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주소(論語注疏) 위정(爲政) 2-22] 신의가 없으면 사람 행세를 할 수 없다 / 인이무신 부지기가야(人而無信 不知其可也)
子曰: "人而無信, 不知其可也.(인이무신 부지기가야) 《孔曰: "言人而無信, 其餘終無可."》 大車無輗, 小車無軏, 其何以行之哉!"(대거무예 소거무월 기가이행지재) 《包曰: "大車, 牛車. 輗者, 轅端橫木, 以縛軛. 小車, 駟馬車. 軏者, 轅端上曲鉤衡."》 子曰: "사람인데도(人而) 신의가 없으면(無信), 행세할 수 있을지 알지 못하겠다(不知其可也). 《孔曰: "사람인데도 신의가 없으면(言人而無信), 그 나머지는(其餘) 끝내(終) 행세할 수 없다(無可)."》 큰 수레에(大車) 끌채 끝의 가로막대가 없고(無輗), 작은 수레에(小車) 멍에 걸이가 없으면(無軏), 그것이(其) 어찌(何以) 갈 수 있겠는가(行之哉)!" 《包曰: "대거는(大車), 소 마차다(牛車). 예는(輗者), 끌채 끝의(轅端) 가로 막대이고(橫..
2024. 3. 27.
[소학집주(小學集註) 입교(立敎) 1-7] 대사도가 향에서 세 가지 일로 백성을 가르쳤다 / 이향삼물(以鄕三物)
周禮, 大司徒以鄕三物, 敎萬民而賓興之.(주례 대사도이향삼물 교만민이빈흥지) 주례에(周禮), 대사도가(大司徒) 마을의 세 가지 일로(以鄕三物), 만민을 가르쳐서(敎萬民而) 빈객으로 예우하고(賓) 추천했다(興之). [集說] 陳氏曰周禮, 周公所著, 實周家一代之禮也. 大司徒, 敎官之長也. 萬二千五百家爲鄕. 朱氏曰物, 猶事也, 興, 猶擧也, 三事告成, 鄕大夫擧其賢能而以禮賓之. [集說] 진씨가 말하길(陳氏曰) 주례는(周禮), 주공이 지은 것이고(周公所著), 실제로(實) 주나라(周家) 한 시대의 예법이다(一代之禮也). 대사도는(大司徒), 가르치는 관청의(敎官之) 우두머리다(長也). 12,500가가 향이 된다(萬二千五百家爲鄕). 주씨가 말하길(朱氏曰) 물은(物), 사와 같고(猶事也), 흥은(興), 거와 같으니(猶擧也)..
2024. 3. 27.
[논어주소(論語注疏) 위정(爲政) 2-21] 행하는 것에 정치의 도리가 있으면 정치하는 것과 같다 / 시어유정(施於有政)
或謂孔子曰: "子奚不爲政?"(혹위공자왈 자해불위정) 《包曰: "或人以爲, 居位乃是爲政."》 子曰: "《書》云: '孝乎惟孝, 友于兄弟, 施於有政.' 是亦爲政, 奚其爲爲政?"(서운효호유호 우어형제 시어유정 시역위정 해기위위정) 《包曰: "孝乎惟孝, 美大孝之辭. 友于兄弟, 善於兄弟. 施, 行也. 所行有政道, 與爲政同."》 누군가(或) 공자에게 말하길(謂孔子曰): "그대는(子) 어찌(奚) 정치하지 않는가(不爲政)?"라고 햇다. 《包曰: "누군가는(或人), 지위에 있으면(居位) 곧(乃) 이것이 정치하는 것이라고(是爲政) 여겼다(以爲)."》 子曰: "서에 이르길(《書》云): '효성스럽고(孝乎) 오직 효도하는구나(惟孝), 형제와 우애하고(友于兄弟), 정치에 시행한다(施於有政).'라고 했으니, 이것도 또한(是亦) 정치..
2024. 3. 27.
[논어집주(論語集注) 위정(爲政) 2-21] 벼슬하지 않아도 정치하는 도리가 있다 / 시어유정(施於有政)
或謂孔子曰: “子奚不爲政?”(혹위공자왈 자해불위정) 누군가(或) 공자에게 말하길(謂孔子曰): “그대는(子) 어찌(奚) 정치하지 않습니까(不爲政)?”라고 했다. 定公初年, 孔子不仕, 故或人疑其不爲政也. 정공 1년에(定公初年), 공자가 벼슬하지 않았고(孔子不仕), 그러므로(故) 누군가(或人) 그가 정치하지 않는 것에 의문을 품었다(疑其不爲政也). 子曰: “書云: 孝乎, 惟孝, 友于兄弟, 施於有政.(서운 효호 유호 우우형제 시어유정) 是亦爲政, 奚其爲爲政?”(시역위정 해기위위정) 子曰: “서에 이르길(書云): 효란(孝乎), 오직 효도하고(惟孝), 형제들과 우애하는 것이(友于兄弟), 정치를 베푸는 것이다(施於有政)라고 했다. 이것도 또한(是亦) 정치하는 것이니(爲政), 어찌(奚) 그것이(지위에 있음)(其) 정치..
2024. 3. 27.
[소학집주(小學集註) 입교(立敎) 1-6] 순임금이 설을 사도로 삼아 백성을 가르치다 / 순명설왈(舜命契曰)
舜命契曰, 百姓不親, 五品不遜, 汝作司徒, 敬敷五敎, 在寬.(순명계왈 백성불친 오품불손 여작사도 경부오교 재관) 舜命契曰, 百姓不親, 五品不遜, 汝作司徒, 敬敷五敎, 在寬. 순임금이(舜) 설에게 명하여 말하길(命契曰), 백성들이(百姓) 친하지 않고(不親), 오품(오륜)을 따르지 않으니(五品不遜), 너를(汝) 사도로 삼아(作司徒), 공경히(敬) 5교를 펼치고(敷五敎), 너그럽게 행하라(在寬). [集說] 吳氏曰舜, 虞帝名. 契, 卽上章堯所命之臣也. 五品, 父子君臣夫婦長幼朋友五者之名位等級也. 遜, 順也. 敬, 謂敬其事. 敷, 布也. 五敎, 謂以上五者當然之理而爲敎令也. 百姓, 不相親睦, 五品, 不相遜順. 故舜命契, 乃爲司徒, 使之敬以敷敎, 而又寬裕以待之也. [集說] 오씨가 말하길(吳氏曰) 순임금은(舜), 우나라..
2024. 3. 26.
[논어주소(論語注疏) 위정(爲政) 2-20] 임금이 제대로 해야 백성이 따른다 / 사민경충이권(使民敬忠以勸)
季康子問: "使民敬、忠以勸, 如之何?"(계강자문 사민경충이권 여지하) 《孔曰: "魯卿季孫肥. 康, 謚."》 子曰: "臨之以莊則敬,(자왈 임지이장즉경) 《包曰: "莊, 嚴也. 君臨民以嚴, 則民敬其上."》 孝慈則忠,(효자즉충) 《包曰: "君能上孝於親, 下慈於民, 則民忠矣."》 擧善而敎不能則勸.(거선이교불능즉권) 《包曰: "擧用善人而敎不能者, 則民勸勉."》 계강자가 묻기를(季康子問): "백성으로 하여금(使民) 공경하고(敬) 충성하고(忠以) 권면하게 하려면(勸), 어찌해야 할까요(如之何)?" 《孔曰: "노나라 경(魯卿) 계손비다(季孫肥). 강은(康), 시호다(謚)."》 子曰: "백성을 엄숙함으로 대하면(臨之以莊則) 공경하고(敬), 《包曰: "장은(莊), 엄숙함이다(嚴也). 임금이(君) 엄숙함으로(以嚴) 백성을 ..
2024. 3. 25.
[논어집주(論語集注) 위정(爲政) 2-20] 네가 먼저 똑바로 해라 / 사민경충이권(使民敬忠以勸)
季康子問: “使民敬, 忠以勸, 如之何?”(계강자문 사민경충이권 여지하) 계강자가 묻기를(季康子問): “백성으로 하여금(使民) 공경하고, 충성하고, 격려해서 힘쓰게 하려면(敬, 忠以勸), 어떻게 해야 합니까(如之何)?”라고 했다. * 以(이)는 병렬관계를 표시하는 접속사. 而(이)와 같다. * 如之何(여지하)는 '그것을 어떻게 하는가'라고 해석한다. 如(여) ~ 何(하)는 '~을 어떻게 하는가'라는 뜻의 관용어다. 季康子, 魯大夫季孫氏, 名肥. 계강자는(季康子), 노나라 대부 계씨이고(魯大夫季孫氏), 이름은 비다(名肥). 子曰: “臨之以莊則敬, 孝慈則忠, 擧善而敎不能則勸.(임지이장즉경 효자즉충 거선이교불능즉권) 子曰: “(아랫사람을) 장중함으로 대하면(臨之以莊則) 공경하고(敬), 효도와 자애로 대하면(孝慈..
2024. 3. 25.
[소학집주(小學集註) 입교(立敎) 1-5] 따뜻하고 배부르기만 좋아하면 짐승과 다름없다 / 포식난의(飽食暖衣)
孟子曰, 人之有道也, 飽食暖衣, 逸居而無敎, 則近於禽獸.(맹자왈 인지유도야 포식난의 일거이무교 즉근어금수) 聖人有憂之, 使契爲司徒, 敎以人倫, 父子有親, 君臣有義, 夫婦有別, 長幼有序, 朋友有信.(성인유우지 사설위사도 교이인륜 부자유친 군신유의 부부유별 장유유서 붕우유신) 맹자가 말하길(孟子曰), 사람에게는(人之) 도가 있으니(有道也), 배부르게 먹고(飽食) 따뜻하게 입으며(暖衣), 편안하게 머물면서(逸居而) 가르침이 없다면(無敎, 則) 짐승에 가깝다(近於禽獸). 성인에게(聖人) 이것을 걱정함이 있어(有憂之), 설로 하여금(使契) 사도로 삼아(爲司徒), 인륜으로 가르치게 했으니(敎以人倫), 부자유친, 군신유의, 부부유별, 장유유서, 붕유유신이다(父子有親, 君臣有義, 夫婦有別, 長幼有序, 朋友有信). * ..
2024. 3. 24.
[논어주소(論語注疏) 위정(爲政) 2-19] 곧은 인재를 등용하면 백성이 복종한다 / 거직조왕(擧直錯枉)
哀公問曰: "何爲則民服?"(애공문왈 하위즉민복) 《包曰: "哀公, 魯君謚."》 孔子對曰: "擧直錯諸枉, 則民服.(공자대왈 거직조저왕 즉민복) 《包曰: "錯, 置也. 擧正直之人用之, 廢置邪枉之人, 則民服其上."》 擧枉錯諸直, 則民不服."(거왕조저직 즉민불복) 애공이 물어 말하길(哀公問曰): "어떻게 하면(何爲則) 백성이 복종할까요(民服)?"라고 했다. 《包曰: "애공은(哀公), 노나라 임금 익이다(魯君謚)."》 공자가 대답하여 말하길(孔子對曰): "곧은 사람을 등용하고(擧直) 굽은 사람을 버려두면(錯諸枉, 則) 백송이 복종합니다(民服). 《包曰: "조는(錯), 둠이다(置也). 정직한 사람을 등용해서(擧正直之人) 쓰고(用之), 간사하고 굽은 사람을 버려두면(廢置邪枉之人, 則) 백성이(民) 그 윗사람에게 복종..
2024. 3.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