). 주란(注者), 드러낸 것이다(著也). 문장을 요약하.. 2023. 12. 20.
[효경주소(孝經注疏) 어제서병주(御製序并注) (9-5)] 성인의 위대한 도가 사라지고 작은 도만 이루어졌다 [도은소성(道隱小成)] 希升堂者, 必自開戶牖. 당에 오르기를 바라는 사람은(希升堂者), 반드시(必) 스스로(自) 지게문과 창문을 열었다(開戶牖). 【疏】正義曰: 希, 望也. 《論語》云: "子曰: '由也升堂矣, 未入於室'." 夫子言仲由升我堂矣, 未入於室耳. 今祖述《孝經》之人, 望升夫子之堂者, 旣不得其門而入, 必自擅開門戶牎牖矣. 言其妄爲穿鑿也. 【疏】正義曰: 희는(希), 바란다는 뜻이다(望也). 논어에 이르길(《論語》云): "자왈(子曰): '자로는(由也) 당에 올랐지만(升堂矣), 방에 들어가지 못했다(未入於室)'라고 했다고." 한다. 선생님이(夫子) 중유가(仲由) 나의 당에 올랐지만(升我堂矣), 아직 들어오지 못했을 뿐이라고(未入於室耳) 말했다(言). 지금(今) 효경을 조술한(祖述《孝經》之) 사람 중에(人), 부자의 당에 오르기를.. 2023. 12.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