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473

[공자가어(孔子家語) 오의해(五儀解) 7-1] 인유오의(人有五儀) / 사람에게는 다섯 등급이 있다 1 哀公問於孔子曰: "寡人欲論(윤)魯國之士, 與之爲治, 敢問如何取之?" 孔子對曰: "生今之世, 志古之道; 居今之俗, 服古之服. 舍此而爲非者, 不亦鮮乎?"  1 애공이(哀公) 공자에게 묻기를(問於孔子曰): "과인이(寡人) 노나라의 선비를 뽑아서(欲論魯國之士), 그들과 함께(與之) 정치하려고 하는데(爲治), 어찌 얻을 수 있는지를(如何取之) 감히(敢問) 묻습니다?"라고 했다. 공자가 대답하길(孔子對曰): "지금 세상에(今之世) 태어나서(生), 옛날의 도에(古之道) 뜻을 두고(志) ; 지금 풍속에 머물면서(居今之俗), 옛날 옷을 입는다면(服古之服), 이것을 버리고(舍此而) 잘못되었다고 할 사람은(爲非者), 또한 드물지 않습니까(不亦鮮乎)?"라고 했다.  2 曰: "然則章甫絇履, 紳帶搢笏者, 賢人也." 孔子曰.. 2024. 6. 5.
[논어집주(論語集注) 옹야(雍也) 6-24] 가사야불가망야(可斯也不可罔也) / 사리에 맞지 않는 말로 속일 수는 없다 宰我問曰:(재아문왈) “仁者, 雖告之曰: ‘井有仁(人)焉.’ 其從之也?”(인자 수고지왈 정유인언 기종지야)재아가 묻기를(宰我問曰): “인한 사람이라면(仁者), 비록(雖) 그에게 일러 말하길(告之曰): ‘우물에(井) 사람이 있다(有仁(人)焉).’라고 하면 그가(其) 따라 들어갈까요(從之也)?”라고 했다. 劉聘君曰,“有仁之仁當作人”, 今從之. 從, 謂隨之於井而救之也. 宰我信道不篤, 而憂爲仁之陷害, 故有此問. 劉聘君曰,“유인지의(有仁之) 인은(仁) 마땅히 인으로 써야 한다(當作人)”라고 했고, 지금 그것을 따른다(今從之). 종은(從), 우물로(於井) 그것을 따라가서(隨之而) 구하는 것을(救之) 말한다(謂也). 재아가(宰我) 도를 믿는 것이(信道) 돈독하지 못해서(不篤, 而) 인을 행한 것이(爲仁之) 해로움을 .. 2024. 6. 5.
[논어집주(論語集注) 옹야(雍也) 6-23] 고불고(觚不觚) / 이름만 그대로 쓰고 있구나 子曰: “觚不觚, 觚哉! 觚哉!”(고불고 고재 고재)子曰: “각진 술잔이(觚) 모나지 않으니(不觚), 고인가(觚哉)! 고인가(觚哉)!” * 觚(고)는 옛날 예식 때에 쓰던 두 되들이 술그릇. ○ 觚, 棱也, 或曰酒器, 或曰木簡, 皆器之有棱者也. 不觚者, 蓋當時失其制而不爲棱也. 觚哉觚哉, 言不得爲觚也. ○ 고는(觚), 모서리이고(棱也), 누군가는(或) 제기라고 하고(曰酒器), 누군가는(或) 목간이라고 하는데(曰木簡), 모두(皆) 기물에(器之) 모서리가 있는 것이다(有棱者也). 모서리가 없는 것은(不觚者), 대체로(蓋) 당시(當時) 그 제도를 잃고(失其制而) 모서리를 없앤 것이다(不爲棱也). 고재고재는(觚哉觚哉), 고가 될 수 없다는 말이다(言不得爲觚也). ○ 程子曰: “觚而失其形制, 則非觚也. 擧一器, 而.. 2024. 6. 5.
[공자가어(孔子家語) 문례(問禮) 6-2] 양생송사(養生送死) / 산 사람을 봉양하고 죽은 사람을 장례 치르다 2 言偃問曰: "夫子之極言禮也, 可得而聞乎?" 2 언언이(言偃) 묻기를(問曰): "선생님이(夫子之) 예를 지극하게 말씀하시는데(極言禮也), 들을 수 있을까요(可得而聞乎)?" 라고 했다. 孔子言: "我欲觀夏道, 是故之杞, 而不足徵, 吾得《夏時》焉; 我欲觀殷道, 是故之宋, 而不足徵也, 吾得《乾坤》焉. 《乾坤》之義, 《夏時》之等, 吾以此觀之. 夫禮初也, 始於飲食. 太古之時, 燔黍擘豚, 汙罇而抔飲, 蕢桴而土鼓, 猶可以致敬於鬼神. 及其死也, 升屋而號, 曰: '高!某復.' 然後飲腥苴熟, 形體則降, 魂氣則上, 是爲天望而地藏也. 공자가 말하길(孔子言): "나는(我) 하나라의 도를 보고 싶었고(欲觀夏道), 이 때문에(是故) 기에 갔는데(之杞, 而) 증명할 수 없었지만(不足徵), 내가(吾) 거기서 하시를 얻었고(得《夏時》.. 2024. 6. 5.
[논어집주(論語集注) 옹야(雍也) 6-22] 노일변 지어도(魯一變 至於道) / 노나라는 도에 가깝다 子曰: “齊一變, 至於魯;(제일변 지어노) 魯一變, 至於道.”(노일변 지어도) 子曰: “제나라가(齊) 한 번 변하면(一變), 노나라에 이르고(至於魯); 노나라가 한 번 변하면(魯一變), 도에 이른다(至於道).” 孔子之時, 齊俗急功利, 喜夸詐, 乃霸政之餘習. 魯則重禮敎, 崇信義, 猶有先王之遺風焉, 但人亡政息, 不能無廢墜爾. 道, 則先王之道也. 言二國之政俗有美惡, 故其變而之道有難易.공자 시대에(孔子之時), 제나라의 풍속이(齊俗) 공리를 우선으로 삼았고(急功利), 자랑하고 속이는 것을 좋아했으니(喜夸詐), 곧(乃) 패도정치의(霸政之) 남은 풍습이다(餘習). 노나라는(魯則) 예와 교를 중요하게 여겼고(重禮敎), 신의를 숭상했으므로(崇信義), 오히려(猶) 선왕의 남겨진 풍속이 있었지만(有先王之遺風焉), 다만(但.. 2024. 6. 4.
[논어집주(論語集注) 옹야(雍也) 6-21] 요산요수(樂山樂水) / 지혜로운 사람은 물을 즐기고 어진 사람은 산을 즐긴다 子曰: “知者樂水, 仁者樂山;(지자요수 인자요산) 知者動, 仁者靜;(지자동 인자정) 知者樂, 仁者壽.”(지자락 인자수) 子曰: “지혜로운 사람은(知者) 물을 즐기고(樂水), 어진 사람은(仁者) 산을 즐기고(樂山); 지혜로운 사람은(知者) 움직이고(動), 어진 사람은(仁者) 고요하고(靜); 지혜로운 사람은(知者) 즐기고 살며(樂), 어진 사람은(仁者) 오래 산다(壽).” ○ 樂, 喜好也. 知者達於事理而周流無滯, 有似於水, 故樂水; 仁者安於義理而厚重不遷, 有似於山, 故樂山. 動ㆍ靜以體言, 樂ㆍ壽以效言也. 動而不括故樂, 靜而有常故壽. ○ 락은(樂), 기뻐하고 좋아하는 것이다(喜好也). 지자는(知者) 사리에 통달해서(達於事理而) 두루 흘러(周流) 막힘이 없어서(無滯), 물과 비슷한 점이 있고(有似於水), 그러므.. 2024. 6. 4.
[논어집주(論語集注) 옹야(雍也) 6-20] 경이원지(敬而遠之) 선난후획(先難後獲) / 적당한 거리를 두어라 경이원지(敬而遠之)樊遲問知.(번지문지) 子曰: “務民之義, 敬鬼神而遠之, 可謂知矣.”(무민지의 경귀신이원지 가위지의)번지가(樊遲) 앎을 물었다(問知). 子曰: “사람의 의에 힘쓰고(務民之義), 귀신을 공경하되(敬鬼神而) 멀리하면(遠之), 앎이라고 할 수 있다(可謂知矣).” ○ 民, 亦人也. 專用力於人道之所宜, 而不惑於鬼神之不可知, 知者之事也.○ 민은(民), 또한 사람이다(亦人也). 사람의 도리가 마땅히 지켜야 할 것에(於人道之所宜) 온 힘을 집중하고(專用力, 而) 귀신처럼 알 수 없는 것에(於鬼神之不可知) 미혹되지 않는 것이(不惑), 지자의 일이다(知者之事也). 선난후획(先難後獲)問仁. 曰: “仁者先難而後獲, 可謂仁矣.”(문인 인자선난이후획 가위인의)인을 물었다(問仁). 말하길(曰): “인자는(仁者) .. 2024. 6. 4.
[공자가어(孔子家語) 문례(問禮) 6-1] 예변군신상하(禮辨君臣上下) / 예는 군신과 상하를 구별하는 것이다 1 哀公問於孔子曰: "大禮何如? 子之言禮, 何其尊?" 孔子對曰: "丘也鄙人, 不足以知大禮." 公曰: "吾子言焉." 孔子曰: "丘聞之: 民之所以生者·禮爲大. 非禮則無以節事天地之神; 非禮則無以辯君臣·上下·長幼之位焉; 非禮則無以別男女·父子·兄弟·婚姻·親族·疏數之交焉. 是故君子以此爲之尊敬, 然後以其所能, 敎順百姓, 不廢其會節. 旣有成事, 然後治其雕鏤文章黼黻, 以別尊卑上下之等. 其順之也, 而後言其喪祭之紀, 宗廟之序. 品其犧牲, 設其豕腊, 脩其歲時, 以敬祭祀, 別其親疏, 序其昭穆, 而後宗族會宴. 即安其居, 以綴恩義, 卑其宮室, 節其服御, 車不雕璣, 器不彫鏤, 食不二味, 心不淫志, 以與萬民同利. 古之明王, 行禮也如此." 公曰: "今之君子, 胡莫之行也?" 孔子對曰: "今之君子, 好利無厭, 淫行不倦, 荒怠慢游, 固民是盡.. 2024. 6. 4.
[논어집주(論語集注) 옹야(雍也) 6-19] 가이어상(可以語上) / 들을 수 있어야 말해줄 수 있다 子曰: “中人以上, 可以語上也;(중인이상 가이어상야) 中人以下, 不可以語上也.”(중인이하 불가이어상야) 子曰: “중인 이상이라면(中人以上), 위를 말해줄 수 있지만(可以語上也); 중인 이하는(中人以下), 위를 말해줄 수 없다(不可以語上也).” ○ 語, 告也. 言敎人者, 當隨其高下而告語之, 則其言易入而無躐等之弊也. ○ 어는(語), 일러줌이다(告也). 남을 가르치는 것은(敎人者), 마땅히(當) 그 고하를 따라서(隨其高下而) 말해준다면(告語之, 則) 그 말이(其言) 쉽게 들어가고(易入而) 엽등의 폐단이 없다는(無躐等之弊) 말이다(言也). ○ 張敬夫曰: “聖人之道, 精粗雖無二致, 但其施敎, 則必因其材而篤焉. 蓋中人以下之質, 驟而語之太高, 非惟不能以入, 且將妄意躐等, 而有不切於身之弊, 亦終於下而已矣. 故就其所及.. 2024. 6. 4.
[논어집주(論語集注) 옹야(雍也) 6-18] 불여락지(不如樂之) / 도를 즐기는 것이 최고다 子曰: “知之者不如好之者, 好之者不如樂之者.”(지지자불여호지자 호지자불여락지자) 子曰: “아는 것은(知之者) 좋아하는 것만 못하고(不如好之者), 좋아하는 것은(好之者) 즐기는 것만 못하다(不如樂之者).” ○ 尹氏曰: “知之者, 知有此道也. 好之者, 好而未得也. 樂之者, 有所得而樂之也.” ○ 尹氏曰: “아는 것은(知之者), 이 도가 있음을 아는 것이다(知有此道也). 좋아하는 것은(好之者), 좋아하지만(好而) 얻지 못한 것이다(未得也). 즐기는 것은(樂之者), 얻은 것이 있고(有所得而) 즐기는 것이다(樂之也).” ○ 張敬夫曰: “譬之五穀, 知者知其可食者也, 好者食而嗜之者也, 樂者嗜之而飽者也. 知而不能好, 則是知之未至也; 好之而未及於樂, 則是好之未至也. 此古之學者, 所以自强而不息者歟?”○ 張敬夫曰: “그것을.. 2024. 6. 3.
[논어집주(論語集注) 옹야(雍也) 6-17] 인지생야직(人之生也直) / 사람의 삶은 곧음이다 子曰: “人之生也直, 罔之生也幸而免.”(인지생야직 망지생야행이면)子曰: “사람의 삶은(人之生也) 곧음이고(直), 곧지 않은 삶은(罔之生也) 요행히(幸而) 면하는 것일 뿐이다(免).”  * 罔之生也(망지생야): 罔은 속이고 기만하는 것으로 直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본다. 망(罔)을 무(無)와 같은 의미로 ‘직(直)이 없이’의 뜻으로 보기도 한다. 程子曰: “生理本直. 罔, 不直也, 而亦生者, 幸而免爾.”程子曰: “삶의 이치는(生理) 곧음에 뿌리를 둔다(本直). 망은(罔), 곧지 않은 것이고(不直也, 而) 또한 사는 것은(亦生者), 요행히 면할 뿐이다(幸而免爾).” 2024. 6. 3.
[공자가어(孔子家語) 유행해(儒行解) 5-5] 조신욕덕(澡身浴德) / 유자가 행동하는 방식 (3) 15 儒有澡身浴德, 陳言而伏, 言而正之, 上不知也; 默而翹之, 又不爲急也; 不臨深而爲高, 不加少而爲多; 世治不輕, 世亂不沮; 同己不與, 異己不非; 其特立獨行有如此者. 15 유자에게는(儒) 몸을 씻고(有澡身) 덕을 닦고(浴德), 말하지만 숨어 있고(陳言而伏), 말해서 바르게 하지만(言而正之), 윗사람이 알지 못하고(上不知也); 조용히 들어 올리지만(默而翹之), 또(又) 급하지 하지 않고(不爲急也); 깊은데 임해서 높다고 여기지 않고(不臨深而爲高), 조금 더하고 많다고 여기지 않고(不加少而爲多); 세상이 다스려져도 가벼이 행동하지 않고(世治不輕), 세상이 어지러워도 꺾이지 않고(世亂不沮); 자기와 같아도 인정하지 않고(同己不與), 자기와 달라도 배척하지 않고(異己不非); 그 우뚝 서고 행하는 것에(其特立.. 2024. 5.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