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장구(大學章句) 전(傳) 8] 자기 자식의 나쁜 점을 알지 못한다 / 인막지기자지악(人莫知其子之惡)
所謂齊其家在修其身者(소위제기가재수기신자), 人之其所親愛而辟焉(인지기소친애이벽언), 之其所賤惡而辟焉(지기소천오이벽언), 之其所畏敬而辟焉(지기소외경이벽언), 之其所哀矜而辟焉(지기소애긍이벽언), 之其所敖惰而辟焉(지기소오타이벽언). 이른바(所謂) 자기 집안을 가지런하게 하는 것이(齊其家) 자기 몸을 닦는 것에 있다는 것은(在修其身者), 사람이(人) 자기가 친애하는 것에 대하여(之其所親愛而) 편벽되고(辟焉), 자기가 천하게 여기고 미워하는 것에 대하여(之其所賤惡而) 편벽되고(辟焉), 그가 두려워하고 공경하는 것에 대하여(之其所畏敬而) 편벽되고(辟焉), 자기가 가엾고 불쌍하게 여기는 것에 대하여(之其所哀矜而) 편벽되고(辟焉), 자기가 거만하게 굴고 업신여기는 것에 대하여(之其所敖惰而) 편벽된다(辟焉). * 人之其所..
2024. 2. 9.
[논어집주(論語集注) 학이(學而) 1-9] 초상 치를 때 예를 다하고 조상을 추모한다 / 신종추원(愼終追遠)
曾子曰: “愼終追遠, 民德歸厚矣.”(신종추원 민덕귀후의) 曾子曰: “초상을 신중하게 치르고(愼終) 먼 조상을 추모하면(追遠), 백성의 덕이(民德) 후한 곳으로 돌아간다(歸厚矣).”라고 했다. * 終(종)은 사람의 마지막 길 즉 부모의 상례(喪禮)를 가리키고, 遠(원)은 시간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먼 조상을 가리킨다. 愼終者, 喪盡其禮. 追遠者, 祭盡其誠. 民德歸厚, 謂下民化之, 其德亦歸於厚. 蓋終者, 人之所易忽也, 而能謹之; 遠者, 人之所易忘也, 而能追之: 厚之道也. 故以此自爲, 則己之德厚, 下民化之, 則其德亦歸於厚也. 신종이란(愼終者), 상례에서(喪) 그 예를 다하는 것이다(盡其禮). 추원이란(追遠者), 제사에서(祭) 그 정성을 다하는 것이다(盡其誠). 민덕귀후란(民德歸厚), 아래 백성이 교화되어(下..
2024. 2. 9.
[논어집주(論語集注) 학이(學而) 1-7] 배우지 못했더라도 배웠다고 할 수 있는 사람 / 현현역색(賢賢易色)
子夏曰: “賢賢易色, 事父母能竭其力,(현현역색 사부모능갈기력) 子夏曰: “어진 사람을 어질게 대하는 것을(賢賢) 미인을 좋아하는 마음과 바꿔서 하고(易色), 부모를 모시는 것에(事父母) 자기 힘을 다할 수 있고(能竭其力), * 賢賢易色: '현량한 덕성을 소중하게 여기고 아름다운 용모를 가볍게 여기다.'라고 해석한다. 뒤의 賢(현)은 '어질다'라는 뜻의 형용사가 '현덕'이라는 뜻의 명사로 전용된 것이고 앞의 賢(현)은 '현명하게 여기다, 소중하게 여기다'라는 뜻의 의동사(意動詞)로 전용된 것이다. 子夏, 孔子弟子, 姓卜, 名商. 賢人之賢, 而易其好色之心, 好善有誠也. 자하는(子夏), 공자 제자로(孔子弟子), 성은 복이고(姓卜), 이름은 상이다(名商). 어진 사람을(賢人之) 어질게 대하면서(賢, 而) 그 아..
2024. 2. 9.
[논어집주(論語集注) 학이(學而) 1-8] 잘못하면 서슴없이 고쳐라 / 과즉물탄개(過則勿憚改)
子曰: “君子不重則不威, 學則不固.(군자부중즉불위 학즉불고) 子曰: “군자가(君子) 정중하고 무게 있지 않으면(不重則) 위엄이 없고(不威), 배워도(學則) 견고하지 않다(不固). 重, 厚重. 威, 威嚴. 固, 堅固也. 輕乎外者, 必不能堅乎內, 故不厚重則無威嚴, 而所學亦不堅固也. 중은(重), 중후함이다(厚重). 위는(威), 위엄이다(威嚴). 고는(固), 견고함이다(堅固也). 바깥에 드러나는 것에서 가벼운 사람은(輕乎外者), 반드시(必) 안에서(乎內) 견고할 수 없고(不能堅), 그러므로(故) 중후하지 않으면(不厚重則) 위엄이 없고(無威嚴, 而) 배운 것도(所學) 또한(亦) 견고하지 않다(不堅固也). 主忠信.(주충신) 충성스러움과 믿음직스러움을 주로 해라(主忠信). 人不忠信, 則事皆無實, 爲惡則易, 爲善則難,..
2024. 2. 9.
[논어집주(論語集注) 학이(學而) 1-6] 행하고 남은 힘이 있으면 글을 배워라 / 위기지학(爲己之學) - 행유여력 즉이학문(行有餘力 則以學文)
子曰: “弟子入則孝, 出則弟,(제자입즉효 출즉제) 선생님이 말씀하시길(子曰): “제자들은(弟子) 들어가면 효도하고(入則孝), 나가면 공경하고(出則弟), * 弟(제): 悌(제)와 같은 글자로 弟子(제자)의 弟(제)와는 다르다. 孝(효)는 자식이 부모님께 효성스러운 품성을 가리키고 弟(제)는 동생이 형에게 공경스러운 품성을 가리킨다. ○ 謹者, 行之有常也. ○ 근이란(謹者), 행동에(行之) 항상 같음이 있는 것이다(有常也). 謹而信, 汎愛衆, 而親仁.(근이신 범애중 이친인) 신중하고(謹而) 믿음을 주며(信), 널리(汎) 사람을 사랑하고(愛衆, 而) 인한 사람을 가까이 해라(親仁). 信者, 言之有實也. 汎, 廣也. 衆, 謂衆人. 親, 近也. 仁, 謂仁者. 신이란(信者), 말에(言之) 실질이 있는 것이다(有實也..
2024. 2. 8.
[논어집주(論語集注) 학이(學而) 1-5] 천승의 나라를 다스리는 이치 / 경사절용사민(敬事節用使民)
子曰: “道千乘之國: 敬事而信,(도천승지국 경사이신) 선생님이 말씀하시길(子曰): “천승의 나라를 다스리는 것은(道千乘之國): 일을 경건하게 하고(敬事而) 믿음을 주고(信), ○ 道, 治也. 千乘, 諸侯之國, 其地可出兵車千乘者也. 敬者, 主一無適之謂. 敬事而信者, 敬其事而信於民也. ○ 도란(道), 다스림이다(治也). 천승은(千乘), 제후의 나라로(諸侯之國), 그 땅에서(其地) 병거 천 승을 낼 수 있는 것이다(可出兵車千乘者也). 경이란(敬者), 하나에 집중해서(主一) 가는 일이 없음을(無適之) 말한다(謂). 경사이신이란(敬事而信者), 그 일을 경건하게 처리하여(敬其事而) 백성에게 믿음을 주는 것이다(信於民也). 節用而愛人, 使民以時.”(절용이애인 사민이시) 씀씀이를 아끼고(節用而) 사람을 사랑하며(愛人)..
2024. 2. 8.