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오서(五書) 읽기1297

[맹자집주(孟子集註) 양혜왕 상(梁惠王 上) 1] 맹자견양혜왕장(역유인의장)[孟子見梁惠王章(亦有仁義章)] / 하필 이익을 말씀하시는가? 孟子見梁惠王.(맹자현양혜왕) 맹자가(孟子) 양혜왕을 만났다(見梁惠王). 梁惠王, 魏侯罃也. 都大梁, 僭稱王, 溢曰惠. 『史記』: “惠王三十五年, 卑禮厚幣以招賢者, 而孟軻至梁.” 양혜왕은(梁惠王), 위나라 후 앵이다(魏侯罃也). 대량에 도읍하고(都大梁), 주제넘게 왕을 칭했고(僭稱王), 시호는 혜다(溢曰惠). 사기에(『史記』): “혜왕 25년에(惠王三十五年), 낮추는 예와 많은 예물로(卑禮厚幣以) 어진이를 초청한 일이 있어서(招賢者, 而) 맹가가 양나라에 이르렀다(孟軻至梁).”라고 했다. 王曰: “叟不遠千里而來, 亦將有以利吾國乎?”(수불원천리래 역장유이리오국호) 왕이 말하길(王曰): “어른께서(叟) 천리를 멀다 여기지 않고(不遠千里而) 왔으니(來), 또한(亦) 장차(將) 우리나라에 이로운 것이 있을까요(有.. 2024. 3. 9.
[소학집주(小學集註) 소학서제(小學書題)] 주희의 서문: 왜 소학을 지었는가? 古者小學, 敎人以灑掃應對進退之節, 愛親敬長隆師親友之道, 皆所以爲修身齊家治國平天下之本. 옛날(古者) 소학에서(小學), 물을 뿌려 쓸고 응대하며(灑掃應對) 나아가고 물러나는 예절과(進退之節), 부모를 사랑하고 어른을 공경하며(愛親敬長) 스승을 높이고 벗과 친하게 지내는 도로(以隆師親友之道) 사람을 가르쳤으니(敎人), 모두(皆) 수신, 제가, 치국, 평천하의 근본이 된다(所以爲修身齊家治國平天下之本). * 灑掃應對(쇄소응대): ‘물을 뿌려 쓸고 응대(應待)한다.’는 뜻으로, 집 안팎을 깨끗이 거두고 웃어른의 부름이나 물음에 응(應)하여 상대(相對)함을 이르는 말. [集解] 小學, 小子所入之學也. 三代盛時, 人生八歲, 皆入小學而受敎焉. 灑, 謂播水於地, 以浥塵, 掃, 謂運帚於地, 以去塵. 應, 謂唯諾, 對, 謂答.. 2024. 3. 9.
[중용장구(中庸章句) 17 순대효장(舜⼤孝章)] 순임금은 매우 효성스럽구나! 子曰: “舜其大孝也與!(순기대효야여) 德爲聖人, 尊爲天子, 富有四海之內, 宗廟饗之, 子孫保之.(덕위성인 존위천자 부유사해지내 종묘향지 자손보지) 子曰: “순임금은(舜) 아마도(其) 매우 효성스러웠을 것이다(大孝也與)! 덕으로는(德) 성인이 되고(爲聖人), 높은 벼슬로는(尊) 천자가 되고(爲天子), 부유함으로는(富) 천하를 가졌고(有四海之內), 종묘에서 그를 제사 지내고(宗廟饗之), 자손이 그것을 보존했다(子孫保之). 子孫, 謂虞思ㆍ陳胡公之屬. 자손은(子孫), 우사와(虞思) 진호공 같은 사람을(陳胡公之屬) 말한다(謂). 故大德必得其位, 必得其祿, 必得其名, 必得其壽.(고대덕필득기위 필득기록 필득기명 필득기수) 그러므로(故) 큰 덕은(大德) 반드시(必) 그 지위를 얻고(得其位), 반드시(必) 그 봉록을 얻고.. 2024. 3. 8.
[논어주소(論語注疏) 위정(爲政) 2-8] 부모의 안색을 살피고 따르는 것이 효도다 / 승순부모안색(承順父母顔色) 子夏問孝.(자하문효) 子曰: "色難(색난). 包曰: "色難者, 謂承順父母顔色乃爲難." 有事, 弟子服其勞; 有酒食, 先生饌,(유사 제자복기로 유주식 선생찬) 馬曰: "先生, 謂父兄. 饌, 飲食也." 曾是以爲孝乎?"(증시이위효호) 馬曰: "孔子喻子夏, 服勞、先食, 汝謂此爲孝乎?未孝也. 承順父母顔色, 乃爲孝也." 子夏問孝.(자하가 효를 물었다) 子曰: " 안색을 살피는 것이 어렵다(色難). 《包曰: "색난이란(色難者), 부모의 안색을 받들어 따르는 것이(承順父母顔色) 곧(乃) 어렵다는 말이다(謂爲難)."》 일이 있으면(有事), 자식들이 그 수고로운 일을 하고(弟子服其勞); 술과 음식이 있으면(有酒食), 부형이 먼저 먹는 것이(先生饌), 《馬曰: "선생은(先生), 부형을 말한다(謂父兄). 찬은(饌), 먹고 마시.. 2024. 3. 8.
[논어집주(論語集注) 위정(爲政) 2-8] 안색을 온화하게 하는 것이 효도의 시작이다 / 색난(色難) 子夏問孝.(자하문효) 子曰: “色難.(색난) 有事弟子服其勞, 有酒食, 先生饌, 曾是以爲孝乎?”(유사제자복기로 유주식 선생찬 증시이위효호) 자하가 효를 물었다(子夏問孝). 子曰: “얼굴색 어렵다(色難). 일이 있을 때(有事) 자식이(弟子) 그 수고로운 일을 하고(服其勞), 술과 식이 있으면(有酒食), 부형이 먹는 것을(先生饌), 일찍이(曾) 이것을(是以) 효라고 여겼느냐(爲孝乎)?”라고 했다. * 色難(색난): (부모를 대할 때) 안색을 (온화하게) 짓기가 어렵다. * 先生(선생): 원래 '연장자'라는 뜻인데 여기서는 부모를 가리킨다. * 曾是以爲孝乎(증시이위효호): 曾은 '어찌'라는 뜻이다. 是以는 강조 효과를 위하여 목적어 是를 의동사(意動詞) 以(이) 앞에 놓은 것이다. ○ 色難, 謂事親之際, 惟色爲.. 2024. 3. 7.
[중용장구(中庸章句) 귀신장(⻤神章) 16] 귀신의 덕됨이 성대하구나 / 귀신지위덕(鬼神之爲德) 子曰: “鬼神之爲德, 其盛矣乎!”(귀신지위덕 기성의호) 子曰: “귀신의 덕됨이(鬼神之爲德), 매우(其) 성대하구나(盛矣乎)!” 程子曰: “鬼神, 天地之功用, 而造化之迹也.” 張子曰: “鬼神者, 二氣之良能也.” 愚謂以二氣言, 則鬼者陰之靈也, 神者陽之靈也. 以一氣言, 則至而伸者爲神, 反而歸者爲鬼, 其實一物而已. 爲德, 猶言性情功效. 程子曰: “귀신은(鬼神), 천지의 쓰임이고(天地之功用, 而) 조화의 자취다(造化之迹也).” 張子曰: “귀신이란(鬼神者), 두 기운의 양능이다(二氣之良能也).”라고 했다. 내가 생각건대(愚謂) 두 기운으로 말하자면(以二氣言, 則) 귀란(鬼者) 음의 영이고(陰之靈也), 신이란(神者) 양의 영이다(陽之靈也). 한 기운으로 말하자면(以一氣言, 則) 이르러(至而) 펴지는 것은(伸者) 신이.. 2024. 3. 7.
[논어주소(論語注疏) 위정(爲政) 2-7] 효도는 반드시 공경함이 있어야 한다 / 불경하이별호(不敬 何以別乎) 子游問孝.(자유문효) 《孔曰: "子游, 弟子, 姓言名偃."》 子曰: "今之孝者, 是謂能養.(금지효자 시위능양) 至於犬馬, 皆能有養. 不敬, 何以別乎?"(지어견마 개능유양 불경 하이별호) 《包曰: "犬以守禦, 馬以代勞, 皆養人者. 一曰: '人之所養, 乃至於犬馬, 不敬則無以別." 《孟子》曰: '食而不愛, 豕畜之. 愛而不敬, 獸畜之.'"》 자유가 효를 물었다(子游問孝). 《孔曰: "자유는(子游), 제자로(弟子), 성은 언이고 이름이 언이다(姓言名偃)."》 子曰: "지금의 효자는(今之孝者), 단지(是) 봉양 잘하는 것을 말한다(謂能養). 개와 말에 이르러서도(至於犬馬), 모두(皆) 봉양하는 것이 있을 수 있다(能有養). 공경하지 않는다면(不敬), 무엇이 다르겠는가(何以別乎)?" 《包曰: "犬以守禦, 馬以代勞, .. 2024. 3. 7.
[논어집주(論語集注) 위정(爲政) 2-7] 잘 봉양하는 것이 효도의 끝은 아니다 / 금지효자 시위능양(今之孝者 是謂能養) 子游問孝.(자유문효) 子曰: “今之孝者, 是謂能養.(금지효자 시위능양) 至於犬馬, 皆能有養; 不敬, 何以別乎?”(지어견마 개능유양 불급 하이별호) 자유가 효를 물었다(子游問孝). 선생님이 말씀하시길(子曰): “지금의 효자는(今之孝者), 잘 봉양하는 것을 말한다(是謂能養). 개나 말에 이르러서도(至於犬馬), 모두(皆) 기르는 것이 있을 수 있으니(能有養); 공경하지 않는다면(不敬), 무엇이 다르겠는가(何以別乎)?”라고 했다. ○ 子游, 孔子弟子, 姓言, 名偃. 養, 謂飮食供奉也. 犬馬待人而食, 亦若養然. 言人畜犬馬, 皆能有以養之, 若能養其親而敬不至, 則與養犬馬者何異. 甚言不敬之罪, 所以深警之也. ○ 자유는(子游), 공자 제자로(孔子弟子), 성은 언이고(姓言), 이름이 언이다(名偃). 양은(養), 음식을 바.. 2024. 3. 7.
[맹자집주(孟子集註) 맹자서설(孟子序說)] 맹자라는 사람과 책에 대하여 1 史記列傳曰: "孟軻, 《趙氏曰: "孟子, 魯公族孟孫之後." 漢書注云: "字子車." 一說: "字子輿."》 騶人也, 《騶亦作鄒, 本邾國也.》 受業子思之門人. 《子思, 孔子之孫, 名伋. 索隱云: "王劭以人爲衍字." 而趙氏注及孔叢子等書亦皆云: "孟子親受業於子思." 未知是否?》 道既通, 《趙氏曰: "孟子通五經, 尤長於詩書." 程子曰: "孟子曰: '可以仕則仕, 可以止則止, 可以久則久, 可以速則速.' 『孔子聖之時者也.' 故知易者莫如孟子. 又曰: '王者之跡熄而詩亡, 詩亡然後春秋作.' 又曰: '春秋無義戰.' 又曰: '春秋天子之事』, 故知春秋者莫如孟子." 尹氏曰: "以此而言, 則趙氏謂孟子長於詩書而已, 豈知孟子者哉?" 》 游事齊宣王, 宣王不能用. 適梁, 梁惠王不果所言, 則見以爲迂遠而闊於事情. 《按史記: "梁惠王之三十五年.. 2024. 3. 6.
[중용장구(中庸章句) 행원자이장(⾏遠⾃邇章) 15] 멀리 가려면 가까운 곳에서 부터 시작해야 한다 / 등고자비(登高必卑) 君子之道, 辟如行遠必自邇, 辟如登高必自卑.(군자지도 비여행원필자이 비여등고필자비) 군자의 도는(君子之道), 비유하자면(辟) 멀리 가려면(行遠) 반드시(必) 가까운 곳부터 시작하는 것과 같고(如自邇), 비유하자면(辟) 높이 오르려면(登高) 반드시(必) 낮은 곳부터 시작하는 것과 같다(如自卑). 詩曰: “妻子好合, 如鼓瑟琴.(처자호합 여고슬금) 兄弟旣翕, 和樂且耽.(형제기흡 화락차탐) 宜爾室家, 樂爾妻帑.”(의이실가 락이처노) 시에 이르길(詩曰): “처자식이(妻子) 좋아하고 화합하는 것이(好合), 비파와 거문고 타는 것과 같다(如鼓瑟琴). 형제가 이미 화합하여(兄弟旣翕), 화락하고 기뻐하고(和樂) 또 즐기는구나(且耽). 너의 집안을 화목하게 하고(宜爾室家), 너의 처자식을 즐겁게 하는구나(樂爾妻帑).” 詩,.. 2024. 3.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