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461

[소학집주(小學集註) 선행(善行) 실명륜(實明倫) 6-31] 정표문려(旌表門閭) - 독씨 두 자녀의 절개와 행실 唐奉天竇氏二女, 生長草野, 幼有志操.(당봉천독씨이녀 생장초야 유유지조) 永泰中群盜數千人, 剽掠其村落, 二女皆有容色, 長者年十九, 幼者年十六.(영태중군도수천인 표락기촌락 이녀개유용색 장자년십구 유자년십육) 匿巖穴間, 曳出之, 驅迫以前.(익엄혈간 예출지 구박이전) 臨壑谷深數百尺, 其姊先曰, 吾寧就死, 義不受辱.(임학곡심수백척 기매선왈 오녕취사 의불수욕) 卽投崖下而死, 盜方驚駭.(즉투애하이사 도방경해) 其妹繼之自投, 折足破面流血, 群盜乃捨之而去.(기매계지자투 절족파면유혈 군도내사지이거)당나라(唐) 봉천현에(奉天) 독씨의 두 딸은(竇氏二女), 초야에서 성장했지만(生長草野), 어려서(幼) 지조가 있었다(有志操). 영태 연간에(永泰中) 도적 무리(群盜) 수천 명이(數千人), 그 마을을 노략질했는데(剽掠其村落), 두.. 2024. 12. 30.
[소학집주(小學集註) 선행(善行) 실명륜(實明倫) 6-30] 사람이 동물과 다른 것은 인의가 있기 때문이다 唐鄭義宗妻, 盧氏略涉書史, 事舅姑, 甚得婦道.(당정의종처 노씨약섭서사 사고구 심득부도) 嘗夜有强盜數十, 持杖鼓噪, 踰垣而入.(상야유강도수십 지장고조 유원이입) 家人悉奔竄, 唯有姑自在室, 盧冒白刃, 往至姑側, 爲賊捶擊, 幾死.(가인수분찬 유유고자재실 노모백인 왕지고측 위적타격기사) 당나라(唐) 정의종의 아내(鄭義宗妻), 노씨는(盧氏) 경서와 사서를(書史) 두루 섭렵했고(略涉), 시부모를 모시는 것이(事舅姑), 부도에 매우 합당했다(甚得婦道). 일찍이(嘗) 밤에(夜) 강도 수십 명이 있어(有强盜數十), 몽둥이를 들고(持杖) 북 치고 고함지르며(鼓噪), 담을 넘어(踰垣而) 들어왔다(入). 집안사람들이(家人) 모두(悉) 도망가 숨었는데(奔竄), 오직(唯) 시어머니가(有姑) 그대로(自) 방안에 있었고(在室), 노.. 2024. 12. 30.
[소학집주(小學集註) 선행(善行) 실명륜(實明倫) 6-29] 절개와 의리를 지킨 영녀 曹爽從弟文叔妻, 譙郡夏侯文寧之女, 名令女.(조상종형문수처 수군하우문녕지녀 명영녀) 文叔蚤死, 服闋, 自以年少無子, 恐家必嫁己, 乃斷髮爲信.(문수조사 복결 자이년소무자 공가필가기 내단발위신) 其後家果欲嫁之, 令女聞, 卽復以刀截兩耳, 居止常依爽.(기후가과욕가지 영녀문 즉부이도절양이 거지상의상) 及爽被誅, 曹氏盡死, 令女叔父上書, 與曹氏絶婚, 彊迎令女歸.(급상피주 조시진사 영녀숙부상서 여조씨절혼 강영영녀귀)조상의(曹爽) 종형제(從弟) 문숙의 아내는(文叔妻), 수군(譙郡) 하후문녕의 딸로(夏侯文寧之女), 이름이 영녀다(名令女). 문숙이(文叔) 일찍 죽고(蚤死), 상이 끝나자(服闋), 스스로(自) 생각하기를(以) 나이가 어리고(年少) 자식이 없으므로(無子), 집안에서(家) 반드시(必) 자기를 시집보낼 것이라고(嫁.. 2024. 12. 30.
[소학집주(小學集註) 선행(善行) 실명륜(實明倫) 6-28] 포선의 아내 환씨 漢鮑宣妻桓氏, 字少君.(한포선처환씨 자소군) 宣嘗就少君父學. 父奇其淸苦, 故以女妻之.(선상취소군부학 부기기청고 고이녀처지) 裝送資賄甚盛, 宣不悅, 謂妻曰, 少君生富驕, 習美飾, 而吾實貧賤, 不敢當禮.(장송자재심성 선불열 위처왈 소군생부교 습미식 이오실비천 불감당례) 妻曰, 大人以先生修德守約, 故使賤妾侍執巾櫛.(대인이선생수덕수약 고사천첩시집건즐) 旣奉承君子, 惟命是從.(기봉승군자 유명시종) 宣笑曰, 能如是, 是吾志也.(선소왈 능여시 시오지야) 妻乃悉歸侍御服飾, 更著短布裳.(처내수귀시어복식 갱착단포상) 與宣共挽鹿車, 歸鄕里, 拜姑禮畢, 提甕出汲, 修行婦道. 鄕邦稱之.한나라(漢) 포선의 처(鮑宣妻) 환씨는(桓氏), 자가 소군이다(字少君). 포선이(宣) 일찍이(嘗) 소군의 아버지에게 가서(就少君父) 배웠다(學).. 2024. 12. 30.
[소학집주(小學集註) 선행(善行) 실명륜(實明倫) 6-27] 한나라의 진효부 漢陳孝婦年十六而嫁, 未有子.(한진효부년십육이가 미유자) 其夫當行戍, 且行時屬孝婦曰, 我生死未可知.(기부당행술 차행시촉효부왈 아생사미가지) 幸有老母, 無他兄弟備養.(행유노모 무타형제비양) 吾不還, 汝肯養吾母乎. (오불환 여긍양오모호) 婦應曰, 諾.(부응왈 낙)한나라의(漢) 진효부가(陳孝婦) 나이 16 살에(年十六而) 시집가서(嫁), 자식이 있지 않았다(未有子). 그 남편이(其夫) 변방 수비로 가야만 했고(當行戍), 또(且) 떠날 때(行時) 효부에게 부탁하며(屬孝婦) 말하길(曰), 내 삶과 죽음을(我生死) 아직 알 수 없다(未可知). 다행히(幸) 노모가 있지만(有老母). 다른 형제가(他兄弟) 봉양을 준비할 사람이(備養) 없다(無). 내가(吾) 돌아오지 않는다면(不還), 너는(汝) 기꺼이(肯) 내 어머니를 봉.. 2024. 12. 30.
[소학집주(小學集註) 선행(善行) 실명륜(實明倫) 6-26] 남이 알아주길 구하지 말아라 呂滎公自少官守處, 未嘗干人擧薦.(여영공자소관수처 미상간인거천) 其子舜從守官會稽, 人或譏其不求知者, 舜從對曰, 勤於職事, 其他不敢不愼.(기자순종수관회계 인혹기기불구지자 순종대왈 근어직사 기타불감불신) 乃所以求知也.(내소이구지야)여영공은(呂滎公) 젊어서부터(自少) 벼슬을 맡은 곳에서(官守處), 일찍이(未嘗) 남이 천거해 주기를 요구하지 않았다(干人擧薦). 그 아들(其子) 순종이(舜從) 회계에서 관직을 맡았는데(守官會稽), 누군가(人或) 그가(其) 알아주기를 구하지 않는 것을(不求知者) 기롱하자(譏), 순종이 대답하길(舜從對曰), 맡은 일에(於職事) 부지런하고(勤), 그 다른 것은(其他) 감히 신중히 하지 않음이 없다(不敢不愼). 이것이(乃) 알려지길 구하는 방법이다(所以求知也)라고 했다. [集解] 舜從, .. 2024. 12. 27.
[소학집주(小學集註) 선행(善行) 실명륜(實明倫) 6-25] 옛일을 고찰하고 백성을 사랑하라 伊川先生曰, 安定之門人, 往往知稽古愛民矣, 則於爲政也何有.이천 선생이 말하길(伊川先生曰), 안정의 문인이(安定之門人), 이따금(往往) 옛일을 고찰하고(稽古) 백성을 사랑할 줄 알았으니(知愛民矣), 곧(則) 정치하는 것에(於爲政也) 무슨 어려움이 있겠는가(何有). * 稽古(계고): 옛일을 상고(詳考)함.  [增註] 門人, 如劉彛錢藻孫覺范純仁錢公輔是也. 何有, 言不難也.[增註] 문인은(門人), 유이와 전조, 손각, 범순인, 손공보와 같은 사람이(如劉彛錢藻孫覺范純仁錢公輔) 이것이다(是也). 하유는(何有), 어렵지 않음을 말한 것이다(言不難也). 2024. 12. 27.
[소학집주(小學集註) 선행(善行) 실명륜(實明倫) 6-24] 삼가고 부지런하고 화합하고 서두르지 말아라 劉器之待制初登科, 與二同年, 謁張觀參政.(유기지대제초등과 여이동년 알장관참정) 三人同起身, 請敎, 張曰, 某自守官以來常持四字(삼인동기신 청교 장왈 모자수관이래상지사자), 勤謹和緩.(근근화완) 中間一後生應聲曰, 勤謹和旣聞命矣, 緩之一字某所未聞.(중간일후생응성왈 근근화이문명의 완지일자모소미문) 張正色作氣曰, 何嘗敎賢緩不及事.(장정색작기왈 하상교현완불급사) 且道世間甚事不因忙後錯了.(차도세간심사불인망후착료)대제 유기지가(劉器之待制) 처음(初) 과거에 급제해서(登科), 두 동년배와 함께(與二同年), 참지정사 장관을 만났다(謁張觀參政). 세 사람이(三人) 함께(同) 몸을 일으켜(起身), 가르침을 청하자(請敎), 장관이 말하길(張曰), 제가(某) 관직을 맡은 이래로(自守官以來) 늘(常) 네 글자를 지켰으니(持四字),.. 2024. 12. 27.
[소학집주(小學集註) 선행(善行) 실명륜(實明倫) 6-23] 가난하고 청렴한 것이 부유하고 탐욕스러운 것보다 낫다 崔玄暐母盧氏嘗誡玄暐曰, 吾見姨兄屯田郞中幸玄馭,(최현위모노씨상계현위왈 오견이형둔전랑중행현어) 曰, 兒子從宦者, 有人來云, 貧乏不能存.(왈 유자종환자 유인래운 빈핍불능존) 此是好消息, 若聞貲貨充足, 衣馬輕肥. 此惡消息. 吾嘗以爲確論. 최현위의 어머니(崔玄暐母) 노씨가(盧氏) 일찍이(嘗) 현위에게 경계하여 말하길(誡玄暐曰), 내가(吾) 이복형제인(姨兄) 둔전낭장(屯田郞中) 행현어를(幸玄馭) 만났는데(見), 말하길(曰), 우리 아이가(兒子) 벼슬에 종사하는 사람인데(從宦者), 누군가 와서 말하는 사람이 있어(有人來云), 가난과 궁핍으로(貧乏) 생활할 수 없다(不能存)고 했다. 이것은(此) 곧(是) 좋은 소식이지만(好消息), 만약(若) 재물이 풍족하고(貲貨充足), 옷과 말이(衣馬) 가볍고 살쪘다고(輕肥) 듣는다면.. 2024. 12. 27.
[소학집주(小學集註) 선행(善行) 실명륜(實明倫) 6-22] 이군행의 정직함 李君行先生名潛, 虔州人.(이군행선생명잠 건주인) 入京師, 至泗州, 留止, 其子弟請先往.(입경사 지사주 유지 기자제청선왕) 君行問其故, 曰, 科場近, 欲先至京師, 貫開封戶籍, 取應.(군행문기고 왈과장근 욕선지경사 관개봉호적 취응) 君行不許曰, 汝虔州人, 而貫開封戶籍, 欲求事君, 而先欺君, 可乎.(군행불허왈 여건주인 이관개봉호적 욕구사군 이선기군) 寧遲緩數年, 不可行也.(녕지완수년 불가행야)이군행 선생은(李君行先生) 이름이 잠이고(名潛), 건주 사람이다(虔州人). 서울에 들어갈 때(入京師), 사주에 이르러(至泗州), 머물렀는데(留止), 그 자제들이(其子弟) 먼저 가기를 청했다(請先往). 군행이(君行) 그 까닭을 묻자(問其故), 말하길(曰), 과거가 가까우니(科場近), 먼저 경사에 이르러서(欲先至京師), 개봉.. 2024. 12.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