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88

[논어집주(論語集注) 공야장(公冶長) 5-17] 산절조절(山節藻梲) / 장문중의 지혜는 보잘것없다 子曰: “臧文仲居蔡,(장문중거채) 子曰: “장문중이(臧文仲) 큰 거북을 보관하고(居蔡), 臧文仲, 魯大夫臧孫氏, 名辰. 居, 猶藏也. 蔡, 大龜也.장문중은(臧文仲), 노나라 대부(魯大夫) 장손씨고(臧孫氏), 이름은 진이다(名辰). 거는(居), 보관함과 같다(猶藏也). 채는(蔡), 큰 거북이다(大龜也). 山節藻梲, 何如其知也?”(산절조절 하여기지야)두공을 산 모양으로 새기고(山節) 동자기둥에 물풀을 그려 넣었으니(藻梲), 그 지혜라는 게 어떠한가(何如其知也)?”라고 했다.○ 節, 柱頭斗栱也. 藻, 水草名. 梲, 梁上短柱也. 蓋爲藏龜之室, 而刻山於節, 畫藻於梲也. 當時以文仲爲知, 孔子言其不務民義, 而諂瀆鬼神如此, 安得爲知? 『春秋傳』所謂作虛器, 卽此事也. ○ 절은(節), 기둥머리의(柱頭) 두공이다(斗栱也).. 2024. 5. 15.
[맹자집주(孟子集註) 공손추 하(公孫丑 下) 5 치위신이거장(지와장)[致爲臣而去章(蚳鼃章)]] 부득기직즉거(不得其職則去) / 관직에서 떠나야 할 때는 孟子謂蚔䵷曰:(맹자위지와왈) “子之辭靈丘而請士師, 似也, 爲其可以言也.(자지사령구이청사사 사야 위기가이언야) 今旣數月矣, 未可以言與?”(금이수월의 미가이언여)맹자가(孟子) 지와에게 말하길(謂蚔䵷曰): “그대가(子之) 영구를 사양하고(辭靈丘而) 사사(재판관 우두머리)가 되기를 청한 것이(請士師), 그럴듯한 것은(似也), 그것이 말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爲其可以言也). 지금(今) 이미(旣) 몇 달이 되었는데(數月矣), 아직 말할 수 없습니까(未可以言與)?”라고 했다. ○ 蚔䵷, 齊大夫也. 靈丘, 齊下邑. 似也, 言所爲近似有理. 可以言, 謂士師近王, 得以諫刑罰之不中者. ○ 지와는( 蚔䵷), 제나라 대부다(齊大夫也). 영구는(靈丘), 제나라 하읍이다(齊下邑). 사야는(似也), 그럴듯한 것에(所爲近似) 이치에 가.. 2024. 5. 14.
[논어집주(論語集注) 공야장(公冶長) 5-16] 구이경지(久而敬之) / 오래 되어도 서로 공경하는 사이 子曰: “晏平仲善與人交, 久而敬之.”(안평중선여인교 구이경지) 子曰: “안평중은(晏平仲) 남과 사귀기를(與人交) 잘했으니(善), 오래되어도(久而) 공경했다(敬之).” 晏平仲, 齊大夫, 名嬰. 程子曰: “人交久則敬衰, 久而能敬, 所以爲善.” 안평중은(晏平仲), 제나라 대부로(齊大夫), 이름은 영이다(名嬰). 程子曰: “사람이 사귄 것이(人交) 오래되면(久則) 공경이 약해지지만(敬衰), 오래되어도(久而) 공경할 수 있으니(能敬), 훌륭함이 되는 까닭이다(所以爲善).” 2024. 5. 14.
[맹자집주(孟子集註) 공손추 하(公孫丑 下) 4 맹자지평륙장(공거심장)[孟子之平陸章(孔距心章)]] 구목여추(求牧與芻) / 백성을 위해 힘써야 한다 孟子之平陸.(맹자지평륙) 謂其大夫曰: “子之持戟之士, 一日而三失伍, 則去之否乎?”(위기대부왈 자지지극지사 일일이삼실오 즉거지불호) 曰: “不待三.”(왈부대삼)맹자가(孟子) 평륙에 갔다(之平陸). 그 대부에게 말하길(謂其大夫曰): “그대의(子之) 창을 잡은 군사가(持戟之士), 하루 만에(一日而) 세 번(三) 대오를 잃는다면(失伍, 則) 그를 죽이지 않겠는가(去之否乎)?”라고 했다.말하길(曰): “세 번을 기다리지 않습니다(不待三).”라고 했다. ○ 平陸, 齊下邑也. 大夫, 邑宰也. 戟, 有枝兵也. 士, 戰士也. 伍, 行列也. 去之, 殺之也. ○ 평륙은(平陸), 제나라 하읍이다(齊下邑也). 대부는(大夫), 읍재다(邑宰也). 극은(戟), 가지가 있는(有枝) 병기다(兵也). 사는(士), 전사다(戰士也). 오는(.. 2024. 5. 14.
[논어집주(論語集注) 공야장(公冶長) 5-15] 군자사도(君子四道) / 군자라면 마땅히 네 가지 도(道)를 가져야 한다 子謂子産, “有君子之道四焉:(자위자산 유군자지도사언) 其行己也恭, 其事上也敬, 其養民也惠, 其使民也義.”(기행기야공 기사상야경 기양민야혜 기사민야의)공자가(子) 자산을 평하기를(謂子産), “군자의 도에는(君子之道) 네 가지가 있으니(有四焉): 그 자신을 행하는 것이(其行己) 공손했고(也恭), 그 윗사람을 섬기는 것이(其事上也) 공경스러웠고(敬), 그 백성을 기르는 것이(其養民也) 은혜로웠고(惠), 그 백성을 부리는 것이(其使民也) 의로웠다(義).” 子産, 鄭大夫公孫僑. 恭, 謙遜也. 敬, 謹恪也. 惠, 愛利也. 使民義, 如都鄙有章, 上下有服, 田有封洫, 廬井有伍之類.자산은(子産), 정나라 대부(鄭大夫) 공손교다(公孫僑). 공은(恭), 겸손함이다(謙遜也). 경은(敬), 삼감이다(謹恪也). 혜는(惠), 사랑.. 2024. 5. 14.
[논어집주(論語集注) 공야장(公冶長) 5-14] 불치하문(不恥下問) / 배움에는 위 아래가 없다 子貢問曰: “孔文子何以謂之文也?”(자공문왈 공문자하위위지문야) 子曰: “敏而好學, 不恥下問, 是以謂之文也.”(자왈 민이호학 불치하문 시이위지문야)자공이 묻기를(子貢問曰): “공문자는(孔文子) 어째서(何以) 그를 문이라고 불렀습니까(謂之文也)?”라고 했다.선생님이 말하길(子曰): “명민하면서도(敏而) 배우기를 좋아했고(好學), 아랫사람에게 묻는 것을(下問) 부끄럽게 여기지 않았으니(不恥), 이 때문에(是以) 그를 문이라고 했다(謂之文也).”라고 했다. ○ 孔文子, 衛大夫, 名圉. 凡人性敏者多不好學, 位高者多恥下問. 故謚法有以“勤學好問” 爲文者, 蓋亦人所難也. 孔圉得謚爲文, 以此而已. ○ 공문자는(孔文子), 위나라 대부이고(衛大夫), 이름은 어다(名圉). 대개(凡) 인성이 명민한 사람은(人性敏者) 배우기를.. 2024. 5. 14.
[맹자집주(孟子集註) 공손추 하(公孫丑 下) 3 여유계심장(진진문장)[予有戒心章(陳臻問章)]] 시화지야(是貨之也) / 어찌 군자가 뇌물을 취할 수 있는가 陳臻問曰: “前日於齊, 王餽兼金一百而不受;(진진문왈 전일어제 왕궤겸금일백이불수) 於宋, 餽七十鎰而受;(어송 궤칠십일이수) 於薛, 餽五十鎰而受.(어설 궤오십일이수) 前日之不受是, 則今日之受非也;(전일지불수시 즉금일지수비야) 今日之受是, 則前日之不受非也.(금일지수시 즉전일지불수비야) 夫子必居一於此矣.”(부자필거일어차의)진진이 묻기를(陳臻問曰): “전에(前日) 제나라에서(於齊), 왕께서(王) 좋은 금 100일을 보냈는데(餽兼金一百而) 받지 않았고(不受); 송나라에서(於宋), 금 70일을 보냈는데(餽七十鎰而) 받았고(受); 설나라에서(於薛), 금 50일을 보냈는데(餽五十鎰而) 받았습니다(受). 전날에(前日之) 받지 않은 것이 옳다면(不受是, 則) 지금(今日之) 받은 것은 옳지 않고(受非也); 지금(今日之) 받은.. 2024. 5. 14.
[논어집주(論語集注) 공야장(公冶長) 5-13] 유공유문(唯恐有聞) / 자로는 실천하지 못하는 것을 걱정했다 子路有聞, 未之能行, 唯恐有聞.(자로유문 미지능행 유공유문)자로에게(子路) 들은 것이 있는데(有聞), 아직 잘 실천하지 못하면(未之能行), 오직(唯) 또 듣는 것이 있을까(有聞) 걱정했다(恐).  前所聞者旣未及行, 故恐復有所聞而行之不給也.전에(前) 들은 것이(所聞者) 이미 행함에 미치지 못했고(旣未及行), 그러므로(故) 다시(復) 듣는 것이 있어서(有所聞而) 실천이 따라가지 못할까(行之不給) 걱정했다(恐也). ○ 范氏曰: “子路聞善, 勇於必行, 門人自以爲弗及也, 故著之. 若子路, 可謂能用其勇矣.”○ 范氏曰: “자로가(子路) 선을 들으면(聞善), 반드시 행하는 것에(於必行) 용감했고(勇), 문인들이(門人) 스스로(自) 미치지 못한다고 여기고(以爲弗及也), 그러므로(故) 그것을 드러내어 (著之). 자로와 같.. 2024. 5. 14.
[논어집주(論語集注) 공야장(公冶長) 5-12] 성여천도(性與天道) / 성과 천도에 대해서는 들을 수 없었다 子貢曰: “夫子之文章, 可得而聞也;(부자지문장 가득문여야) 夫子之言性與天道, 不可得而聞也.”(부자지언성여천도 불가득이문야)자공이 말하길(子貢曰): “선생님의(夫子之) 문장은(文章), 들을 수 있었지만(可得而聞也); 선생님이(夫子之) 성과 천도를 말하는 것은(言性與天道), 들을 수 없었다(不可得而聞也).” 文章, 德之見乎外者, 威儀文辭皆是也. 性者, 人所受之天理; 天道者, 天理自然之本體, 其實一理也. 言夫子之文章, 日見乎外, 固學者所共聞; 至於性與天道, 則夫子罕言之, 而學者有不得聞者. 蓋聖門敎不躐等, 子貢至是始得聞之, 而歎其美也.문장은(文章), 덕이(德之) 바깥에 보이는 것이고(見乎外者), 엄숙한 태도와 문사가(威儀文辭) 모두 이것이다(皆是也). 성이란(性者), 사람이(人) 받은 것의(所受之) 천리이고(天.. 2024. 5. 14.
[맹자집주(孟子集註) 공손추 하(公孫丑 下) 2 맹자장조왕장(孟子將朝王章)] 천하달존삼(天下達尊三) / 큰 일을 하기에 덕만 한 것이 없다 孟子將朝王, 王使人來曰:(맹자장조왕 왕사인래왈) “寡人如就見者也, 有寒疾, 不可以風.(과인여취견자야 유한질 불가이풍) 朝將視朝, 不識可使寡人得見乎?”(조장시조 불식가사과인득견호)맹자가(孟子) 왕에게 조회하려고 했는데(將朝王), 왕이(王) 사람을 시켜(使人) 와서 말하길(來曰): “과인이(寡人) 마땅히(如) 나아가 봐야 할 사람인데(就見者也), 감기가 들어서(有寒疾), 바람을 쐴 수 없습니다(不可以風). 아침에(朝) 장차 조회를 보려는데(將視朝), 알지 못하겠지만(不識) 과인으로 하여금(可使寡人) 볼 수 있도록 해주시겠습니까(得見乎)?”라고 했다.  * 寡人如就見者也(과인여취견자야): 如는 當과 같다. 직역하면 '과인이 마땅히 나가 봐야 할 사람이다'라는 문장으로 '나아가 뵈어야 할 사람이 과인이다'란 뜻.. 2024. 5.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