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470

[논어집주(論語集注) 술이(述而) 7-4] 신신요요(申申夭夭) / 한가로울 때의 공자 子之燕居,(자지연거)선생님이(子之) 한가하게 계실 때(燕居), 燕居, 閒暇無事之時.연거는(燕居), 한가하고(閒暇) 일이 없는 때다(無事之時). 申申如也, 夭夭如也.(신신여야 요요여야)느긋하고(申申如也), 온화하셨다(夭夭如也). 楊氏曰: “申申, 其容舒也. 夭夭, 其色愉也.” 楊氏曰: “신신은(申申), 그 용모가(其容) 펴지는 것이다(舒也). 요요는(夭夭), 그 얼굴빛이(其色) 온화한 것이다(愉也).” ○ 程子曰: “此弟子善形容聖人處也, 爲申申字說不盡, 故更著夭夭字. 今人燕居之時, 不怠惰放肆, 必太嚴厲. 嚴厲時著此四字不得, 怠惰放肆時亦著此四字不得, 惟聖人便自有中和之氣.”○ 程子曰: “이것은(此) 제자가(弟子) 성인의 몸가짐을(容聖人處) 잘 나타낸 것이니(善形也), 신신이라는 글자로(爲申申字) 말을 다.. 2024. 7. 5.
[논어집주(論語集注) 술이(述而) 7-3] 덕지불수(德之不脩) / 이것이 나의 걱정이다 子曰: “德之不脩, 學之不講, 聞義不能徙, 不善不能改, 是吾憂也.”(덕지불수 학지불강 문의불능사 불선불능개 시오우야) 子曰: “덕을 닦지 않는 것(德之不脩), 배운 것을 강습하지 않는 것(學之不講), 의를 듣고도 옮겨가지 못하는 것(聞義不能徙), 불선을 고치지 못하는 것(不善不能改), 이것이(是) 내 걱정이다(吾憂也).” 尹氏曰: “德必脩而後成, 學必講而後明, 見善能徙, 改過不吝, 此四者日新之要也. 苟未能之, 聖人猶憂, 況學者乎?”尹氏曰: “덕은(德) 반드시(必) 닦이고 나서야 이루어지고(脩而後成), 배움은(學) 반드시(必) 강습하고 나서야 밝아지고(講而後明), 선을 보고 옮겨갈 수 있고(見善能徙), 잘못을 고치는 것이(改過) 인색하지 않은 것(不吝), 이 네 가지가(此四者) 일신의 요체다(日新之要也).. 2024. 7. 5.
[논어집주(論語集注) 술이(述而) 7-2] 묵이지지 학이불렴 회인불권(黙而識之 學而不厭 誨人不倦) / 공자의 인생 子曰: “黙而識之, 學而不厭,(자왈 묵이지지 학이불렴)선생님이 말하길(子曰): “묵묵히 기억하고(黙而識之), 배우면서 싫증 내지 않고(學而不厭), ○ 識, 記也. 黙識, 謂不言而存諸心也. 一說: 識, 知也, 不言而心解也. 前說近是. ○ 지는(識), 기억이다(記也). 묵지는(黙識), 말하지 않고(不言而) 마음에 보존하는 것을(存諸心) 말한다(謂也). 일설에(一說): 지는(識), 지혜이니(知也), 말하지 않아도(不言而) 마음이 이해했다(心解也)라고 한다. 앞 설이(前說) 옳은 것에 가깝다(近是). 誨人不倦, 何有於我哉?”(회인불권 하유어아재)남을 가르치는 것에(誨人) 게으르지 않았으니(不倦), 나에게(於我) 무슨 어려움이 있겠는가(何有哉)?”라고 했다. 何有於我, 言何者能有於我也. 三者已非聖人之極至, 而猶.. 2024. 7. 5.
[논어집주(論語集注) 술이(述而) 7-1] 술이부작(述而不作) / 나는 새로운 것을 짓지 않았다 子曰: “述而不作,(자왈 술이부작)선생님이 말하길(子曰): “진술하지만(述而) 창작하지 않고(不作), 述, 傳舊而已. 作, 則創始也. 故作非聖人不能, 而述則賢者可及.술은(述), 옛것을 전하는 것일 뿐이다(傳舊而已). 작은(作), 곧(則) 처음 시작하는 것이다(創始也). 그러므로(故) 짓는 것은(作) 성인이 아니면(非聖人) 할 수 없고(不能, 而) 술은(述則) 현자도 할 수 있다(賢者可及). 信而好古, 竊比於我老彭.”(신이호고 절비어아노팽)옛것을 믿고 좋아는 것을(信而好古), 슬며시(竊) 우리 노팽에게(於我老彭) 견주어 본다(比).”라고 했다. 竊比, 尊之之辭. 我, 親之之辭. 老彭, 商賢大夫, 見「大戴禮」, 蓋信古而傳述者也. 孔子刪『詩』『書』, 定『禮』『樂』, 贊『周易』, 脩『春秋』, 皆傳先王之舊, 而.. 2024. 7. 5.
[맹자집주(孟子集註) 등문공 상(滕文公 上) 5 묵자이지장(墨者夷之章)] 박장과 후장의 차이 / 매장의 시작 墨者夷之, 因徐辟而求見孟子.(묵자이지 인서벽이구견맹자)묵가의 문도인(墨者) 이지가(夷之), 서벽을 통하여(因徐辟而) 맹자를 만나기를 구했다(求見孟子). ○ 墨者, 治墨翟之道者. 夷, 姓; 之, 名. 徐辟, 孟子弟子. ○ 묵자는(墨者), 묵적의 도를 배운 사람이다(治墨翟之道者). 이는 성이고(夷, 姓); 지는 이름이다(之, 名). 서벽은(徐辟), 맹자 제자다(孟子弟子). 孟子曰: “吾固願見, 今吾尙病, 病愈, 我且往見, 夷子不來!”(오고원견 금오상병 병유 아차왕견 이자불래)맹자가 말하길(孟子曰): “내가(吾) 진실로(固) 보기를 바랐지만(願見), 지금(今) 내가 병이 있으니(吾尙病), 병이 나으면(病愈), 내가(我) 장차(且) 가서 볼 것이므로(往見), 이자는 오지 말아라(夷子不來)!”라고 했다. 孟子稱.. 2024. 7. 4.
[맹자집주(孟子集註) 등문공 상(滕文公 上) 4-3 허행장(許行章)] 용하변이(用夏變夷) / 문명과 야만 吾聞用夏變夷者, 未聞變於夷者也.(오문용하변이자 미문변어이자야) 陳良, 楚産也. 悅周公, 仲尼之道, 北學於中國.(진양 열주공 중니지도 북학어중국) 北方之學者, 未能或之先也.(북방지학자 미능혹지선야) 彼所謂豪傑之士也.(피소위호걸지사야) 子之兄弟事之數十年, 師死而遂倍之.(자지형제사지수십년 사사이수배지)나는(吾) 중화(중국의 문화)를 써서(用夏) 오랑캐를 변화시켰다는 것을(變夷者) 들었지만(聞), 오랑캐에게 변화당했다는 것을(變於夷者) 듣지 못했다(未聞也). 진량은(陳良), 초나라 사람이다(楚産也). 주공과 중니의 도를 좋아해서(悅周公, 仲尼之道), 북으로 와서(北) 중국에서 배웠다(學於中國). 북방의 학자가(北方之學者), 누구도 그를 앞서지 못했다( 未能或之先也). 그 사람은(彼) 이른바(所謂) 호걸다운 선비.. 2024. 7. 3.
[맹자집주(孟子集註) 등문공 상(滕文公 上) 4-2 허행장(許行章)] 요순이 천하를 다스리는 데 어찌 마음 쓰지 않았겠는가? 當堯之時, 天下猶未平, 洪水橫流, 氾濫於天下.(당요지시 천하유미평 홍수횡류 범람어천하) 草木暢茂, 禽獸繁殖, 五穀不登, 禽獸偪人.(초목창무 금수번식 오곡부등 금수핍인) 獸蹄鳥跡之道, 交於中國.(수제조적지도 교어중국)요임금의 시대를 당해서(當堯之時), 천하가(天下) 아직(猶) 평평해지지 않았고(未平), 홍수가(洪水) 멋대로 흘러(橫流), 천하에 범람했다(氾濫於天下). 초목이 무성하게 자랐고(草木暢茂), 금수가 많이 불어나고(禽獸繁殖), 오곡이 자라지 못하고(五穀不登), 짐승이 사람을 핍박했다(禽獸偪人). 짐승의 굽과 새의 발자국의 흔적이(獸蹄鳥跡之道), 중국에 뒤섞여 있었다(交於中國).  * 橫流(횡류): 물 따위가 제 곬을 흐르지 아니하고 옆으로 꿰져 흐름. 물품(物品)을 정당(正當)한 경로(經路)를 밟.. 2024. 7. 1.
[맹자집주(孟子集註) 등문공 상(滕文公 上) 4-1 허행장(許行章)] 노동의 가치 有爲神農之言者許行, 自楚之滕, 踵門而告文公曰:(유위신농지언자허행 자초지등 종문이고문공왈) “遠方之人聞君行仁政, 願受一廛而爲氓.”(원방지인문군행인정 원수일전이위맹)신농의 말을 하는 사람이 있어(有爲神農之言者) 허행이라 하는데(許行), 초나라로부터 등나라로 와서(自楚之滕), 문을 밟고서(踵門而) 문공에서 말하길(告文公曰): “먼 지역 사람이(遠方之人) 임금께서 인정을 행한다는 것을 들었으니(聞君行仁政), 원컨대(願) 땅 한 자리를 받아(受一廛而) 백성이 되기를 원합니다(爲氓).”라고 했다. 神農, 炎帝神農氏. 始爲耒耜, 敎民稼穡者也. 爲其言者, 史遷所謂農家者流也. 許, 姓, 行, 名也. 踵門, 足至門也. 仁政, 上章所言井地之法也. 廛, 民所居也. 氓, 野人之稱.신농은(神農), 염제신농씨다(炎帝神農氏). 처음.. 2024. 6. 13.
[공자가어(孔子家語) 오의해(五儀解) 7-5] 모든 것은 사람에게 달렸다 13 哀公問於孔子曰: "夫國家之存亡禍福, 信有天命, 非唯人也?" 孔子對曰: "存亡禍福, 皆己而已; 天災地妖, 不能加也." 公曰: "善! 吾子言之, 豈有其事乎?" 孔子曰: "昔者殷王帝辛之世, 有雀生大鳥於城隅焉. 占之曰: '凡以小生大, 則國家必王而名益昌.' 於是帝辛介雀之德, 不脩國政, 亢㬥無極, 朝臣莫救, 外寇乃至, 殷國以亡. 此即以己逆天時, 詭福反爲禍者也. 又其先世殷王太戊之時, 道缺法圮, 以致妖蘖, 桑穀于朝, 七日大拱. 占之者曰: '桑穀, 野木而不合生朝, 意者國亡乎?' 大戊恐駭, 側身脩行, 思先王之政, 明養民之道. 三年之後, 遠方慕義, 重譯至者, 十有六國. 此即以己逆天時, 得禍爲福者. 故天災地妖所以儆人主者也; 寤夢徵怪所以儆人臣者也. 災妖不勝善政, 寤夢不勝善行. 能知此者, 至治之極. 唯明王達此." 公曰: ".. 2024. 6. 11.
[공자가어(孔子家語) 오의해(五儀解) 7-4] 대국과 소국, 군자와 도박 11 哀公問於孔子曰: "寡人欲吾國小而能守, 大則攻, 其道如何?" 孔子對曰: "使君朝廷有禮, 上下和親, 天下百姓皆君之民, 將誰攻之?苟違此道, 民畔如歸, 皆君之讎也, 將與誰其守?" 公曰: "善哉!" 於是廢山澤之禁, 弛關市之稅, 以惠百姓.  11 애공이(哀公) 공자에게 묻기를(問於孔子曰): "과인은(寡人) 우리나라가 작지만(吾國小而) 잘 지키고 싶은데(欲能守), 큰 나라가 공격한다면(大則攻), 그 방법이(其道) 무엇인가요(如何)?"라고 했다. 공자가 대답하길(孔子對曰): "만약(使) 임금의 조정에(君朝廷) 예가 있어서(有禮), 상하가 화친하면(上下和親), 천하의 백성이(天下百姓) 모두(皆) 임금의 백성이니(君之民), 장차(將) 누가 공격할까요(誰攻之)? 만약(苟) 이 도를 어긴다면(違此道), 백성이 배반하고(.. 2024. 6. 11.
[맹자집주(孟子集註) 등문공 상(滕文公 上) 3-3 문위국장(정지장)[問爲國章(井地章)]] 인정은 경계를 바르게 하는 것을 시작으로 삼는다 使畢戰問井地.(사필전문정지)필전으로 하여금(使畢戰) 정전에 대해 묻도록 했다(問井地). 畢戰, 滕臣. 文公因孟子之言, 而使畢戰主爲井地之事, 故又使之來問其詳也. 井地, 卽井田也.필전은(畢戰), 등나라 신하다(滕臣). 문공이(文公) 맹자의 말 때문에(因孟子之言, 而) 필전으로 하여금(使畢戰) 정전의 일을 맡도록 했고(主爲井地之事), 그러므로(故) 또(又) 그로 하여금(使之) 가서 그 상세한 것을 묻도록 했다(來問其詳也). 정지는(井地), 곧 정전이다(卽井田也). 孟子曰: “子之君將行仁政, 選擇而使子, 子必勉之!(자지군장행인정 선택이사자 자필면지) 夫仁政, 必自經界始.(부인정 필자경계시) 經界不正, 井地不鈞, 穀祿不平.(경계부정 정지불균 곡록불평) 是故暴君汙吏必慢其經界.(시고폭군오리필만기경계) 經界旣正, 分.. 2024. 6. 11.
[맹자집주(孟子集註) 등문공 상(滕文公 上) 3-2 문위국장(정지장)[問爲國章(井地章)]] 기명유신(其命維新) / 삼대의 조세제도와 교육제도 夏后氏五十而貢, 殷人七十而助, 周人百畝而徹, 其實皆什一也.(하후씨오십이공 은인칠십이조 주인백무이철 기실개십일야) 徹者, 徹也; 助者, 藉也.(철자 철야 조자 자야)하후씨는(夏后氏) 50 무에 공법을 썼고(五十而貢), 은나라는(殷人) 70리에 조법을 썼고(七十而助), 주나라는(周人) 100리에 철법을 썼으니(百畝而徹), 그 실제는(其實) 모두(皆) 10분의 1이다(什一也). 철이란(徹者), 통하는 것이고(徹也); 조란(助者), 빌리는 것입니다(藉也).○ 此以下, 乃言制民常産, 與其取之之制也. 夏時一夫授田五十畝, 而每夫計其五畝之入以爲貢. 商人始爲井田之制, 以六百三十畝之地, 畫爲九區, 區七十畝. 中爲公田, 其外八家各授一區, 但借其力以助耕公田, 而不復稅其私田. 周時一夫授田百畝. 鄕遂用貢法, 十夫有溝; 都鄙用助法.. 2024. 6.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