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학집주(小學集註) 선행(善行) 실명륜(實明倫) 6-29] 절개와 의리를 지킨 영녀
曹爽從弟文叔妻, 譙郡夏侯文寧之女, 名令女.(조상종형문수처 수군하우문녕지녀 명영녀) 文叔蚤死, 服闋, 自以年少無子, 恐家必嫁己, 乃斷髮爲信.(문수조사 복결 자이년소무자 공가필가기 내단발위신) 其後家果欲嫁之, 令女聞, 卽復以刀截兩耳, 居止常依爽.(기후가과욕가지 영녀문 즉부이도절양이 거지상의상) 及爽被誅, 曹氏盡死, 令女叔父上書, 與曹氏絶婚, 彊迎令女歸.(급상피주 조시진사 영녀숙부상서 여조씨절혼 강영영녀귀)조상의(曹爽) 종형제(從弟) 문숙의 아내는(文叔妻), 수군(譙郡) 하후문녕의 딸로(夏侯文寧之女), 이름이 영녀다(名令女). 문숙이(文叔) 일찍 죽고(蚤死), 상이 끝나자(服闋), 스스로(自) 생각하기를(以) 나이가 어리고(年少) 자식이 없으므로(無子), 집안에서(家) 반드시(必) 자기를 시집보낼 것이라고(嫁..
2024. 12. 30.
[소학집주(小學集註) 선행(善行) 실명륜(實明倫) 6-28] 포선의 아내 환씨
漢鮑宣妻桓氏, 字少君.(한포선처환씨 자소군) 宣嘗就少君父學. 父奇其淸苦, 故以女妻之.(선상취소군부학 부기기청고 고이녀처지) 裝送資賄甚盛, 宣不悅, 謂妻曰, 少君生富驕, 習美飾, 而吾實貧賤, 不敢當禮.(장송자재심성 선불열 위처왈 소군생부교 습미식 이오실비천 불감당례) 妻曰, 大人以先生修德守約, 故使賤妾侍執巾櫛.(대인이선생수덕수약 고사천첩시집건즐) 旣奉承君子, 惟命是從.(기봉승군자 유명시종) 宣笑曰, 能如是, 是吾志也.(선소왈 능여시 시오지야) 妻乃悉歸侍御服飾, 更著短布裳.(처내수귀시어복식 갱착단포상) 與宣共挽鹿車, 歸鄕里, 拜姑禮畢, 提甕出汲, 修行婦道. 鄕邦稱之.한나라(漢) 포선의 처(鮑宣妻) 환씨는(桓氏), 자가 소군이다(字少君). 포선이(宣) 일찍이(嘗) 소군의 아버지에게 가서(就少君父) 배웠다(學)..
2024. 12. 30.
[소학집주(小學集註) 선행(善行) 실명륜(實明倫) 6-27] 한나라의 진효부
漢陳孝婦年十六而嫁, 未有子.(한진효부년십육이가 미유자) 其夫當行戍, 且行時屬孝婦曰, 我生死未可知.(기부당행술 차행시촉효부왈 아생사미가지) 幸有老母, 無他兄弟備養.(행유노모 무타형제비양) 吾不還, 汝肯養吾母乎. (오불환 여긍양오모호) 婦應曰, 諾.(부응왈 낙)한나라의(漢) 진효부가(陳孝婦) 나이 16 살에(年十六而) 시집가서(嫁), 자식이 있지 않았다(未有子). 그 남편이(其夫) 변방 수비로 가야만 했고(當行戍), 또(且) 떠날 때(行時) 효부에게 부탁하며(屬孝婦) 말하길(曰), 내 삶과 죽음을(我生死) 아직 알 수 없다(未可知). 다행히(幸) 노모가 있지만(有老母). 다른 형제가(他兄弟) 봉양을 준비할 사람이(備養) 없다(無). 내가(吾) 돌아오지 않는다면(不還), 너는(汝) 기꺼이(肯) 내 어머니를 봉..
2024. 12. 30.
[소학집주(小學集註) 선행(善行) 실명륜(實明倫) 6-26] 남이 알아주길 구하지 말아라
呂滎公自少官守處, 未嘗干人擧薦.(여영공자소관수처 미상간인거천) 其子舜從守官會稽, 人或譏其不求知者, 舜從對曰, 勤於職事, 其他不敢不愼.(기자순종수관회계 인혹기기불구지자 순종대왈 근어직사 기타불감불신) 乃所以求知也.(내소이구지야)여영공은(呂滎公) 젊어서부터(自少) 벼슬을 맡은 곳에서(官守處), 일찍이(未嘗) 남이 천거해 주기를 요구하지 않았다(干人擧薦). 그 아들(其子) 순종이(舜從) 회계에서 관직을 맡았는데(守官會稽), 누군가(人或) 그가(其) 알아주기를 구하지 않는 것을(不求知者) 기롱하자(譏), 순종이 대답하길(舜從對曰), 맡은 일에(於職事) 부지런하고(勤), 그 다른 것은(其他) 감히 신중히 하지 않음이 없다(不敢不愼). 이것이(乃) 알려지길 구하는 방법이다(所以求知也)라고 했다. [集解] 舜從, ..
2024. 12. 27.
[소학집주(小學集註) 선행(善行) 실명륜(實明倫) 6-25] 옛일을 고찰하고 백성을 사랑하라
伊川先生曰, 安定之門人, 往往知稽古愛民矣, 則於爲政也何有.이천 선생이 말하길(伊川先生曰), 안정의 문인이(安定之門人), 이따금(往往) 옛일을 고찰하고(稽古) 백성을 사랑할 줄 알았으니(知愛民矣), 곧(則) 정치하는 것에(於爲政也) 무슨 어려움이 있겠는가(何有). * 稽古(계고): 옛일을 상고(詳考)함. [增註] 門人, 如劉彛錢藻孫覺范純仁錢公輔是也. 何有, 言不難也.[增註] 문인은(門人), 유이와 전조, 손각, 범순인, 손공보와 같은 사람이(如劉彛錢藻孫覺范純仁錢公輔) 이것이다(是也). 하유는(何有), 어렵지 않음을 말한 것이다(言不難也).
2024. 12. 27.
[소학집주(小學集註) 선행(善行) 실명륜(實明倫) 6-24] 삼가고 부지런하고 화합하고 서두르지 말아라
劉器之待制初登科, 與二同年, 謁張觀參政.(유기지대제초등과 여이동년 알장관참정) 三人同起身, 請敎, 張曰, 某自守官以來常持四字(삼인동기신 청교 장왈 모자수관이래상지사자), 勤謹和緩.(근근화완) 中間一後生應聲曰, 勤謹和旣聞命矣, 緩之一字某所未聞.(중간일후생응성왈 근근화이문명의 완지일자모소미문) 張正色作氣曰, 何嘗敎賢緩不及事.(장정색작기왈 하상교현완불급사) 且道世間甚事不因忙後錯了.(차도세간심사불인망후착료)대제 유기지가(劉器之待制) 처음(初) 과거에 급제해서(登科), 두 동년배와 함께(與二同年), 참지정사 장관을 만났다(謁張觀參政). 세 사람이(三人) 함께(同) 몸을 일으켜(起身), 가르침을 청하자(請敎), 장관이 말하길(張曰), 제가(某) 관직을 맡은 이래로(自守官以來) 늘(常) 네 글자를 지켰으니(持四字),..
2024. 12. 27.
[소학집주(小學集註) 선행(善行) 실명륜(實明倫) 6-23] 가난하고 청렴한 것이 부유하고 탐욕스러운 것보다 낫다
崔玄暐母盧氏嘗誡玄暐曰, 吾見姨兄屯田郞中幸玄馭,(최현위모노씨상계현위왈 오견이형둔전랑중행현어) 曰, 兒子從宦者, 有人來云, 貧乏不能存.(왈 유자종환자 유인래운 빈핍불능존) 此是好消息, 若聞貲貨充足, 衣馬輕肥. 此惡消息. 吾嘗以爲確論. 최현위의 어머니(崔玄暐母) 노씨가(盧氏) 일찍이(嘗) 현위에게 경계하여 말하길(誡玄暐曰), 내가(吾) 이복형제인(姨兄) 둔전낭장(屯田郞中) 행현어를(幸玄馭) 만났는데(見), 말하길(曰), 우리 아이가(兒子) 벼슬에 종사하는 사람인데(從宦者), 누군가 와서 말하는 사람이 있어(有人來云), 가난과 궁핍으로(貧乏) 생활할 수 없다(不能存)고 했다. 이것은(此) 곧(是) 좋은 소식이지만(好消息), 만약(若) 재물이 풍족하고(貲貨充足), 옷과 말이(衣馬) 가볍고 살쪘다고(輕肥) 듣는다면..
2024. 12. 27.
[소학집주(小學集註) 선행(善行) 실명륜(實明倫) 6-22] 이군행의 정직함
李君行先生名潛, 虔州人.(이군행선생명잠 건주인) 入京師, 至泗州, 留止, 其子弟請先往.(입경사 지사주 유지 기자제청선왕) 君行問其故, 曰, 科場近, 欲先至京師, 貫開封戶籍, 取應.(군행문기고 왈과장근 욕선지경사 관개봉호적 취응) 君行不許曰, 汝虔州人, 而貫開封戶籍, 欲求事君, 而先欺君, 可乎.(군행불허왈 여건주인 이관개봉호적 욕구사군 이선기군) 寧遲緩數年, 不可行也.(녕지완수년 불가행야)이군행 선생은(李君行先生) 이름이 잠이고(名潛), 건주 사람이다(虔州人). 서울에 들어갈 때(入京師), 사주에 이르러(至泗州), 머물렀는데(留止), 그 자제들이(其子弟) 먼저 가기를 청했다(請先往). 군행이(君行) 그 까닭을 묻자(問其故), 말하길(曰), 과거가 가까우니(科場近), 먼저 경사에 이르러서(欲先至京師), 개봉..
2024. 12. 27.
[소학집주(小學集註) 선행(善行) 실명륜(實明倫) 6-21] 정직한 신하인 고윤
初魏遼東公翟黑子, 有寵於太武. 奉使幷州, 受布千疋. 事覺, 黑子謀於著作郎高允曰, 主上問我, 當以實告, 爲當諱之. 允曰, 公帷幄寵臣. 有罪首實, 庶或見原, 不可重爲欺罔也. 中書侍郞崔鑑公孫質曰, 若首實, 罪不可測, 不如姑諱之. 黑子怨允曰, 君奈何誘人就死地. 入見帝, 不以實對, 帝怒, 殺之. 처음에(初) 위나라(魏) 요동공 적흑자에게(遼東公翟黑子), 태무에게서 총애를 받음이 있었다(有寵於太武). 사신 일을 받들어(奉使) 병주에 가서(幷州), 포 천 필을 받았다(受布千疋). 사실이 발각되자(事覺), 흑자가(黑子) 저작랑 고윤에게(於著作郎高允) 의논하며 말하길(謀曰), 주상이(主上) 나에게 물으면(問我), 마땅히(當) 사실대로 고해야 하는가(以實告), 마땅히 숨겨야 하는가(爲當諱之). 고윤이 말하길(允曰), 공은..
2024. 12. 27.
[소학집주(小學集註) 선행(善行) 실명륜(實明倫) 6-20] 우직한 급암
汲黯景帝時, 爲太子洗馬, 以嚴見憚.(급암경제시 위태자세마 이엄견탄) 武帝卽位, 召爲主爵都尉, 以數直諫, 不得久居位.(무제즉위 소위주작도위 이수직간 부득구거위)급암은(汲黯) 경제 때(景帝時), 태자세마가 되어(爲太子洗馬), 엄격함으로(以嚴) 경탄을 받았다(見憚). 무제가 즉위해서(武帝卽位), 불러서(召) 주작도위로 삼았는데(爲主爵都尉). 자주(數) 직언으로 간언해서(以直諫), 그 자리를 오래 하지 못했다(不得久居位). [集說] 陳氏曰: “黯, 字長孺, 濮陽人. 太子洗馬, 官名(陳氏曰洗之言, 先也, 太子出見前導也). 以嚴見憚, 以正直, 爲景帝所敬憚也. 主爵都尉, 亦官名. [集說] 진씨가 말하길(陳氏曰): “급암은 자가 자유이고 복양 사람이다(黯, 字長孺, 濮陽人). 태자세마는(太子洗馬), 관직 이름이다(..
2024. 12.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